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하 Dec 20. 2017

겨울, 사선대에서

전북 임실군 관촌 사선대


[용문바위. 섬진강 상류 진안 성수면 오원천변에 있다]


섬진강의 원류, 오원천

진안고원 첩첩산중 계곡에서 흘러내려 개울이 되고 내가 되어 모여드는 곳이 섬진강의 본류인 오원천(烏院川)입니다. 오원천은 지역민이 아니면 찾기 어려울 정도로 깊고 험한 산기슭을 따라 숨어 흐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는 곳이 남원 가는 17번 국도변 관촌 부근에서 입니다.

관촌은 전주와 남원을 오가는 교통의 요지로서 오래전부터 장이 섰으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합니다. 오원천은 관촌 옆을 흐르고 있는데 천변에는 경치가 빼어나 네 명의 신선과 네 명의 선녀가 내려와 놀았다는 전설의 사선대(四仙臺)가 있습니다.


사선대, 섬진강 물이 잠시 쉬어 가는 곳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산 구비를 따라 거침없이 흘러 내려온 강물은 직벽 벼랑이 병풍 치듯 펼쳐져 있고 송림 숲 우거진 그늘 아래로 모여들더니 쉬어가듯 유유히 그곳에 잠시 머물게 됩니다. 경치 좋은 곳에 물이 모여드니 사시사철 사람들이 찾아옵니다. 벚꽃 만개하는 계절에는 꽃 향에 이끌려 모여들고, 여름이면 물놀이와 나무 그늘 찾아 모여듭니다.  

울창한 사선대 숲이 붉게 물들이면 멀리서도 불 타오르는 듯한 그 모습에 이끌려 모여들고, 한적한 겨울에는 한적해서 모여듭니다. 이곳이 사선대입니다.


이야기를 하다 보니 다소 거창해진 듯합니다. 사실 사선대는 드넓은 강가의 울창한 절경을 보여주는 곳이 아닙니다. 풍화된 직벽이 웅장하게 펼쳐지는 장관도 없습니다. 혹여 사선대를 장쾌하게 펼쳐진 드넓은 강가 일거라 생각하고 찾는다면 분명 실망하게 될 겁니다.



하지만 사선대는 작으면서도 소소한 풍경이 아름다운 곳입니다. 사백 리 길 섬진강 물이 흐르다 잠시 머무는 곳입니다. 그래서 쉬어가는 물처럼 찾는 발걸음 역시 산책하듯 잠깐 들러 머물기 적당합니다.

잔잔히 흐르는 물따라 천변을 걸으며 아담한 절벽과 절벽 위 운서정에도 올라봅니다. 천연기념물인 가침박달나무 군락지를 지나 백제시대 산성터인 성미산성까지 걷다 보면 사선대의 참 진경(眞景)을 느끼게 됩니다.


공원에 조성된 여러 나라의 작가들이 인근 미술촌에 머물며 만든 조각 작품을 감상하는 것도 사선대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즐거움입니다.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관촌 5일장

사선대를 찾는 날이 다행히도 5일이나 10일이면 5일장이 열리는 관촌장에도 둘러볼 일입니다. 관촌장은 조선시대 때부터 열린 오래된 장으로 한때 장날이면 발 디딜 틈 없이 문전성시를 이뤘었는데, 지금은 여느 시골장터와 마찬가지로 쇠락하여 근근이 그 명맥만 이어지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하지만 고추가 나올 때에는 아직도 새벽부터 사람들의 발길이 바글바글해집니다. 그마만큼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추는 품질이 뛰어나기로 유명합니다.

이곳 장터에서 따끈한 국밥으로 허기를 채워도 좋고 허리 굽은 촌로들이 바리바리 챙겨 온 산나물이며 찬거리를 흥정하는 것도 시장에서 느끼는 즐거움입니다. 이렇듯 한적한 시골 속 풍경을 거닐며 아스라한 추억 하나쯤 떠오른다면 그것은 관촌 여행에서 얻는 소중한 덤이 될 겁니다.



#황하와떠나는달팽이여행 #황하의브런치 #달팽이 #달팽이여행_길위에서길을묻다 #애니투어 #느티나무클럽 ##사선대 #오원강 #오원천 #섬진강 #관촌 #관촌장



*네 명의 선남선녀가 놀다가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 속 사선대는 전북 임실 관촌 섬진강변에 있는 곳이다. 소소하지만 오밀조밀한 경치가 아름다워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고 해마다 사선녀 선발대회 등 사선대 축제가 열리고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그리운 기억너머, 저 채석강과 궁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