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카무로 마키코, <원인과 결과의 경제학>
랜덤화 비교 시험이 불가능할 경우, 비슷한 상황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판촉 이벤트가 매출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상황을 사례로 해서 각각의 방법의 사례를 이야기해보겠다.
- 이중차분법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건 전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직접 시험을 하지 않을 (못할) 뿐이지, 랜덤화 비교와 별로 다를 게 없다. 판촉 이벤트를 한 매장과 그렇지 않은 매장의 이벤트 전후 매출을 비교하는 것이다.
- 조작변수법 - 원인에 영향을 주는 방법으로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제3의 변수를 찾아내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는 방법. 사례의 경우, 판촉 비용이 외부 변수에 의해 낮아진 경우를 이용해 비교하는 것이다. 예컨대 어떤 특정 지역 신문사가 광고료 할인을 했다면, 그 지역 매장이 실험군이 되고 신문사 광고료 할인 행사가 없던 지역의 매장이 대조군이 된다.
- 회귀 불연속 설계 - 컷오프 값 전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이 갈리게 하는 기법이다. 사례의 경우, 직원 50명 이상의 매장에서만 판촉 행사를 했다면, 직원 50명 매장이 실험군, 49명 매장이 대조군이 된다.
- 매칭법 - 결과에 영향을 줄 변수들을 찾아내, 샘플들을 하나씩 골라 매칭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비슷한 특성이 되도록 조정한 다음 비교하는 방법이다. 사례의 경우, 점장의 연령, 지역 인구, 지역 평균 소득이 그런 변수들로 파악되었다면, 실험군과 대조군에 속하는 매장들의 집합 사이에서 점장의 평균 연령, 지역 인구 평균, 지역 평균 소득 평균값이 비슷하도록 매장 그룹을 조정한 다음 비교한다.
그러나 <변수>를 찾아내고 해석하는 것은 매우 자의적이며, 오류가 득시글한 분석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변수들 사이에 내부상관성이 있을 수도 있고, 숨겨진 (또는 모르는) 제3의 변수에 함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유의미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모두 찾아낸다는 생각도 공상에 가깝다.
엄지용, <커넉터스>
물류에 대해 흥미로운 여러 가지를 새로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교과서처럼 썼어야 했을까? 흥미로운 주제를 이렇게 재미없게 쓰다니... 라고 생각했으나 뒤로 가면서 점점 재미있어진다.
- 도심 상가건물 공실(오피스 포함)이 작은 물류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박지원,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연암 서간집. 옛 사람들 사는 모습 구경하는 건 언제나 재미있다. 직접 만든 고추장을 아들에게 보내는 홀아비 박지원. ^^
허승, <오늘의 법정을 열겠습니다>
이경준 성우의 명쾌한 목소리와 저자의 위트가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사과그룹 일감 몰아주기>, <태양광을 피하는 방법> 등등 작명 센스도 작렬. 그동안 무지하고 무관심했던 주제에 대해 알게 된 것도 큰 수확이다. 정말 좋은 책이다.
- 난민신청자는 취업 등 여러 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난민신청 불허에 대해 이의 신청, 소송 등으로 난민신청자 지위를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취업비자가 만료되면 난민신청을 하는 케이스가 매우 흔하고, 이와 관련한 브로커들이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 학생부에 기재된 학폭 사실은 고교졸업 후 삭제된다. 학폭 사실 기재는 상급학교 진급에 불이익을 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급학교 진학에 관심이 없는 학생에게 아무 효과가 없을 수 있다.
- 대리모를 통해 출생한 아이의 친권은 우선 대리모에게 귀속된다.
하시모토 고지,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물리 이야기>
하나. 이 책에 물리 이야기는 하나도 안 나온다. 그냥 물리학을 연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일기다. 둘. 예전에 MBA 다닐 때, 남의 의견은 다 틀리고 자기 의견은 다 옳다고 주장하는 러시아인이 있었다. 모두가 싫어하던 그 사람의 주장은 이랬다. 자기는 물리학자(였)고, 물리학자는 무조건 자기 주장이 옳다고 주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 때문에 물리학을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에 대한 이미지가 더 나빠졌다. 셋. 1759가 소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아주 신박한 책이다. 그야말로 아무말 대잔치.
- 유일하게 건진 한 가지. 광합성을 하는 잎이 초록색을 띄는 이유는, 가시광선 중 초록색이 가장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식물 조직에 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