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주미 Oct 05. 2017

몰입을 위한 음악 활용법

글쓰기 모드 전환을 위한 스위치

   

가끔 낯선 장소, 낯선 사람들에게 강의를 하러 간다.


강의 준비를 할 때 강의 장소나 수강자들의 특성을 많이 고려하는 편이다. 비슷한 주제라도 똑같은 내용, 똑같은 형식으로 강의가 흘러가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누구를 대상으로 하든, 주제가 무엇이든, 강의 마지막에 빼놓지 않는 시간이 있다. 바로, 메모나 편지 등 간단한 글을 쓰는 순서이다. 한, 두 시간의 짧은 강의라도 수강자들이 들은 내용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마음과 생각 속에 저장하려면 글만큼 유용한 것이 없다.      


그런데 한 줄 평이나 간단한 메모라도, 글 쓰는 자체가 두려운 사람들이 꽤 있다. 글을 써보라고 하면 인상부터 찌푸리거나 몰래 나가려고 눈치를 보기도 한다. 그럴 때 나만의 비장의 무기가 있는데, 바로 음악이다.     


며칠 전에도 인문학 특강을 마치며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쓰도록 했다. ‘자기 평가’를 해보는 의미로 자기 인생을 돌아보며 칭찬해주고 싶은 점, 자신의 긍정적인 점 등을 쓰게 했는데 많은 분들이 시작할 엄두조차 못 내고 있었다. 그 순간, 평소 내가 즐겨 듣는 피아노 경음악을 잔잔히 틀었다. 음악을 틀고 아무런 설명도 없이 5분 정도 기다렸더니, 마법처럼 수강생 모두가 고개를 숙이고 뭔가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분들에게 피아노 연주곡이 글을 쓸 수 있는 분위기로 감정을 전환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 것이다.    


음악이 특별한 분위기나 정서 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는 사실은 십 년 넘게 방송작가로 일하며 체득한 것이다.     


한창때 나는 세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함께 제작하기도 했다. 매주 고정으로 방송되는 시사프로그램을 구성하면서, 축제 기간을 맞아 특집 쇼오락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었고, 일 년 동안 준비한 휴먼 다큐멘터리의 막바지 작업도 한창이었다. 이 시기에는 하루 중 세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하며 기획안과 구성안, 대본 쓰기를 번갈아가며 해야 했다. 같은 방송 글이지만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 그리고 글을 읽을 내레이터나 진행자에 따라 문체가 달라져야 했다. 이때, 음악은 프로그램의 색깔에 맞게 문체를 변환하는 유용한 도구가 되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시사프로그램의 구성안을 쓰기 전에는, 무거운 분위기의 교향곡이나 뉴에이지 음악을 들으며 냉철하면서도 진지한 어투로 질문과 대답을 이어간다. 쇼오락프로그램을 기획할 때는 요즘 유행하는 K-POP 등을 들으며 곡의 배치나 무대의 분위기 등을 떠올린다. 그리고 휴먼 다큐멘터리 대본 작업 전에는 피아노나 클래식 기타 연주곡을 들으며 주인공들이 들려주는 인터뷰나 일상의 풍경에 몰입하도록 마음가짐을 다잡는다.     


글을 쓰는 장소가 어디든,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잠시 감상하고 있으면 주위에 보이지 않는 장벽이 쳐진다. 적재적소에 울려 퍼지는 음악은 주위의 공기와 기분을 바꾸어 분위기에 쉽게 젖어들게 하는 힘이 있다. 스스로를 혹은 또 다른 누군가를 몰입시키는 글쓰기를 하고 싶다면 음악이라는 마법의 지팡이를 잘 휘둘러보자.




"평생 글을 쓰며 살 생각이라면 자극제에 계속 기대지 않고도 일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경우에 따라선 적절하게 사용해도 되는 자극제가 있는 반면, 완전히 끊어야 하는 자극제도 있다."

 - 도러시아 브랜디, <작가 수업> 중에서


이전 05화 최적의 집필실을 찾아서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