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울을 떠나다
1. 중국과 베트남이라는 ‘거울’을 집어 들다
이 장은 중국과 베트남을 한류의 거울로 선택한 이유와 그 내용을 다룬다. 양국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동아시아를 배경으로 한국과 연결해서 문화 흐름을 이어왔기 때문에, 역사적 맥락에서 한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1.1 중심-주변의 동아시아 문화 흐름
한국·중국·베트남 삼국이 동아시아 문화의 중심-주변 관계를 어떻게 형성했는지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특히 21세기 들어서 한국이 한류로 새로운 중심-주변 구도를 형성한 의미를, 고대 중국 중심의 균열의 측면에서 밝힌다.
1.2 열정과 냉정, 애증의 한류
한류가 대중의 감성적 소비의 대상이고 그 결과물이라는 것을 드러내며, 중국과 베트남에서 나타난 한류의 수용 및 반한류를 이러한 감성의 차원에서 분석한다.
1.3 추격과 발전, 추종의 한류
21세기 들어 중국과 베트남이 문화산업 발전을 도모하면서 한류를 모델로 삼은 배경과 양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다룬다. 이를 통해 학습·경쟁·경계 대상으로 인식되는 한류를 설명한다.
2. 소용돌이치는 감성의 한류
한류의 주요 동력 중 하나는 감성적인 팬덤 문화다. 이 장에서는 감성적인 소비가 한류의 확산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다룬다. 특히, 중국과 베트남에서의 사생팬의 역할, 한국어 학습 열풍, 한국학의 문제점을 비롯해 편견과 차별의 이슈를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2.1 사생의 탄생, 한류의 발생
한류는 열성적인 팬들에 의해 확산되었다. 특히 사생팬 문화를 통해 한류의 감성적인 소비 측면을 살펴본다. 대중문화로서 한류는 감성적인 팬덤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를 통해 팬덤 문화가 한류 발전에 미친 긍정과 부정적 영향을 탐구한다.
2.2 참을 수 없는 한국어의 가벼움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어 학습 열풍이 일어났지만,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와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다. 이 절에서는 한국어가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조명하며, 특히 과도한 상업적 접근이 어떻게 학습의 본질을 훼손했는지 논의한다.
2.3 한국어는 세계어가 될 수 있을까
베트남과 태국 등에서 한국어가 대학 입학시험 외국어 과목으로 채택되면서,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이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가 영어와 같은 지위를 가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중국과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학습 사례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방향과 한계를 탐색하고, 다른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2.4 꽃을 든 한류
베트남 내 한국학의 양적 성장은 뚜렷하지만, 질적 문제도 많다. 한류 콘텐츠 소비와 대학에서의 학문적 연구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절에서는 베트남 내 한국학을 '극장한국학'과 '한포자'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교육과 연구의 구조적 문제를 짚어본다.
2.5 한류는 인정을 먹고, 차별을 밟고 올라선다
중국과 베트남에서 한류 콘텐츠의 대중적 인기를 바탕으로 한류가 소프트 파워로 자리매김하는 과정과 그 한계를 살펴본다. 특히 한국에 대한 편견과 상호 간의 차별이 한류의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며, 한국이 문화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를 다룬다.
3. 솟아오르는 욕망의 한류
이 장에서는 한류가 한국 내부와 글로벌 사회에서 어떻게 다양한 형태로 소비되고 있는지를 다룬다. 한류의 상업화와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사례를 통해 한류가 자본주의적 욕망과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3.1 점잖거나 거들먹거리거나 거만하거나
한류를 활용하는 단체들, 장학금을 주는 기업들, 그리고 한류를 통해 성공을 꿈꾸는 소상공인들의 사례를 통해 한류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계층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3.2 한류를 빌려 쓰는 한류 연구
한국 연구자들이 한류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 데 있어 어떤 한계와 도전이 있는지를 탐구한다.
3.3 한국학과 한류의 불편한 동거
한류 연구와 기존의 한국학 간의 긴장 관계를 탐구한다. 한류 연구가 기존의 한국학을 어떻게 대체하거나 보완하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학문적 충돌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한류와 한국학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3.4 한류와 자본주의의 만남
한류가 자본주의적 욕망과 결합되면서 상품화되는 과정과 그로 인한 영향력을 분석한다. 한류의 상업적 확산이 단순한 문화적 전파를 넘어서 경제적 이익 창출의 도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다루며, 이러한 현상이 한국 사회와 글로벌 시장에서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3.5 한류 담론의 내부 비판과 실천
한류가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한국 내부에서 일어난 비판적 담론과 그 실천적 움직임을 탐구한다. 한류의 상업화와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러한 비판이 한류의 진정성을 유지하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본다.
4. 역류와 충돌하는 한류
이 장에서는 한류가 각국에서 맞닥뜨린 도전과 충돌의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문화적 정체성, 정치적 사건, 상업적 한류의 문제를 다루며, 이러한 갈등이 한류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4.1 누구의 전통인가?
중국과 한국 사이에서 전통문화와 명절에 대한 논쟁이 발생한 사례를 다룬다. 이 사례를 통해 한류가 직면한 문화적 정체성과 충돌의 문제를 분석한다.
4.2 패장이거나 용병이거나
베트남 전쟁을 다룬 한국 드라마가 넷플릭스에서 방영 금지된 사례를 통해, 역사적 민감성이 한류 콘텐츠의 수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며, 비슷한 중국의 사례도 살펴본다.
4.3 사드와 탄핵의 풍경
사드 배치로 인한 반한 감정과 박근혜 탄핵 당시 중국 유학생들의 반응을 통해, 정치적 사건이 한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4.4 사고파는 한류와 국가 간 갈등
한류 콘텐츠의 상업화가 국가 간 정치·경제적 갈등을 어떻게 야기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다룬다. 특히 국가 간 이해관계와 문화적 충돌이 한류의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한다.
4.5 문화의 경계와 도전
한류가 각국에서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거나 도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오해와 갈등을 다룬다. 문화 간 충돌을 극복하고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5. 우리가 응답하는 한류
이 장에서는 한류의 지속 가능성과 문화적 가치를 탐구한다.
5.1 한강, 금기를 거슬리고 한류로
한강 작가의 작품을 통해 본 한국 문학의 성취와 그로부터 파생된 한류의 가치에 대해 탐색한다. 문학적 성취가 한류에 미친 영향과 그 가능성을 조명한다.
5.2 좋아했던 한류, 다시 되돌릴 수 있을까
중국의 직장 여성과 베트남의 여대생 사례를 통해, 한때 한류를 사랑했던 사람들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한류를 다시 받아들일 가능성을 논의한다.
5.3 중국과 베트남의 응답
중국과 베트남에서 한류를 경험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토대로, 한류의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한류가 각국에서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한다.
5.4 한류에서 한류(韓留)로
한국이 한류로 중심-주변의 문화 흐름에서 중심으로 자리하는 의미와 새로운 중심-주변 구도를 설명한다.
5.5 한국어를 죽이면 한국학이 살고, 한류를 죽이면 한국 문화가 산다
한류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과제와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진정한 문화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들을 탐구하며, 한류가 단순한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문화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한다.
맺음말: 다시 길을 나서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