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사과 나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말 Nov 27. 2022

제목학원 출신 강태공들이
왜 출판사에

책의 제목은 책이 무엇에 관한 것인가를 드러낸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 책 제목의 주된 역할은 다름아닌 낚시다. 기레기들이 기사 제목을 달 때와 같은 접근 방식이다. 얼마 전에는 '이것' 어쩌구 하는 제목에 낚인 독자가 기사에 이런 댓글을 단 것을 보았다.


- 기사 제목에 '이것'이 있으면 기레기다


많은 책들의 제목이 의역을 넘어서 오역이다. 물론, 몰라서 한 오역이 아니라 소비자를 속이려고 쓴 오역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책을 잘 안 읽는 이유에는, 책임감이라고는 1도 없는 출판사들이 날뛰는 출판 산업의 현실도 한 몫 한다고 본다.



데이비드 스피겔할터가 쓴 <통계학 기술>이라는 엄청나게 훌륭한 책이 있다. 평범한 제목이다. 통계학을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라야 접근이 가능한 책인데, 한글 제목이 무려 <숫자에 약한 사람들을 위한 통계학 수업>이다. 구매자를 늘려보겠다는 아주 얄팍한 수다. 과연 통할지는 모르겠다.


몰라서 한 오역도 있다. 고의적인 사기, 그리고 원어도 모르는 자가 감히 번역을 해서 많은 사람들을 기망한 죄 중 어느것이 더 악질적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대표적인 것이 피터 스왠슨의 <그녀는 증인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다. 이 문장은 소설 속에 나오는데, 물론 그 문장도 오역을 해놨다. 제대로 번역을 한다면, '그녀는 방관자 같은 표정이었다'라고 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이 소설의 원제는 <그녀가 그를 알기 전에(Before She Knew Him)>다.



물론 대개의 의역은 충분히 공감할 만한 이유가 있다. 사브리나 코헨-해턴의 책 <소방관의 선택>의 원제는 <순간의 열기(Heat of the Moment)>다. 일견 너무 멋부린 제목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그야말로 여러 가지 의미에서 '순간의 열기'에 휩싸여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소방관이라는 직업의 운명이다. 바로 그런 잘못된 결정을 피하기 위한 연구이기 때문에, 책 제목은 대단히 훌륭하다. 하지만 한글 제목도 나쁘지 않다. 무엇보다 더욱 직관적이라서, 책 내용을 예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원제보다 낫다.


아툴 가완디의 <체크! 체크리스트>의 원제는 <Checklist Manifesto>다. 그냥 <체크리스트 선언>이라 하면 될 것을 왜 저렇게 했는지, 조금 아쉽지만 넘어가줄 만한 정도다. 그런데, 의역한 이 제목이 마음에 안 드는 어떤 번역꾼은 자신이 번역한 다른 책에서 이 책 제목을 <체크리스트 선언>이라 써 놓았다. 남이 한 일이 마음에 안 들 수는 있지만 그걸 부정하는 것은 대단히 무례한 일이다. 입장 바꿔 놓고 한 번 생각해 볼 일이다.



엄청나게 훌륭한 의역도 있다. 존 레이티의 <운동화 신은 뇌>의 원제는 <Spark>다. 원제는 경쾌발랄한 이 책에 딱 맞지만, 책의 주제가 잘 드러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의역한 제목은 책의 분위기를 그대로 전해주면서 이 책이 무슨 책인지까지 이야기해준다. 제목 학원에 다녔다면 이런 제목을 지어야 하는 것이다. 


사람을 낚아 판매부수나 늘리려는 얄팍한 생각 이전에, 자신이 무슨 일을 하려는 것인지 한번 생각을 해보자.


매거진의 이전글 친구의 파리 여행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