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말 Jul 25. 2022

둔필승총 220725


한성열, <이제는 나로 살아야 한다>


- 가까운 사람에 대해 흉을 보는 이유는 서운하거나 미운 감정을 해소하고 다시 좋은 관계로 돌아가고 싶어서다.


- 한국인의 89%가 성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대답하여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세계 평균 73%보다 월등히 높고, 일본의 53%의 두 배에 가깝다.


- 중년기의 외도는 젊은 이성을 통해 자신이 아직도 젊다는 것을 확인하려는 것이 주목적이다.


- '열 효자가 악처 하나만 못하다'라는 속담도 있다.


마땅한 대화 상대가 없다면, '빈 의자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빈 의자에 베개나 물건을 두고, 그 베개를 대화 상대(부모, 배우자, 자식)라 생각하고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동안 쌓아두었던 남편에 대한 울분을 속 시원히 털어 놓자,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잊고 있었던 남편과의 즐거운 추억들이 되살아나기 시작한 것이다.


-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기 위해서는 표현해야 한다.



박상미, <관계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 공감 대화는 딱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생각을 말하지 말고 소망을 말하세요.


- 문장을 적어 놓고 읽어보자. 5~10개의 문장을 만들어 매일 아침과 잠들기 전에 소리 내어 읽는다. 목표를 이룬 문장은 지우고 새로운 문장을 추가한다. 예시>>> 화가 날 때 잠시 멈추고 심호흡을 하니 점차 차분해지고 있어. 나에게 불쾌한 감정을 일으키는 사람들을 연민의 감정으로 바라보니 내 마음이 편해지고 있어. 나는 사람들을 만나면 먼저 웃고 있어. 사람들 대하는 것이 편해졌어.


- '절대', '당연히', '무조건'과 같이 단정적인 표현도 뇌를 부정적으로 바꾼다.


슈바르츠발트


자크 타상, <나무처럼 생각하기>


나도 나무를 정말 좋아하지만, 좀 아무말 대잔치 느낌이다. 딱 하나만 예를 들자면, 논리학의 트리 구조를 가지고 나무를 예찬하는 건 좀 너무 나간 것 아닐까?


- 나무와 인간의 차이로 인해, 화가들이 스케치한 나무의 실루엣은 그 시대 예술의 방식에서 벗어난다고 철학자 로베르 뒤마는 <나무의 철학>에서 주장한다.


- 어느 지역 농부들은 전통적으로 용설란속과 야자나무를 이용해 가뭄이 심할 때 증기를 모은다. 여기에서 영감을 받은 엔지니어들은 건조한 지역에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그물 기둥을 세워 물을 채집한다.


나무의 엄청난 수명 앞에서 우리는 삶의 덧없음을 느낀다. 이때 거대한 고독을 마주할 수 있다.


- 1827년 산림법을 제정한 프랑스는 계속해서 숲을 늘려나갔다. 1908년에 국토 면적의 18.7%가 숲이었지만 2016년에는 약 30%가 되었다. 현재 프랑스의 숲은 24억 세제곱미터로 유럽에서 가장 넓다. - 교차 검증을 좀 해봤다. 구글 검색에 따르면 스웨덴이 가장 넓다고 한다. 왜 세제곱미터로 계산했는지도 의문이다. 독일의 슈바르츠발트만 해도 면적이 60억 제곱미터인데, 숲의 평균 높이를 4미터로 잡으면 24억 세제곱미터가 된다. 프랑스 사람인 저자의 국뽕적 주장인 듯.


매거진의 이전글 릴리 킨트너 vs 아이린 애들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