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흐르는 강물처럼 Jan 12. 2021

방화벽-3 (Stateful 트래픽 처리방식)

진정한 방화벽이 될 수 있는 조건 Stateful 기능이란?

앞 글에서 방화벽의 역할 및 보안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방화벽이 어떻게 트래픽을 처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방화벽의 기술발전 역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인 방화벽이 나오기 전에는 통신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장비인 라우터의 필터 기능에서부터 트래픽 제어 기능이 사용되었습니다. 우리가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최대 1500byte의 크기로 잘게 쪼개진 데이터 묶음으로 만들어진 패킷(packet)을 보내고 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 패킷의 헤더에는 출발지, 목적지 IP주소와 서비스 포트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패킷 헤더 정보를 확인해서 라우터에 설정된 필터 정보를 참조하여 들어온 패킷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런 필터가 증가하게 되면, 라우터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어 패킷 전송이라는 본래 기능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고정된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접속할 때마다 서비스 포트가 변경되는 RPC, FTP 같은 서비스의 경우에는 인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되면서 트래픽 제어를 위한 전용 장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습니다.



 1994년 체크포인트(Checkpoint)라는 회사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1세대 방화벽을 개발하였습니다. 개발된 방화벽의 가장 큰 특징은 스테이트풀 인스팩션(Stateful Inspection)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단순히 들어오는 패킷을 필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연결 테이블을 만들고 관리하면서 좀 더 세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해진 것입니다.



< 그림 1 > 스테이트풀 인스펙션 (Stateful Inspection) 설명



위의 <그림 1>을 보면 왼쪽의 단말장비에서 오른쪽의 웹 서버로 접속을 시도한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방화벽에는 인터넷에서 DMZ 구역으로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출발지는 ANY, 목적지는 10.0.0.1, 서비스 포트는 TCP 80 포트에 대해 허용하는 보안 정책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접속 단말에서 서버로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트래픽이 방화벽에 도착하면, 방화벽은 해당 요청에 대해 보안 정책을 확인하여 해당 패킷을 오른쪽 웹 서버로 전달합니다. 서버는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웹 페이지를 접속 단말을 목적지로 하는 패킷으로 생성하여 전송합니다. 이 응답 패킷이 방화벽에 전달되면 방화벽은 다시 보안정책을 참고하여 패킷을 허용할 건지 차단할 건지 결정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스테이트풀 인스펙션의 장점이 발휘됩니다. <그림 1> 방화벽 정책은 외부에서 DMZ 구역으로 갈 수 있는 보안 정책이 있지만 반대 방향인 즉, DMZ 구역에서 외부로 나가게 허용하는 보안 정책은 없습니다.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보안 정책에 적용되지 않는 모든 패킷은 차단하게 되어있습니다. 즉, 서버에서 단말로 가는 응답 패킷은 차단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스테이트풀 인스팩션 기능이 동작하기 때문에 서버에서 보낸 페이지는 방화벽을 정상적으로 통과하게 됩니다.



즉 방화벽이 만들어서 관리하는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들어오는 응답 패킷의 출발지, 목적지 IP 및 Port와 일치하는 세션 리스트가 있는지 확인되면, 해당 패킷은 응답 패킷으로 판단하여 보안 정책이 없더라도 해당 패킷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방화벽은 데이터를 요청하는 트래픽이 들어오면 서버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세션 테이블(Session Table)을 만들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 2>는 방화벽에서 출력한 세션 테이블입니다. In항목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출발지 IP 10.10.10.235에서 출발지 포트 50588을 사용하여 st0.511 인터페이스로 들어와서 목적지 IP 172.70.1.13, 목적지 포트 TCP 7001로, 패킷 수 6개, 456 byte 크기의 패킷이 보안정책 "untrust-to-trust"에 적용되어 목적지로 전달되었습니다. 다음으로 Out에 표시된 것과 들어올 때와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가 반대로 바뀌어서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말로 응답 패킷을 4개, 427 byte 만큼 전송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림 2 > 방화벽 세션 테이블



다시 말하면 방화벽은 요청 패킷이 들어오면 서버로 전달하면서 서버에서 다시 클라이언트로 응답할 패킷 정보를 예상하여 미리 세션 테이블을 만들어 둡니다. 실제 응답 패킷이 들어오면 먼저 만들어 둔 세션 테이블에서 정보가 일치하는 세션 정보가 있는지 확인되면, 보안 정책이 없더라도 패킷을 단말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관리자가 서버의 응답 패킷을 예상해서 보안정책을 미리 만들어 둘 필요 없이 방화벽이 자동으로 응답 패킷에 대한 보안정책을 생성했다가 연결이 종료되면 삭제하는 것처럼 작동합니다.



이런 작동 방식은 회사 내부에 있는 단말이 인터넷을 사용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즉 Trust에서 Untrust 방향으로, 출발지는 단말 IP 대역이고 목적지는 ANY이며, 서비스 포트는 TCP 80으로 허용하는 보안 정책이 있으면, 사내의 단말이 인터넷의 웹 서버로 요청 패킷을 보낸 후,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응답 패킷은 별도의 보안 정책이 없더라도 인터넷에서 사내의 단말까지 전달되는데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인터넷에서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할 때만 잠깐 생성되었다가 필요가 없으면 바로 삭제되는 것처럼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즉 라우터와 같이 별도의 통신 연결 정보를 관리하지 않는 장비의 경우 필터(Access List-ACL) 기능과 같이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응답 패킷을 위한 보안 정책을 미리 만들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리 만들어 둔 보안정책을 통해 발생 가능한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점이 1세대 방화벽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화벽의 경우 단순히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성능도 중요하지만, 세션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합니다. 세션을 관리하는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은 기본적으로 아래 두 가지 성능을 판단기준으로 사용합니다.



1. 초당 세션 생성률(CPS- Connection per seconds)

 1초 동안 신규로 세션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 이 성능은 갑작스럽게 트래픽이 급증하는 경우 예를 들면, 특정한 이벤트(명절 차표 구매, 학기초 수강신청, 재난지원금 지급신청, 상품초 저가 세일)가 발생할 경우 짧은 시간 안에 급속하게 증가하는 접속 요구에 대응할 때 중요한 성능 지표입니다.



2. 최대 동시 세션 관리수(Maximum Concerent Session)

장비가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연결 최대수. 이 성능은 방화벽을 통해 연결되는 최대 연결수를 얼마나 지원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최신 방화벽의 경우 가장 낮은 성능의 장비라도 만개 단위(대략 32,000~64,000개)의 세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고 고성능 장비의 경우 억 개 단위까지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성능은 얼마나 많은 서버와 일반 유저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Stateful 방식의 장비에 대비하여 세션을 관리하지 않는 장비를 보통 Stateless장비라고 말합니다. 스위치, 라우터 같이 단순하게 패킷을 해당하는 목적지로 전달만 하는 장비를 말하는데 이런 장비의 경우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해 AC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라우터 장비의 ACL은 어떤 경우에 이용할 수 있을까요?



방화벽이라는 장비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세션을 관리하는 장비이다 보니 동시에 관리 가능한 세션수를 초과하게 되면 더 이상 세션을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신규 세션을 생성할 수 없게 됩니다. 즉 신규 트래픽을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최근의 DDoS 공격의 경우 이러한 방화벽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의도적으로 방화벽의 관리 가능한 세션수를 초과하게 하여, 서비스를 방해하는 공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공격을 수행하는 출발지 IP를 식별할 수 있다면 방화벽 앞단에 있는 라우터의 ACL 필터를 생성하여 방화벽 앞단에서 공격을 차단할 수 있으면 방화벽이 처리해야 하는 세션수를 줄여 주어 서비스의 중단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1세대 방화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2세대 방화벽 보통 차세대(Next Generation) 방화벽이라 불리는 장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02화 방화벽-2 (방화벽의 보안정책)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