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예령 Aug 28. 2022

05. [에너지] 빛, 아름다운 자연채광

캐나다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전하는 자연주의 인테리어 이야기






빛은- 자연의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하고, 가장 아름다운 요소지요. 자연광 (태양) 에 의해 공간을 비추는 것을 ‘자연 채광 (natural light)’ 이라고 하는데, 자연 채광에 대해 논하기 전에 빛- 에 대해 먼저 잠깐 이야기 해볼까요? ‘빛’ 은 건축과 실내건축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요소거든요. 

      



빛 (Light)




'빛이 없으면- 색이 존재할 수 없다' 라는 말은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빛은 색을 나타내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니까요. 하지만 공간 역시 마찬가지죠. 빛이 없으면 공간의 모양도, 동선도, 너비도, 길이도- 아무것도 가늠할 수 없습니다. 빛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활동' 자체를 할 수 없어요. 


 디자인적으로도- 빛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빛은 구조나 모양을 드러내고, 각각 특징이 온전한 (예를 들어 석재의 거침, 나무의 결, 대리석의 차갑고 매끄럽고 반짝이는 - ) 자재의 특징을 비추어 드러내고, 공간에 활력을 줍니다. 자연광이든 인공의 빛이든 단순히 공간을 밝혀 '활동을 가능케' 하거나 '길을 찾게 도와주는'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라- 아름다운 것들을 아름답게 밝히고, 번쩍번쩍 화려하거나, 은은하게 차분하거나, 따~스하고 포근하거나- 하는 분위기 (ambience)를 창조하는 역할 역시 합니다.


Image Reference: Pinterest 


 




빛의 기능을 좀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아요. 




1. 광 (light-up) 

광학적 요소/공간 밝히기는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공간의 목적과 디자인 별로 - 빛의 크기, 밝기, 모양, 투과, 굴절, 반사, 확산, 반사 등의 여러 가지 들을 고려하게 되겠지요?



2. 웨이파인딩 (wayfinding) 

빛은 길의 안내자 역할을 하지요. 한 공간을 밝히는 것 외에, 사용자나 거주자의 동선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빛을 주는 것 (인공광이든 자연광이든) 은 또 하나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어떤 곳을 더 강조하여, 그곳이 더 중요한 공간이라는 것을 표현하기도 하고, 일부러 그곳으로 유도하기도, 오래 머물게 하기도 하지요. 



3. 컬러매니지먼트 (Color-Management) 

빛은 컬러를 조정합니다. 빛의 종류와 강도와 CRI (color rendering index) 라는 연색지수 (높으면 높을 수록 비추는 사물의 컬러를 가장 정확하고 명확하게 표현해 줍니다.) CRI 가 낮은 형광등 아래 있는 것보다, 매우 높은 CRI  아래 있을 때~ 우리는 더욱 예뻐 보이겠죠? ^^ (사실 예뻐 보이기 보다는, 적나라하게 보인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구요.. 예뻐 보이는 조명은, 에르메스 매장 위에 사용되는 등의 다른 타입의 전구가 필요합니다 ㅎㅎ)



4. 분위기 (Ambience) 

자연광이든 인공광이든,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서 분위기는- 정말이지 빛의 역할이 매우 큰 요소입니다. (특히 저같은 #인프제 #infj 에게는요.) 자연광도 그렇지만, 인공광 역시 어떤 타입의 광원과 어떤 lux (빛의 강도~) 와 lumen (빛이 비추는 크기~), 그리고 어떤 타입의 diffuser (빛의 확산을 일으키는 커버라고 이해하심 편해요.) 등의 조명 기기인지에 따라서 엄청난 분위기 차이가 있지요. (우왕 흥미롭고 더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지만~) 



5. 스타일 (Style) 

어떤 조명 빛과 어떤 조명 기기들을 쓰느냐에 따라 공간 디자인에 있어 스타일은 완전히 달라지겠지요? 아주 클래식하고 앤티크한 샹들리에와 노란 전구색 2700K 전구들이 달린 조명을 거실 한가운데 달면 같은 인테리어를 했다고 하더라도, 모던한 일자형 조명과 모던하고 미니멀한 매립등을 쓰는 것과는 아주 다른 공간이 완성되는게 당연합니다. 이 스타일- 에 관해서는 100% 사용사나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디자인되고 선정되겠죠..^^ 












자연채광 (Natural Light)


자연채광은 우리가 실내에게 건강하고 아름답게- 지낼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자연광이 실내로 충분히 들어오는 일은- 우리의 건강을 위해서나, 실내 공간의 심미적 요소를 위해서나, 그리고 경제적인 면으로나, 아주 다양하고 커다란 이점이 있지요.   


        

-건강 (Health)-


기분: 햇빛은, 우리에게 자연과의 연결성을 주어 심리적으로 좀 더 편안하고 안전한 느낌을 주죠. 특히 세라토닌의 분비를 도와 거주자의 기분을 up~ 시키고, 우울증 (노노~)을 방지하는데 커다란 효과를 줍니다.

우리: 자연채광을 많이 받으면 그 유명하고 그토록 필요한 비타민 D 섭취를 충분케 하겠지요? 우리의 건강에 많은 이로운 작용을 하며, 신체 리듬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여러 과학 논문에 의하면, 햇빛을 자주 쬐는 습관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20년 가량을 오래 살 가능성이 2배 이상 높아진다고 하며, 여러 질병에 걸리는 가능성이 훨씬 더 낫다고 합니다. 집에서도, 밖에 있는 것처럼- 충분한 자연광을 받고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공간: 자연광은- ‘살균효과’ 가 있습니다.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죽일 수 있는 ‘천연 살균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집안이 더 간강하고- 쾌적하게 유지 될 수 있지요. 


-경제 (Economy)-


자연광이 많이, 그리고 잘 드는 집은 인공광원 (전깃불!) 에 훨씬 덜 의지할 수가 있어 전기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전기 요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100원도 소중하니까요 ♡) 보통 건축가나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이 알고 있는 대략적인 에너지 절감률은, 충분한 자연채광 활용이 이루어졌을 때 보통 35% 이상의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연광의 복사열은, 다른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집을 따뜻하게 하지 않아도 늘 집안을 따뜻하게 해주지요. 난방에 쓰이는 에너지 역시, 절약할 수 있게 해줍니다.     


  

Image Source:  Iikimono Architects 

    

자연채광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얼마나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도 부족함이 없을 것 같습니다.  자연채광을 위해서는- 창의 방향 (orientation), 창의 위치 (location), 그리고 창의 크기 (size)- 이렇게 세 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1. 창의 방향 (Window Orientation)      

창의 방향은 가장 첫번째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실내에게 사장 많은 창이, 가장 넓은 면적으로 창이 나 있는 쪽을 빗대어 우리는 집이 XX 방향으로 앉아 있다고 설명합니다. (남향, 남향, 무조건 남향 ㅎㅎ) 일반적으로 북반구에 위치한 집들은 남쪽으로 메인 창이 나 있는 것이 동쪽에서부터 서쪽으로 종일 자연광이 고르게 가장 많이 든다고 잘 알려져 있어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특히 더 남향을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남향, 남향, 남향~~ ㅎㅎ) 가장 많이 직접 햇살을 받을 수 있고, 또 가장 긴 시간 동안 해가 들기 때문입니다...^^     겨울 어느날 저희 집 사진이예요.  한겨울 아침에도- 찬란하게 드는 햇살... 덕분에 난방비도 많이 아낄 수 있어요.  


Image Reference: 디자이너 개인 소장 








2. 창의 위치 (Window Locations)      

주택을 구입하거나 신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자연광이 얼마나 많이, 그리고 깊숙이, 그리고 계획적으로 잘 들어오는가입니다. 특히 창의 위치나 크기 등은 한 번 정해지거나 지어지고 나면 쉽게 바꿀 수 있는 요소가 아니므로 중요해요.  일반적으로 창문이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빛이 유입되며, 더 많은 양의 면적을 비추고, 공간의 깊은 곳까지 깊숙이 유입되어 좋습니다. 천창 (천장에 뚫는 창) 이나 클리어스토리 (벽의 가장 높은 곳에 일자로 길게 나 있는 창) 들은 자연광의 유입을 극대화 시켜주는 형태의 창문이므로 주택 디자인을 할 때 반드시 고려해 보면 좋은 요소들이예요. 같은 크기의 창일 때 창문을 높게 뚫으면 뚫을수록, 채광률은 올라갑니다. 하지만 너무 높은 곳의 큰 창은 오히려 빛반사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창호의 계획가 디자인은 매우 중요합니다. 


     

Image Reference: Pinterest

      

          





3. 창의 크기 (Window Size)     

일반적으로 창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빛의 양이 많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큰 창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숙지하고 있는 룰 (rule) 은 바닥면적 대비 10% 이상은 창으로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큰 창은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도 있기 있기 때문에 (1. 겨울에 열을 밖으로 많이 빼앗기게 되는 요소 2. 프라이버시 문제) 건축주와 설계자가 충분한 설명과 협의를 통해서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해야해요. 벽 전체가 창인 통창/전면창 같은 경우 빛이 많이 들고 건축적 심미성과 가시성을 동시에 줄 수 있어서 많은 사람이 선호합니다만 위에서 언급드린 건축적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요즘엔 기능이 강화된 유리가 너무 많아 걱정을 덣었지만 그래도 단열재+단열재+벽+단열재+단열재.... + 마감재 로 이루어진 일반 외벽과는 추위로부터 우리를 지켜줄 수 있는 능력 역시 한계가 있지요. (아 추워~)  (통창에 가장 큰 의미는- 1. 뷰를 전체적으로 들이기 + 2. 개방감) 입니다. 







설계일을 하다 보면.. 유치원이나 학교 프로젝트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거나 상업 공간보다도, 훨씬 더 자연채광에 대한 법적 기준이 까다롭지요. 성장기 아이들에게- 자연광은- 정말 너무나도 중요하며, 그러기에- 그러므로- 밖에서 많이~ 뛰어 노는 것 만큼- 아이의 방은 빛이 많이 드는 향에 앉은 방을 주고, 아이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책상은, 반드시 창가쪽으로 놓습니다... ^^





Image Reference: Nick Stephenson















자연의 빛이 없는 공간은- 결코 건축적 장소에 이를 수 없다. 

                                             - Louis I. Kahn: Light and Space -














l 민예령ㅣ
캐나다에서 실내건축을 전공했고 캐나다 밴쿠버 (KKCG / ONNI GROUP) 에서 실무를 쌓았습니다. 현재 한국에 돌아와 살림과 육아를 병행하며 서울에서 인테리어설계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전 04화 04. [프롤로그] 자연,그 품을 실내로 들여오는 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