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runch
브런치북
프랑스에서 400일
03화
실행
신고
라이킷
21
댓글
공유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by
빌리브
Jan 24. 2024
프랑스에서 400일 - 3)릴3대학
미술학교 이야기를 쓰려고 했는데 아무래도
순서상 릴3대학
Universite Lille 3
부설
어학원의 이야기를 먼저 써야 할 것 같다.
사실
어학원
에
다닐 생각은
없었
지만
장기체류를 하기 위해서는
대학 부설
어학원에 등록해서 학생비자를 얻는 것이 필요했다. 그래서 결국에는 프랑스어를 배우게 되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잘한 것 같기도 하다
.
릴3대학은 공과대학인 릴1대학만큼 거대하진 않았고 작고 아담한 문과대학이었다
.
학생이 엄청나게 많지도 적지도 않았다.
시설은 조금 낡았지만 적당히 쓸만했고 아주 깨끗하지는 않지만 못쓸 정도로 더럽지는 않다.
프랑스에
는
한국처럼 새로 만들어서
번쩍거리게
깨끗하고
좋은 것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
려웠다.
그러다 보니
꼭 깨끗하고 새로 만든 것이 좋은 것
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많이 알려진 이야기지만
파리의
대부분의
건물들
은
문화재로 지정하여
수리를 할 수 없게 막아버렸다.
나중이 돼서야 알게 되었지만
이런 것들이
프랑스
라
는
국가
를 구성하고 있는 것들이었다.
이
런 프랑스적인 것들은 아주 조금씩 나의 사고를 점점 변화시켰다.
조
금 싫증 난다고 버리고 새로 사지 않도록 조심하게 되었고 유행이 지나 못쓰게 되지 않도록 유행을 타지 않는 쪽으로 선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본주의와 맞는 않는 소비
형
태는
한국이나 미국등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것일 수 있다. 아마도 나는 그때부터 프랑스란 나라에서 배울 점들이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점심때까지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기숙사로 돌아가서
점심을 만들어 먹으면서 노트북으로 영화를
보는 것이
당시의 루틴이자
일상이었
는
데
아마도 그동안의 인생에서 본 영화보다 더 많은 영화를
봤
을 것 같다.
프랑스어는 물론 영어도 잘하지 못하던 나는 이때 아이러니하게도 영어 실력이 월등하게 상승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프랑스어는 너무 부족해서 써보기가 어려웠지만 그래도 영어는 버벅거리며 할 수는 있게 되었던 것 같다.
영어는 마트에 가서 장을 보거나
가끔
길거리에서
그리고 학교에서도 꽤나 요긴하게 쓸 수 있었다.
영국유학을 다녀온 선배에게서 들
은 적이 있는
서바이벌 잉글리시를 프랑스에서 경험하게 될 줄은 몰랐다. 물론 나중에 프랑스어가 늘고부터는 영어는 거의 쓰지 않게 되었다.
프랑스어 수업은 기본적으로는
프랑스어로 진행되었지만
도저히
설명하기 힘들 때에는 영어를 사용
할 수밖에 없었다. 영어마저 모른다면 난처한 일이 될 수 있다.
초급반에서 시험에 통과하면 중급반으로 넘어갔는데 학생들을 유급시키기로 악명 높은 프랑스의 대학은 어학원에서도 동일하게 절반이상을 낙제시켰다.
프랑스어 수업을 들으면서 들은 생각은
언어를
정말 효율적으로 잘 가르친다는
것이다
. 영어
도
이렇게 배웠더라면 훨씬 영어를 잘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많이 느꼈다.
다
른 과목과는 다르게 언어는 확실히 배우는 방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 프랑스는 자국의 언어인 프랑스어가 영어에 밀려 2~3위권에 머물렀기 때문에 아주 오래전부터 어학
교습법
대해 연구를 많이 했을 것이 분명하긴 했다.
언어 지식을 그냥 대략적으로 주입한다기보다는 최대한 학생들끼리 실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굉장히 중요시한다. 그리고
적재적소에 새로운 동사라던지 어휘
나
문법을 소개해서 언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아주
잘
짜인
커리큘럼이 느껴졌다.
수십 년
경력의
노련한 조련사가 여유 있게 훈련을 시키는 느
낌
이랄까.
프랑스에서 가장 감탄한 것은 프랑스어 교습법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Cite Scientifique 전철역
기숙사가 있는 시테 시엉티피크역에서 학교
가
있는 뽕
드
부아역까지는 전철로
3 정거장
거리였
는데 전철표
값
도 아끼고 동네 구경도 할 겸 그냥
걸어 다니게 되었다.
지금 구글 지도로 찾아보니
약
3킬로 미터정도인데 그렇게
멀
다고 느끼진 못했던 것 같다.
구글맵 기숙사에서 학교까지
나중에
느낀 것이지만
장기 체류를 결심한 상태에서
어학원을 다닌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
다
. 프랑스어를 하지 못해서 일자리는커녕 일반 사람들과 대화도 잘하지 못하는데 학교라도 가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하지 못했을 것 같다.
프랑스어를 조금이라도 빨리 익히기 위해서 한국사람들을 멀리 하며 지내다 보니 재미있게도 한국어실력이 점점 떨어졌고 특히 글을 쓰려고 할 때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점이 신기했다.
어딘가에 감금되
지 않는 이상
인생에서 거의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몇 달간 혼자 지내며 책을 읽고 영화를 보고 길을 걸으며 생각에 잠기게 되는 나날들이었다.
한국에서 전 직장동료가 보내준 토마스 만의
<
마의 산
>
을 세 번 정도 읽을 수 있었는데 한국에서는 아마 한 번도 보지 못했을 것 같다. 그리고
아마도 글
이란 것
을 써보기 시작한 것
도
이때쯤이었던 것 같다.
마의산의 주인공 한스처럼 나도 요양원에서 진료를 받는 대신 어학원에서 프랑스어를 배우고 있었다. 꼭 그래야 하는 건 아니지만 그냥 당연한 것처럼 그렇게 인생이 흘러갈 때가 있기 마련이다.
keyword
유학생활
프랑스
어학원
Brunch Book
프랑스에서 400일
01
프랑스에서 400일 - 1)갑자기 프랑스
02
프랑스에서 400일 - 2)빌노브다스크
03
프랑스에서 400일 - 3)릴3대학
04
프랑스에서 400일 - 4)미술학교
05
프랑스에서 400일 - 5)파리 입성
프랑스에서 400일
빌리브
brunch book
전체 목차 보기 (총 10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