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핑크곰 Aug 13. 2018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비교 분석

Touch MBC의 미래

본글은 필자가 2017년 7월에 정리한 글로, 1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분석의 대상이었던 플랫폼(앱)들의 기능이나 순위 데이터에 많은 변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글을 옮기는 이유는, 1년이 지난 지금 그 당시의 분석과 현재를 비교하여 어떤 플랫폼들이 살아남았고 반대로 도태된 플랫폼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도 나름 의미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그냥 버리기 아까워서도 1% -0-;;)

향후 또 다른 분석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반년 동안 Touch MBC를 유지 보수하면서, 내 관심사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등과 같은 IT 기술에만 맞춰져 있었다. 솔직히 말해서, 낯선 환경에서 B2C 상용 앱을 당장 개발해야 하는 경력사원 입장에서는 Django와 Android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었다. 불과 몇 달 전까지 Spring + Angular SPA 프로젝트를 리딩 하다가 하루아침에 Django와 안드로이드라니…



차치하고, 힘들게 만든 앱이 생각처럼 잘 안된다. 쉽게 말해서 사용자들이 별로 많지 않다. 사용빈도도 떨어지고, 앱 평가도 그닥이다.


왜일까?





다시 원론적인 질문 앞에 섰다. 그동안 기술 쪽에만 포커스를 두다 보니 잊고 있었던 질문이다. 앱의 태생이 방송 참여 및 방청 신청이라는 간단한 기능인 데다, 뭔가 추가로 기능이 누덕*2 덧붙여진 기분이다. 지상파 방송 콘텐츠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느낌 아닌 느낌.


다시 반문해 보자. 나라면 사용하겠는가?!
즐겨보는 메이저리그 중계를 네이버 TV와 Touch MBC 양쪽에서 라이브로 제공한다면? 굳이 이미 설치되어있는 네이버 TV를 두고 Touch MBC를 설치하고 봐야 할 필요가 있을까. 소통 중계라는 실시간 채팅 메뉴를 통해 내가 쓴 채팅 중 하나가 TV를 통해 나간다고 해서 나에게 어떤 가치가 있겠는가.


프로그램을 만든 팀의 구성원인 나조차 앱의 당위성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면서 감히 누구에게 사용하라고 말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다시 처음부터 해 보기로 결심했다. 앱의 기획 역할 입장에서, 유사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앱들의 비교를 시작으로 기능 SWOT 분석을 통해 Touch MBC가 가질 수 있는 차별화 요소와 신규 서비스 기획까지.





모바일 미디어 플랫폼 비교 분석


현황부터 파악해 보자. 동종업계(?)의 경쟁자들은 누가 있고, 어떤 기능들로 전략을 세우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의 상태는 어떤지 등. ‘ 지상파 3사, 포탈, 통신사, 종편, 뉴미디어’ 로 분류하여 대표 모바일 플랫폼들을 정리해 본다.



1. 지상파 3사

푹(Pooq)

푹(pooq)은 KBS, SBS, MBC가 함께 투자하여 설립한 ‘콘텐츠 연합 플랫폼’이 운영하는 인터넷 기반 Real N스크린 서비스로, 실시간 방송 및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료 미디어 플랫폼이다.(출처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91%B9)


> 슬로건 : TV와 영화를 보는 앱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웹 모두 제공
> 수익구조 : 유료 회원제도(모바일 기기 실시간 TV + VOD : 6,900원/월)
> 특징
 - 광고가 없는 다양한 화질(3단계) 제공
 - 다양한 장르(지상파, 종편/보도, 드라마/예능, 스포츠, 키즈 등) VOD, 영화 제공(현재 CJE&M 제외)
- 실시간 TV 기능 제공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 200~300위 안에 포진되어있으며,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10위권. 1년간 하향세를 타다가 2017년 2 사분기부터 다시 상향세.

App Annie — pooq(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pooq(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해요(Heyo!)

iMBC에서 제공하는 해요 TV는 앱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스타 라이브 프로그램이다. 무료로 실시간 생중계와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 슬로건 : 실시간 스타 라이브 TV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웹 모두 제공
> 수익구조 : 앱 광고
> 특징
- 아이돌 콘텐츠가 핵심이며, 라이브(실시간 채팅) 및 MBC 계열사 VOD 제공
- 해요 TV 전용 콘텐츠(박소현의 아이돌 TV 등)가 존재하며, 이벤트성 스포츠 방송도 중계
- 방청권 신청, 투표, 스틸컷 업로드, 설문 같은 이벤트 제공
- SNS 공유 기능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는 간헐적으로 등장하고,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200~300위 형성. iOS에서 꾸준히 랭킹에 등재되는 특징이 있음.

App Annie — 해요(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pooq(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님들(nimdle)

‘님들’(Nimdle) 은 MBC가 설립한 스타트업인 스마트미디어 콘텐츠사에서 제작한 모바일 앱으로, MBC의 다양한 고화질 영상 클립과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아이돌’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날 수 있는 서비스이다.


> 슬로건 : 덕후의 댓글 놀이터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SNS 공유용 웹)
> 수익구조 : N/A
> 특징
- MBC 계열사 VOD를 제공하며, 아이돌 콘텐츠(채널 가입을 통한 클립 시청)가 핵심 
- 타임 댓글을 통해 과거 사용자와 채팅하는 기분
- 붐(좋아요 기능)을 타임라인에서 색으로 확인 가능하여 재밌는 부분만 확인 가능
- SNS 공유 기능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는 보이지 않고,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는 100위권 이내 형성. 앱 출시 90일간 꾸준히 상승세이며, 최근 6월 iOS에서는 전체 앱 순위에도 진입.

App Annie — 님들(안드로이드) 90일간 랭킹 정보
App Annie — 님들(아이폰) 90일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MyK

KBS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다양한 KBS 채널(KBS의 지상파, 뉴스 채널, KBSN채널, 스포츠채널, 어린이 채널, 라디오 등)의 VOD, 클립,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 슬로건 : 손끝으로 여는 세상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TV
> 수익구조 : N/A
> 특징
- 첫 화면에서 최근 이슈 내용만 추천하여 표시
- 실시간 TV, VOD, 클립 제공
- 실시간 TV 댓글 기능 제공
- ‘케첩’(catch up)라는 메뉴로, 방송에 나오지 않는 이야기를 카드/포스트/클립 형태로 제공(SNS 공유 유도를 위한 덕후 블로그 느낌?!)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도 꾸준히 200~ 500위를 유지하고 있고,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50위 밖으로 벗어나지 않는 탑 랭커(왕좌에 오른 경험이 있는 앱). 2012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순위에 등재되고 있음.
* 중국 안드로이드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도 300위 권을 유지.

App Annie — MyK(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MyK(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티벗(TVUT)

KBS 프로그램을 위해 모바일을 통한 소통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 슬로건 : TV 친구 티벗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 수익구조 : N/A
> 특징
- 이미지 첨부 가능한 댓글 형식(채팅 X)의 방송 참여
- 생방송 실시간 투표
- TV 프로그램 음성인식을 통한 프로그램 정보 조회
- 스튜디오 참여자 전용 메뉴 제공
- 프로그램 홈버튼을 누르면 TVUT이 아닌 프로그램별 별도 홈페이지로 이동(KBS, Naver TV, Kakao Story 등 다양함)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는 보이지 않고,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500위권 밖. 시청자 참여 방송이 있을 때만 랭킹에 오르는 등, 랭킹 그래프의 Fluctuation 이 심함.

App Annie — 티벗(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티벗(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SBS

SBS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SBS 고화질 온에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송사 채널(KBS, MBC, CJ E&M, jtbc, MBN, 채널A, TV조선 등)의 클립 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 슬로건 : SBS 온에어로 다양한 영상을 즐기세요!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앱 광고(전면, 배너, PD노트), 광고 영상, 일부 유료
> 특징
- SBS 고화질 실시간 TV(유료), VOD 7만(무료)
- ‘럽스타’라는 위치기반 사진 촬영 서비스(연예인 사진이 카메라 화면에 보임)로, 사진을 쿠폰 형식으로 모으고 선택 연예인의 클립 영상을 보여준다는 컨셉(위치기반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서 억지로 만든 서비스 같다;;)
- 가수들 영상 클립 360 VR 제공
- 배너를 통한 방청 신청 기능(모바일 확인을 통한 입장)
- 주요 방송사(MBC, KBS, JTBC, CJ E&M 등) 인기 프로그램 클립 제공
- ‘PD노트’라는 메뉴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방송화면이나 그 외 이야기를 카드/포스트/클립 형태로 제공(SNS 공유 유도를 위한 덕후 블로그 느낌?!, 포스트 중간에 광고를 넣다니;)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도 꾸준히 200~ 300위를 유지하고 있고(분기 한 번씩 버프 받고 10위권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도 있음),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는 40위 밖으로 벗어나지 않는 탑 랭커(왕좌에 오른 경험이 있는 앱). 
* 아시아 및 호주 안드로이드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 고르게 인기. 
 2016년 하반기부터 중국(20~100위), 일본(200~400위), 싱가포르(100~200위), 호주(100~400)에서 비디오 플레이어 앱의 랭커.

App Annie — SBS(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SBS(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2. 종편 및 케이블

JTBC

JTBC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실시간 방송, VOD, 클립 영상을 제공한다.


> 슬로건 : JTBC TV 애플리케이션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광고 영상(2개), 온에어 일부 유료
> 특징
- 온에어(온에어 댓글), VOD, 클립 서비스
- 편성표, 포토 등
- JTBC 홈페이지 모바일용 느낌
> 랭킹 정보
아이폰 전체 앱 순위(안드로이드는 미비함)에서는 꾸준히 250~ 700위를 유지하고 있고(분기 한 번씩 버프 받고 100위권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 있음),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50~100위를 꾸준히 유지(아이폰, 안드로이드 모두). 
* 중국 안드로이드 엔터테인먼트 앱에서 2016년 하반기부터 100~300위.

App Annie — JTBC(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JTBC(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TV조선

TV조선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실시간 방송, VOD, 클립 영상을 제공한다.


> 슬로건 : TV조선 애플리케이션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앱 광고(전면, 배너), 영상 광고, VOD 유료 패키지
> 특징
- 온에어(온에어 댓글), VOD, 클립 서비스
- 편성표
- 가로모드에서 플레이어 UX가 뛰어남. 하단 서랍 UI를 이용해서 댓글, 회차 정보가 확인되며, 우측 서랍 UI를 통해 관련 회차 및 클립 영상 보임.
- TV조선 홈페이지 모바일용 느낌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는 보이지 않고,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300~500위권. 2017년 2 사분기부터 안드로이드에서는 순위권에서 사라짐.

App Annie —TV조선(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TV조선(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티빙(Tving)

CJ E&M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CJ E&M(tvN, Mnet, O’live, OtvN 등)의 실시간 방송, VOD, 클립 서비스를 제공하며, 타 방송사 클립, 영화 VOD 등


> 슬로건 : CJ E&M 애플리케이션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앱 광고(전면, 배너), 광고 영상, 일부 채널 유료
> 특징
- 온에어(실시간 댓글), VOD, 영화, 클립 제공
- 다양한 채널 제공(프로그램별 채널, 방송 온에어 채널, 스포츠/게임 채널 등)
- 해외(특히 중국) 드라마 VOD 무료 
- 가로모드에서 플레이어 UX가 뛰어남. (좌측 TV 패널/우측 VOD 패널 swipe 처리)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도 꾸준히 200위 근처를 유지하고 있고(2017년 초, 온에어 무료화로 전체 앱 순위 3위까지 오름),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는 30위권 이내의 탑 랭커(왕좌에 오른 경험이 있는 앱). 
* 2012~2015년까지 중국, 호주에서 300~500위권을 유지하였으나, 2016년부터 해외 랭킹에서 제외됨(대한민국 내에서만 시청 가능)

App Annie — 티빙(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티빙(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3. 통신사

옥수수(oksusu)

SK텔레콤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실시간 방송/스포츠 생중계/영화/방송(지상파, 종편, CJ)의 VOD, 클립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슬로건 : 모바일 동영상의 신세계 oksusu!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 수익구조 : 유료(월정액 3,000원)
> 특징
- SK텔레콤 사용자는 라이브 무료 시청 가능(영상광고는 붙음)
- Btv 플랫폼과 연계가 가능하여 모바일 to TV 가 가능
- 실시간 채널(실시간 채팅), 스포츠 생중계, 영화,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VOD 및 클립, 미드/키즈/애니, 개인방송/360 VR
- 마이 채널, SNS 공유 기능 등 개인화 서비스
- 댓글 디자인이 네이버를 완전 똑같이 따라 함.(네이버로 착각할 정도;)
- 마케팅(광고)의 힘으로 2016년 말부터 엄청난 랭킹을 유지 중임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는 꾸준히 100위권 이내를 유지하고 있고, 엔터테인먼트 앱에서는 10위 이내를 지키는 탑 랭커(안드로이드 비디오 플레이어 부동의 메달리스트).

App Annie — 옥수수(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옥수수(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올레 TV

KT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실시간 방송/스포츠 생중계/영화/방송(지상파, 종편, CJ)의 VOD, 클립 영상, VR360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슬로건 : 당신이 보고 싶은 콘텐츠는 여기!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 수익구조 : 유료(월정액 5,000원)
> 특징
- KT 모바일, TV 사용자 기간 한정 무료
- 올레 tv 플랫폼과 연계하여 동시 시청 가능
- 실시간 채널, 스포츠 생중계, 영화,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VOD 및 클립, 미드/키즈/애니/성인, 개인방송/360 VR
- 마이 채널, SNS 공유 기능 등 개인화 서비스
- 개인 방송, 유튜브 인기 클립, 웹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는 200~400위권 이내이고,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는 10~20위 이내 꾸준히 유지.

App Annie — 올레 TV 모바일(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올레 TV 모바일(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비디오 포털

LG유플러스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실시간 방송/스포츠 생중계/영화/방송(지상파, 종편, CJ)의 VOD, 미드/애니/다큐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슬로건 : 국내 최다 VOD를 제공하는 비디오 서비스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광고 영상
> 수익구조 : 유료(월정액 5,000원), 광고 영상
> 특징
- U+ 사용자 데이터 무료
- 실시간 채널, 스포츠 생중계, 영화,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VOD 및 클립, 미드/키즈/애니/성인, 개인방송/360 VR
- SNS 공유 기능
- 플레이어 기능이 다양함(최대 4 채널 동시 보기, 타임머신, 슬로모션, 배속 보기, 다국어 자막 등)
- 모든 방송을 VR로 제공한다고 하나, 어설픈 극장 그림 VR(-_ -;)
- 영화의 경우 왓챠와 연계한 리뷰 정보 제공
- 엄청 불안한 스트리밍. 빈번히 영상 실행 중 에러 발생.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는 200~400위권 이내이고, 비디오 플레이어 앱에서는 20위권 이내 유지.

App Annie — 비디오 포털(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비디오 포털(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4. 포털

네이버 TV

네이버 모바일 플레이어 플랫폼으로,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라이브, 웹 예능, 웹드라마, 뷰티, 게임, 키즈까지 다양하고 개성 있는 영상을 제공한다.


> 슬로건 : 언제 어디서나 바로 지금 PLAY!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광고 영상
> 특징
- 실시간 채널(실시간 채팅), 스포츠 생중계,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클립(클립 댓글)
- 프로그램별 구독 채널
- 네이버 플랫폼의 힘을 바탕으로 심플하게 보고자 하는 기능만 쏙쏙!
- 스마트 TV와의 연계 시청 가능
- VOD는 별도로 네이버 VOD 앱을 통해, 개인방송은 V Live 앱을 통해 제공
> 랭킹 정보
국내 비디오 플레이어 부동의 1~2위를 차지고 하고 있으며, 전체 앱에서도 20위권을 유지하는 랭커 앱
* 중국(50위권 이내)과 호주(200~300위)의 비디어 플레이어 앱 순위도 유지

App Annie — 네이버 TV(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네이버 TV(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V Live

네이버 실시간 방송 플랫폼으로, 스타의 실시간 방송/ VOD를 제공한다.


> 슬로건 : 스타의 라이브/VOD 영상을 모바일로 쉽게 볼 수 있는 앱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 수익구조 : 스티커, 유료 영상
> 특징
- 스타들 실시간 개인 방송(실시간 채팅), 팬덤 채널(일부 유료)
- 드라마 채널 등 다변화 시도
- 영상 시청 횟수에 따른 활동지수(Chemi-beat)를 통해 개인화 및 이벤트 제공> 랭킹 정보
국내 전체 앱 순위 100위권, 엔터테인먼트 앱 20위권 이내를 유지하며, 2017년 2 사분기부터 엔터테인먼트 앱 Top 5를 유지중.
* 싱가포르(50위 이내), 일본(100위 이내), 중국(아이폰, 200위권)의 엔터테인먼트 앱 순위도 유지

App Annie — V Live(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V Live(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네이버 VOD

네이버 VOD 플랫폼으로, 영화/방송 VOD를 제공한다.


> 슬로건 : 네이버 VOD 앱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N스토어 영화)
> 수익구조 : 유료, 광고 영상(무료 VOD)
> 특징
- 콘텐츠가 많지 않으며, 신규 영상의 경우 N스토어 방송, 영화 메뉴로 대부분 연결됨
> 랭킹 정보
국내 전체 앱 순위 300~400위권, 엔터테인먼트 앱 30위권 이내를 유지

App Annie — 네이버 VOD(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네이버 VOD(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카카오 TV 라이브

카카오의 모바일 플레이어 플랫폼으로 라이브 방송과 함께 게임, 음악, 엔터테인먼트, 먹방, 뷰티 등 인기 PD의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고, 실시간으로 채팅에 참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슬로건 : 실시간 라이브 방송에 특화된 모바일 앱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웹, C/S)
> 수익구조 : 광고 영상
> 특징
- 다음tv팟을 대체하며 출시, PD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라이브 방송 시청 및 소통을 중시함
-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클립(클립 댓글)이 채널을 통해 제공되기는 하나, 개인 라이브 방송을 통한 실시간 채팅 참여가 메인
- 개인 방송은 PC의 팟플레이어를 통해 영상파일 업로드나 라이브 가능
- 아프리카를 표방하려 했으나, 다음 팟플레이어까지 망하는 이도 저도 아닌 상황이 되어버림
> 랭킹 정보
국내 전체 앱 100~200위권, 엔터테인먼트 앱 10위권을 유지하다가 2017년 2 사분기부터 하락세
* 중국 엔터테인먼트 앱 100~200위권

App Annie — 카카오TV 라이브(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카카오TV 라이브(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5. 뉴미디어

아프리카 TV

SNS 대표 미디어 플랫폼으로, 개인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스포츠, 케이블, 애니, 게임방송 등을 제공한다.


> 슬로건 : 재미있는 방송/동영상은 아프리카 TV에 다~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앱 배너광고, 아이템(별풍선, 스티커) 구매, 별도 광고(애드벌룬), 고화질 유료
> 특징
- 개인방송, 스포츠, 케이블(일부 종편, EBS 등), 애니, 게임방송 제공
- ‘모바일 라이브캠’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을 통한 방송 가능
- 유명 BJ 영상은 하이라이트만 편집된 영상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음
> 랭킹 정보
국내 비디오 플레이어 5위 이내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앱에서도 100위권을 유지하는 랭커 앱
* 중국 전체 앱 순위 100~200위를 형성 중이며, 비디어 플레이어 앱 순위 20위권 이내의 강자. 2016년 하반기부터 중국 시장에서 성장 중.

App Annie — 아프리카(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아프리카(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곰TV

SNS 대표 미디어 플랫폼으로, 개인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스포츠, 케이블, 애니, 게임방송 등을 제공한다.


> 슬로건 : 재미있는 방송/동영상은 아프리카 TV에 다~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앱 배너광고, 광고 영상(개수가 다양함), 이용권(방송별 별도)
> 특징
- 영화, 방송(지상파 3사/CJ/종편 예능/드라마) VOD 및 클립, 스포츠 생중계, 애니/뮤직비디오 제공 
- 댓글 기능이 있으나 사용이 전무함
- 타 미디어 플랫과 대비 특징이 없음
> 랭킹 정보
전체 앱 순위에서는 제외되며, 국내 엔터테인먼트 앱 50위~100위권.

App Annie — 곰TV(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곰TV(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VIKI

글로벌 자막 대표 미디어 플랫폼으로, TV 프로그램, 영화, 개인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스포츠, 케이블, 애니, 게임방송 등을 제공한다.


> 슬로건 : 팬들의 힘으로 제공되는 글로벌 TV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유료(월 6,000원) 정액 앱 배너광고, 광고 영상
> 특징
- TV 프로그램, 영화, 개인방송, 스포츠, 애니, 게임방송을 제공한다고 되어있으나, 팬들이 만드는 자막에 의해 활성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각국의 드라마가 메인.
- 팬 커뮤니티에 의해 20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
- 미국으로 유학을 간 한국 부부가 주도하여 미드 자막을 만들면서 만든 시스템
- 별점(10점 기준), 리뷰, 토론 기능을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 및 추천 서비스
- 메인 화면의 필터 기능을 통해 원하는 영상만 보여주는 기능은 참신
> 랭킹 정보
엔터테인먼트 앱 싱가포르 10위권, 대한민국, 캐나다, 호주에서 100위권, 미국 200위권 등, 글로벌 앱답게 해외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 다양한 국가에서 엔터테인먼트 앱 순위 500위권 이내를 형성하고 있음.

App Annie — viki(안드로이드) 1년간 랭킹 정보
App Annie — viki(아이폰) 1년간 랭킹 정보

> 기능분석



왓챠

영화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및 리뷰를 바탕으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 슬로건 : 감동을 나누는 놀이터, 왓챠에서 당신의 이야기를 함께 나누세요!
> 지원 플랫폼 : 모바일, PC
> 수익구조 : 세분화된 광고(영화 광고), 스트리밍 서비스, O2O 서비스(영화관 연계 등)
> 특징
- 영화, TV 프로그램(국내/해외), 도서(향후 제공)에 대한 시청자의 평가를 통해 개인화 서비스 제공
- 왓챠 플레이 앱과 연계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수익구조 개선 및 평가 데이터의 활용)
> 랭킹 정보
국내 앱 순위 600위권(아이폰). 국내 엔터테인먼트 앱 50~60위권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하향세(안드로이드 전체 앱 순위에서는 2016년 하반기부터 빠짐)
* 일본에서 꾸준히 300~400위 엔터테인먼트 앱 순위를 유지중

> 기능분석



6. 기능 비교분석


많은 플랫폼들이 이미 비슷한 내용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간 TV, 다양한 콘텐츠, 플레이어 기능을 통해서는 차별화가 쉽지 않다. 사용자별 개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화를 통한 접근이 그나마 레드 오션 중 가능성이 있는 기능이랄까…


기능 중첩 비교





앱의 기능 점수와 스토어 랭킹 순위와의 관계를 보면, 역시 돈 많이 쓴 앱이 점수도 높다. 기능이 많을수록 비례해서 랭킹도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외 케이스를 찾아보면, 네이버 TV, 네이버 VOD처럼 기반 플랫폼의 힘을 빌리거나, VIKI나 VLive처럼 글로벌 서비스를 지향하거나 아프리카 TV, 왓챠처럼 특화된 서비스를 지향한다. (그도 아니면, JTBC처럼 손석희 사장을 곁에 두거나;;)


기능 대비 스토어 랭킹 순위 비교 그래프







Touch MBC 차별화 요소


플랫폼의 힘을 빌릴 수도, 많은 자본을 통해 마케팅으로 승부를 볼 수도 없는 상황이라면, 결국 우리가 갈 방향은 개인화와 커뮤니케이션 강화 그리고 글로벌 서비스로 함축된다.


VIKI와 왓챠 앱은 Touch MBC에서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능(실시간 채팅, 댓글, 이벤트 등) 이외의 기능으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융합해서 개인화 기능까지 확장한다면 차별화된 앱으로 변모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영화 한 편, 드라마 한 편 단위의 평가가 아닌, 다양한 프로그램의 회차별 실시간 평가를 통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얻고, 고도화된 개인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Touch MBC 신규 서비스


프로그램 회차별 시청자 평가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화 기능 및 다양한 확장 기능 제공

문제는, 현재도 창피한 DAU를 보이고 있는 앱에서, ‘많은 사용자의 참여가 보장되어야 가치 있는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 맞는가’이다. 이는 결국, 어떻게 보다 많은 시청자들이 앱을 구동하여 평가라는 액션을 수행하게 할 것인가 라는 문제로 이어지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


1. 콘텐츠의 다양화

시청자의 관심이 높은 MBC의 대표 프로그램들이 평가 대상에 모두 포함되어 DAU 향상 및 타 프로그램으로의 관심 전파 역할 수행


2. ‘바로 그때’ 평가

많은 평가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편성된 방송이 끝났을 때 바로 평가가 이어질 수 있는 촉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 필요

- 방송이 끝난 시점에 모바일 앱 Push를 통한 평가 진행

- 방송 마지막에 하단 자막 등을 통한 홍보

 ex) “시청소감? 공감! 지금 바로 Touch MBC!”


3. 보다 손쉬운 UI/UX

‘평가하기가 제일 쉬웠어요’라는 말을 들을 수 있도록 메인 화면에서 2번 이하의 터치로 평가 완료


4. 개인화 서비스

시청자가 뽑은 프로그램 별 Fun 회차, 동일 평가 집단의 정보를 통한 프로그램/클립 추천, 본방 알람 서비스 등



제작진도 서비스의 사용자, 제작진에게 다양한 가치 제공


보다 많은 방송 프로그램들이 Touch MBC에 참여하여 콘텐츠가 다양해 지기 위해서는, 제작진이 단순한 서비스의 제공자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그들도 서비스의 사용자라는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가치를 제공해야만 한 번이라도 더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는 건 당연지사. 그렇다면 어떻게?


1. 시청자 평가 분석 기능

에피소드별 평가 그래프, 등장인물별 호응도 변화 그래프, 시청률 상관관계 그래프, 에피소드별 시청자 VOC 등 제공


2. 시청자의 평가 내용 리포트

등록된 사용자의 이메일 및 SMS를 통해 주기적(일간/주간/월간) 리포팅


3. 프로그램 PPL 온라인 “판” 제공

회차별 사용된 PPL의 온라인 판(장소)을 제공하고, PPL Interactive 서비스와 통계 제공


4. 제작진이 쉽게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정보 확인할 수 있는 직관적 UX의 관리자 서비스



소통의 집중 그리고 타겟팅


소통 중계 — 누구와의 소통을 의미하는가? 
참여자들 간의 소통? 참여자와 프로그램 간의 소통? 전자라면 이미 기존의 서비스를 통해서 충분히 경험한 것들이라 큰 장점은 없다. 후자라면, 참여자가 이야기하는 대상인 프로그램의 주체는 누구인가? 그 애매모호함, 즉 책임감의 분산에서 오는 소통 단절이 문제인 건 아닐까?
차별화된 소통 중계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 지정된 사람과의 소통이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프로그램 내 특정 대상과의 소통 방법이 필요하다.


1. 소통 중계 시 특정 대상 지정 Talk

일반 사용자는 소통 중계 대화창에 ‘@’를 통해 출연진(프로그램에 기 등록된 대상자들. ex, 아나운서, 해설자, 남주, 여주 등)에게 대화를 보낼 수 있고, 출연진은 자신에게 오는 내용만 볼 수 있는 옵션 필요


2. 출연진 별 전용 타임라인

출연진 별 TV Talk이 별도로 존재. 소통 중계에서 ‘@’로 남긴 내용은 해당 출연진 타임라인에 모아서 볼 수 있는 기능. 출연진 타임라인에서 직접 글을 남길 수도 있고 소통 중계로 남기는 방법도 가능.


3.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

출연진이 나오는 프로그램이나 동일한 출연진에 글을 남긴 사람의 선호 프로그램 정보 등을 활용하여 개인화 서비스 제공



멀티 디바이스와 글로벌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


위의 분석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상위 랭커들은 모바일과 PC 등을 통해 멀티 디바이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글로벌 서비스 특히 아시아권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제 다양한 채널을 통해 보다 넓은 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세상이 되어버린 듯하다.






마무리


글을 작성할수록, 미디어 플랫폼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이며 끝이 보이지 않는 치킨게임이란 생각이 들었다. 국내외 IT 공룡 회사들, 통신사, 방송사 그리고 수많은 후발 주자들까지 너무나 많은 경쟁자들이 싸우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난국 속에서 MBC 대표 모바일 플랫폼을 지향하는 Touch MBC는 어떤 포지셔닝을 해야 하는 걸까?!


글에서 밝혔듯이 많은 사용자를 가진 플랫폼의 힘을 빌리거나 막대한 자본으로 승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모든 것을 울타리 안에 담으려 하는 것보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특화된 기능으로 작고 빠르게 시작하는 서비스로의 변모가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 해외 평점 서비스

메타크리틱(https://namu.wiki/w/%EB%A9%94%ED%83%80%ED%81%AC%EB%A6%AC%ED%8B%B1?from=%EB%A9%94%ED%83%80%EC%8A%A4%EC%BD%94%EC%96%B4)

로튼토마토(https://namu.wiki/w/%EB%A1%9C%ED%8A%BC%20%ED%86%A0%EB%A7%88%ED%86%A0?from=%EB%A1%9C%ED%8A%BC%ED%86%A0%EB%A7%88%ED%86%A0)

매거진의 이전글 모바일 뉴스와 14F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