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테크르르 Nov 29. 2022

고치고 싶은 버릇이 있나요?

알고리즘이 물었습니다. 


"네. 잘 알겠습니다."

"그렇게 할게요"

어김없이 입이 뇌보다 빠르게 움직입니다. 


세이예쓰 맨입니다. 거절이 어렵습니다. 본인의 상황은 신경 쓰지 않습니다. 그냥 '하면 되지' 하는 고집이 있습니다. 내가 힘든 것보다 남이 힘든 걸 보는 게 더 괴롭습니다. 그냥 다른 말로 저는 병신인가 봅니다. 

세상에서 제일 싫은 것이 변명하는 것. 핑계 대는 것. 해보지도 않고 안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약간 병적입니다. 솔직히 심리상담을 받고 좀 개선하고 싶다고 생각해 봤습니다. 껍데기는 멋있게 포장돼있지만 너무 착한 척하고, 거절을 못하는 '컴플렉스'가 있나 해서 말이죠. 가끔 내가 하기 싫은 것들을 할 때는 '왜 이걸 하고 있지?'라고 물음을 던질 때는 더욱 크게 그 마음이 일어납니다. 


물론 장점도 있습니다. 힘들면서도 싫으면서도 끝까지 해냅니다. 완수 못하는 게 병적으로 싫으니까요. 실패보다 해내지 못한 스스로가 저를 더 힘듭니다. 그래서 사실 '실패'의 경험이 많이 없습니다. 그것 또한 문제입니다. 실패와 좌절은 친숙하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좋아 보이지만, 실패라는 친구는 언제든 찾아올 텐데 그 충격이 남들보다 크게 느껴지니 이것 또한 제 약점입니다. 가끔 실망도 합니다. 거절하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기 때문입니다. 


거절하기. 바로 "세이노!"라고 어떻게 이야기하면 좋을까요? 사실, 와이프에게 영감을 많이 얻습니다. 과거 와이프는 '세이노'Girl이었거든요. 직설적으로는 싹퉁 바가지라는 뜻입니다. 항상 당당해 보였고, 거절을 잘했습니다. 자기가 할 소리는 당당하게 하는 스타일이었습니다. 제가 가지지 못한 부분이 있으니 연애시절에는 얼마나 당당해 보이던지요. 그래서 그녀를 추종하기 시작했습니다. 제 결핍을 와이프로부터 채우며 제가 원하는 모습을 와이프를 보며 보상받고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역설적으로 와이프에게도 늘 '세이예스'를 외치고 있는 제 모습은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Say No. 라고 말하기 참 어렵습니다. 한 번이 어렵지 두 번 하면 쉽다고 하던데요. 결국 한 번의 도전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무작정 거절이 아니라, 정중하면서도 배려심이 전해지는 부드러운 세이노 말이죠. 역설적이네요. 아름답고 멋진 이별. 더럽지만 기분 좋은 악수. 뭐 이런 거 아닌가요. 거절이 필요합니다. 오늘부터 연습을 해야겠습니다. 


죄송하지만 어렵습니다. 

도와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그렇게는 힘듭니다.

지금은 당장은 불가능합니다. 

No. 



작가의 이전글 지난 한 달은 당신에게 어떤 시간이었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