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지영 Nov 29. 2024

삶은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살아간다는 것은, 정의상,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부터도, 삶으로부터도 배울 수 없으며, 삶이 가르쳐주는 것도 아니다. 오직 타자로부터, 그리고 죽음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삶의 경계에 있는 타자로부터 배운다. 내적 경계이든 외적 경계이든, 그것은 삶과 죽음 사이에 있는 타자로부터의 학습이다."(To live, by definition, is not something one learns. Not from oneself, it is not learned from life, taught by life. Only from the other and by death. In any case from the other at the edge of life. At the internal border or the external border, it is a heterodidactics between life and death.)(자크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서문)



 데리다가 말한 "삶은 정의상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오직 타자와 죽음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는 통찰은 현대 철학의 핵심 주제를 건드립니다. 데리다 철학의 주요 주제인 타자성, 경계, 해체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데리다는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를 해체(deconstruction)하며, 삶과 배움의 본질을 타자와 죽음이라는 이질적 요소를 통해 새롭게 탐구합니다.  이 글에서는 데리다의 사유를 통해 삶과 배움,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를 새롭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데리다의 관점에서 삶을 이해한다는 것은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그 관계를 통해 비로소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다른 사람과 어울리며 배운다는 차원을 넘어서는 깊은 통찰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타인과 맺는 관계는 단순한 외적 경험이 아닙니다. 친구와의 대화, 가족과의 갈등, 낯선 이와의 만남 등 모든 관계는 우리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게 하는 거울이 됩니다. 데리다는 이를 "환대"라는 개념으로 설명합니다. 타인을 진정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단순히 그들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그 과정에서 나 자신도 변화하고 성장하는 경험이 된다는 것입니다.


 데리다는 삶과 죽음을 서로 대립하는 개념으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죽음은 삶의 의미를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렌즈가 됩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때, 우리는 삶의 유한성을 깨닫고 동시에 그 소중함을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이러한 관점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이해를 제시합니다. 죽음은 단순히 삶의 끝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게 만드는 계기가 됩니다.


 데리다가 말하는 "이질적 학습"은 낯선 것, 다른 것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배움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익숙한 것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고 때로는 불편한 경험을 통해 진정한 배움이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은 불편할 수 있지만, 바로 그 차이를 통해 우리는 더 넓은 세계를 이해하게 됩니다.


 타자를 통한 삶의 재발견 데리다의 철학은 우리에게 삶과 배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당신은 어떻게 삶을 배우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 방법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우리가 타인과의 관계, 죽음과의 마주침, 그리고 낯선 것과의 조우를 통해 어떻게 더 깊이 있는 삶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묻는 근본적인 질문입니다.


 결국 데리다의 통찰은 우리가 삶을 이해하고 배우는 방식 자체를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진정한 배움은 혼자만의 노력이 아닌,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여정임을 일깨워줍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