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예령 Aug 28. 2022

06. [에너지] 바람, 환기와 통풍

캐나다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전하는 자연주의 인테리어 이야기





'창' 은 

추위, 비바람, 침입, 등으로부터 실내 공간을 보호하는 외벽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자연광을 받아들이고, 환기를 하고, 외부를 조망케 하는 추가적인 주요 역할들을 수행하죠. 이전 글에서 창을 통해 자연광을 들이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면, 이번에는 창을 통해 바람을 들이리는 일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면 어떨까 해요. 




실내 공간에서의 환기는 매우 중요해요. 거주자의 건강 뿐만 아니라- 집 자체의 건강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작업이죠.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유해물질 (거주자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외부보다 실내 공기의 질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지요.) 




보통 상업 건물에는 설비 시설을 통한 기계환기가 작동을 하고 창문을 개패하여 환기하는 것은 보조적인 역학을 하게 되고, 그래서 커튼월등 창문이 없는 공간에서도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는 순환되지요. 하지만 주거 공간, 특히 주택의 경우 자연 환기의 방법은 창문을 여닫으며 조절하는 방법이 가장 전통적이고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며, 이때 창문의 역할은 굉장히 중요할 수 밖에 없지요. 




창을 열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들어오게 하는 일은 집을 건강하고 튼튼하게 관리하는 중요한 관리법이며 건강하게 실내 공간에서 지내기 위해 필수 불가결 적으로 필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창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은 집 안의 순환을 일으켜 주택이 숨을 쉬도록 하여 건강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언급한 자연채광의 기능과는 달리 공기의 순환에서는 창문의 위치보다는 배치 (구조와 동선과 연관성이 있는 레이아웃)가 더 중요하고 창의 크기보다는 창의 개패 방식이 기능에 더 큰 영향을 줍니다.



1. 창의 배치 (Window Layout) 

창문의 배치 중 가장 많이 신경 써야 할 것은 가까이에 인접한 다른 집이나 건물쪽으로는 아무리 크고 좋은 창을 낸다 하여도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통풍에 큰 의미가 없으므로 다른 쪽 벽에 메인 창을 설계하는 것이 좋겠지요. 동선과 통로 등을 고려하여 창이 한 공간 안이나 한 통로의 끝과 끝에서 마주 보게 뚤려 있는 것이 ‘맞바람’ 을 일으키기 때문에 훨씬 더 시원하고 좋은 공기를 내부로 끌어들일 수가 있어 좋고, 훨씬 더 효과적인 환기를 할 수 있을 겁니다.  (어른들이 강조하시는 맞바람.. 맞바람.. ^^) 



특히 조리의 행위가 일어나는 부엌이나 음식 냄새가 많이 나는 주방/식당, 그리고 습기가 많이 찰 수 있는 욕실 등 다복합적인 기능이 일어나는 공간에는 반드시 작게라도 창을 내는 것이 좋습니다. 신축일 경우 조리 공간의 위치와 창을 항상 연관 지어 생각하여 설계해야 하며 기존 주택 리모델링의 경우 부엌 쪽에 창이 나 있다면 창이 나 있는 곳에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를 배치하는 것이 급배수의 위치를 고려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죠.




‘실내 공기 질 (Indoor Air Quality)’ 은 건강한 집을 위해서라면 설계 때부터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이며, 구조나 동선설계, 그리고 마감재 선정만큼이나, 창의 배치와 창의 개패 방식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여 가장 최적화된 공간을 설계하는 데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입니다. 환기/통풍/그리고 공기의 순환... 이 얼마나 중요한 자연의 요소인지요.     





2. 창의 개패 방식 (Window Opening Types)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자연의 바람을 집으로 들이기 위해서는 크기와 배치만 창의 개패 방식 역시 중요합니다.  특정 창들의 경우 창의 크기는 클 수 있지만 창을 열었을 때의 면적이 작아 통풍이나 환기가 크기에 비례하여 매우 작고 미미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여닫이창: 여닫이창의 경우 고정 면이 측면에 각각 달려 밖으로 여는 방식입니다. 단일 창이든 더블 창이든, 창호면 거의 전체를 개방할 수 있어서 개패 방식에 따른 창의 종류 중에서 개방 시의 환기와 통풍의 효과가 가장 큽니다. 개패 방식도 편리한 편이어서 흔하게 사용되는 창이죠.


  

* 우리가 흔히 보는 미닫이 (슬라이딩) 의 경우, 대부분 창을 열었을 때 개구부 전체의 반을 환기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여닫이창만큼은 아니어도 환기/통풍의 효과가 큽니다. 수평 (옆으로) 여닫는 창은 가장 흔하게 접하는 창이며, 수직 (위/아래) 으로 여닫는 창은 기능 면에서 창의 아랫면을 활용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 특별한 분위기를 줄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개패 방식의 창호입니다. 다만 개패 방식이 옆으로 밀고 닫는 미닫이창보다는 불편하여 많이 선호되지는 않는 편이죠. 



* 프로젝트 창은 외부 쪽으로 열리는 구조로 비가 내리는 날에도 환기를 위해 개방할 수 있고, 개패를 위해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욕실 등 작은 공간을 위한 작은 창의 개패 방식이 대부분 프로젝트 창인 경우가 많습니다. (변형 형태: 턴앤 틸트 방식)





* 고정창은 개패를 할 수 없게 만든 고정형 창문이며 환기와 통풍의 기능은 없고 자연광의 유입과 외부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만을 갖은 창입니다. 





Image Reference: 디자이너 개인 소유






실내가 뽀송하고 (극단적 건조한 거 말구요 ㅎㅎ), 환기와 통풍이 잘 이루어지면 - 나쁜 냄새가 오래 머물지 못하고 여러 유해한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증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집관리 차원에서 매우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자연광이 식물이 잘 자라는 필수 요건인것처럼, 바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은 식물을 건강하게 하지요 ^^ 우리에겐 어떨까요...? 빛과 바람, 자연의 빛과 자연에서 오는 바람이 많은 집에서 지내게 되면... 우리에게는 얼마나 좋은 영향을 미칠까요...? 우리 모두 잘 알고 있을 것 같아요..^^







l 민예령ㅣ
캐나다에서 실내건축을 전공했고 캐나다 밴쿠버 (KKCG / ONNI GROUP) 에서 실무를 쌓았습니다. 
현재 한국에 돌아와 살림과 육아를 병행하며 서울에서 인테리어설계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전 05화 05. [에너지] 빛, 아름다운 자연채광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