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쥬쥬 Mar 26. 2019

영화, 그녀(Her)

무미건조한 두 번째 관람평

*영화의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이 영화가 처음 나왔을 때, 포스터만 보고 이 영화를 봐야겠다고 마음먹었던 그때.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난해하다 말했다. 그리고는 곧 극장에서 내려졌고, 한 발 늦어버린 나는 결국 어느 심심했던 날 침대에서 혼자 이 영화를 보게 되었다. 흔히 말하는 '느낌 있는' 영화였다. 색감도 음악도 사람들을 홀릴 만큼 아름다웠고, 내용은 독특하고 난해했지만, 따뜻했다. 몽환적인 배경에 매력적인 스칼렛 요한슨의 목소리가 더해져 나의 감각들을 찬찬히 깨워주었다. 그렇게 이 영화는 나의 머릿속 어딘가에 은은하고 붉은 잔상으로 남게 되었나 보다.


첫 번째 감상이 온전히 감각과 로맨스에 치중했다면, 두 번째인 이번 관람은 다소 이성적인 접근이었다. 사실 나는 영화를 즐기는 편이 아니라, 같은 영화를 여러 번 보는 일도 어지간해서는 없다. 그런데 최근에 이 영화가 자꾸만 머릿속에 맴돌아 다시 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우습지만 그 계기는 '블루투스 이어폰'이었다. 애플이 '에어팟'을 처음 내놓았을 때, 우리가 그 존재를 얼마나 비웃었는지 잊은 사람이 있을까. 그 요상하고 불편해 보였던 물건은 불과 3년도 되지 않은 지금 보편화되었고, 심지어 나조차도 무선 이어폰을 찬양하기에 이르렀다. 2013년 그 영화 속에서 모두가 조그마한 것을 귀에 꽂고 혼자 중얼거릴 때, 그때는 영화에서나 가능한 줄 알. 영화가 개봉한 지 3년이 지나자 그것은 현실세계에 처음 등장했고, 또 3년이 지나자 '보통의 것'이 되었다. 


어쩌면, 이 영화 속의 다른 모습들도 머지않은 미래에는 보통의 것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호기심과 두려움이 생겼다. 그래서 마치 미래에 일어날 일을 미리 훔쳐보는 듯한 기분으로 이 영화를 다시 틀었다. 그리고 한 장면 장면이 더 이상 상상에만 머물러있지 않을 수도 있다는 열린 마음으로 영화를 보았다.




주인공 테오도르는 전 부인과 많은 것을 공유하며 성장해왔지만, 불우한 환경에서 자라 조금은 유약한 그녀의 모습을 완전히 감싸주지 못하고 결국에는 이혼에 이른다. 그리고 그 자리를 완전히 메워는 존재는 컴퓨터 OS인 사만다이다. 사만다 사랑을 키워나가는 과정은 그녀(?)가 단지 컴퓨터 프로그램에 불과하다는 것을 순간 잊게 될 정도로 따뜻하게 그려진다. 컴퓨터와의 사랑이 전혀 이질적이지 않게, 그저 SF 영화스럽지 않게 느껴지 이유이다.


한편으로는 남의 감정을 전문적으로 대필해주고, 사람 간의 소통이 지극히 제한되며 무미건조해 보이는 이 세계 속에도 인간의 감정들이 힘겹게 자신의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음을 발견했다. 대필된 편지를 통해서도 감동을 느끼고, 어플을 통해서도 사랑을 나누며, OS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으며 위안을 받는 모습을 보면 마치 사막에 피어난 한 떨기 꽃을 보는 것 같다. 인간의 감정은 여전히 살아있구나 하는 희망의 불씨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래서 결국에 남는 것은 사람이다. 

그런데 사람만 남은 것일까. 사람이 버려진 것일까.





+ 영화를 다 보고 난 후, 나는 잡다하고 엉뚱한 몇 개의 랜덤 한 질문을 갖게 되었다(아무말대잔치)


Q. 사람은 결국 사람보다 완벽한 모습을 보이는 컴퓨터에 의지하게 될까?

- OS가 떠나자 전 부인에게 진심으로 사과하는 모습, 인간 친구를 다시 찾아가 위로받는 모습을 보면 결국 사람을 채워주는 것은 사람이라는 사실로 귀결된다. 사람의 부족함을 채워줄 수 있는 것은 컴퓨터이지만, 컴퓨터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것도 결국에는 사람이. 일방적 의지보다는 공존하는 세상이 아닐까.


Q. 영화에서처럼 인공지능과 감정을 교류할 수 있게 된다면, 인류는 멸종하게될까? 혹은 인위적인 방법으로 번식을 이어나가게 될까?

- 실제로 인간이 아닌 존재와 사랑에 빠진다면 사랑의 결실 중 하나인 번식은 불가능해지고, 그대로 인류는 멸종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면 인류는 그대로 사라지게 되는걸까? 혹은 '번식'이 사랑과는 별개가 되고 그 자체의 목적을 가지는 행위로 분리되는 것은 아닐까.


Q. 인공지능의 영역이 사람 그 이상으로 커졌을 때도, 여전히 그것을 컴퓨터의 일부로만 여겨야할까?

- OS랑 친구가 되고, 연인이 되는 것이 더 이상 이상한 일이 아니라면, 컴퓨터는 여전히 고철덩어리에 불과한 걸까? 아마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어쩌면 아예 다른 영역이 열릴지도 모른다. 우리가 인공지능의 인권(?)을 주장하게 되는 날이 올지도.....

매거진의 이전글 취향을 만들어가는 기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