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쌤북스 Mar 08. 2024

혼잣말 글쓰기

  매일 글을 쓰면서 망설인다. 무엇을 써야 할지 생각에 잠긴다. 어떻게 멋있는 말을 쓸까? 어떻게 하면 좀 더 있어 보이는 글을 쓸까? 기분 좋은 상상 하면서 글을 쓰지만, 항상 망설여진다. 


 글은 단어의 조합이다. 단어가 잘 이어 붙여야 글이 된다. 간단한 과정이지만 크게 보면 무언가를 늘 상상하고 창작의 고통 속에 몸부림친다. 필자의 직업이 전업작가는 아니지만, 베스트셀러의 작가들의 자서전을 보면 항상 무언가를 끊임없이 상상한다. 괴롭지만 그 일을 즐긴다. 고통과 행복의 연속이 아닐까?


 필자의 글은 일할 때 적어둔 메모에서 제목이 탄생한다. 그냥 갑자기 떠오른다. 그것을 놓치지 않고 중간에 얼른 기록한다. 그다음 아무 책이나 읽은 다음 글을 쓰기 시작한다. 제목의 큰 틀만 두고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창작의 고통을 느끼면서 글을 쓴다.


 정작 써야 할 글을 없으면 혼자 중얼거린다. 혼잣말을 계속한다. 그 말을 글로 쓴다. 아닌 것 같으면 지웠다가 다시 고쳐 쓴다. 다시 혼잣말을 한다. 이 과정을 반복한다. 결국 길지도 않고 짧지도 않은 글이 완성된다. 


 잠깐 쉬는 시간을 갖는다. 작성한 글을 읽어본다. 다시 혼잣말을 하면서 글을 읽는다. 직접 입으로 읽으면서 글을 보면 뭔가 글의 허점이 보인다. 기자의 글쓰기라는 책에서 알려준 방법인데, 책의 저자도 이 방법을 쓴다고 한다. 글이 읽고 고칠 부분을 다시 수정해서 글을 올린다.


 매일 이 과정을 반복한다. 가끔 카페에서 혼잣말로 글을 쓰면 옆에 사람이 쳐다본다. 사실 신경 안 쓴다. 매일 운전하면서도 혼잣말을 많이 하는 편이다. 어쩌면 그 혼잣말이 글쓰기의 큰 잣대가 되지 않았나 싶다. 


 사람마다 글을 쓰는 방법은 다 다르다. 시끄러운 환경에서 글을 쓰는 사람도 있고, 조용한 곳에서 혼자 글을 쓰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방법은 중요하지 않다. 단지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필자는 매일 가는 카페에서 혼잣말을 하면서 오늘도 글을 쓴다. 결국 오늘도 완성했다. 내일도 반복이다.

이전 05화 쓰는 습관은 근육을 붙여야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