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rainertalknet Oct 17. 2021

여성과 남성의 부상 차이

축구부상 기전

여성과 남성의 부상 차이 


학교 과제로 제출했었던 여성과 남성의 부상 차이입니다. 호르몬 변동과 관련된 섹션은 제외했습니다. 


1. 성별 차이의 특수성


남성과 여성은 1차, 2차 성징 뿐만 아니라 체질적, 해부학적, 생리학적 요인에서도 구별된다. 이 차이는 한 성의 열등함이나 다른 성의 우월함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며 종의 보전을 보장하기 위한 특수한 임무의 자연스러운 역할 분배다 Weineck, 2009). 체질은 스포츠의 기본 수행 요소 중 하나이며 이후 성장에 있어서 영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자 아이와 남자 아이들의 인체측정학적 차이는 태어났을 때부터 나타난다. 시간이 지날수록, 여성의 몸통에 대한 강조와 남성의 사지에 대한 강조가 명확히 인식되어진다. 성별에 따른 비율의 차이는 여성의 골반이 넓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신체의 무게 중심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달리기 및 점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성은 평균적으로 남성보다 좁은 어깨를 가진다. 여성의 어깨너비는 남성의 90% 정도다. 또한 사지에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약 10% 더 짧다. 여성의 근육, 힘줄 및 인대는 남성보다 유연하다. 어떤 종목에서는 강점이 될 수 있지만, 또 다른 종목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다. 지방과 근육의 분포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난다. 평균적으로 여성의 몸은 남성의 몸보다 지방량이 많고 골격근이 적다. 생리학적 차이는 아래와 같다. 여성과 남성의 폐 및 심혈관 기능은 모두 유전적으로 결정된다. 남성의 호흡 및 심박출량은 여성보다 크다. 이 사실은 남성의 최대 산소 섭취량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경우 최대 산소 섭취량은 2.0 l/min인 반면 남성의 경우 3.5 l/min 다 (McKardle et al., 1986; Marino et al., 2011). 세포의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는 ATP(아데노신 삼인산) 생성을 담당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근섬유당 미토콘드리아가 적고 남성에 비해 미토콘드리아 크기가 작다 (Hoppler et al., 1973). 여성의 근육 출력이 낮은 이유는 이에 기인한다.


2. 훈련의 적응

 

이 섹션에서는 성별에 따른 훈련 적응에 대해 다룬다. 앞서 언급했던 심혈관 기능 및 크기는 지구력의 성능 차이를 유발한다. 여성의 심장 무게는 남성보다 낮다. 지구력 운동 간 남성의 심박수와 비교했을 때, 여성의 심박수는 비효율적으로 작동한다 (Weineck, 2002). Wilmore와 Brow의 연구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영향 요인이 있다. 성별 간 최대 산소 섭취량의 차이는 여성이 지방 비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여성은 지방 대사를 통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는 단거리에서 단점이지만, 장거리에서는 장점이다. 여성은 지방을 통한 에너지 소비를 통해 더욱 나은 체력을 나타냈다(Tarnopolsky et al., 1995). 반면에 남성은 근력이 더 높고 팔과 다리가 길어 기계적 이점이 있기 때문에 유산소 영역에서 여성보다 더 빨랐다 (Harm et al., 2001). 

 

3. 성별  부상위험의 차이


남성과 여성 간 전형적인 성별 특성적 부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러 스포츠에서 남성과 여성 간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 요인이 부상을 초래하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가 있다


3.1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부상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부상 부위는 무릎이다 (Ford et al., 2003). 특히 전방십자인대 파열 횟수는 남성보다 더욱 높았다 (Arendt et al., 1999).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초래하는 요인들은 해부학적, 생체역학적, 호르몬적 그리고 개체발생적 요인으로 나뉜다.


해부학적 원인


우선 Q 앵글의 크기는 해부학적 원인으로서 여겨진다. 이것은 대퇴사두근(특히 대퇴직근)과 슬개건 사이의 각도로 정의된다. 여성은 남성보다 넓은 골반이 있기 때문에 여성의 Q 앵글은 남성 보다 평균적으로 더욱 크다. 남성은 일반적으로 12 - 14도인 반면, 여성은 15-18도다. 큰 Q 앵글은 슬개골을 향한 대퇴사두근의 측면 부분의 장력을 증가 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관절염과 통증의 정도를 증가시켜 슬개건의 편재화로 이어진다 (Hungersford & Barry, 1979; Mizuno et al., 2001; Guerra et al., 1994; Gschöpf, 2013). 이를 통해 여성에게서 무릎 부상이 더욱 잦다는 사실을 추측할 수 있다. 실제로 Q 앵글의 크기와 부상간 상관관계가 입증된 연구 결과도 있다 (Fatahi et al., 2017).


생체역학적 원인


다음 요소는 근육의 동시 수축인데, 이는 생체역학적 원인으로 여겨진다. 근육의 동시 수축이란 주동근과 길항근의 동시 수축을 의미한다. 대퇴사두근과 대퇴이두근(햄스트링)의 동시 수축이 제대로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야기할 수 있다 (Yukio et al., 2005). 점프 후 착지간 대퇴사두근의 수축은 전방 십자인대에 부담을 강하게 준다. 대조적으로, 햄스트링의 수축은 십자인대가 경골의 전방 변위를 방지하기 때문에 완충 작용을 한다. 햄스트링은 동시 수축 간 전방 십자인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Moon, 2016). 이런 부상 기전은 셩별에 상관없이 나타나지만, 여성에게 더욱 두드러진다. 경골의 전방 변위는 여성들에게서 자주 발견된다. 이는 방향전환 시 그리고 점프 후 착지 시 여성들의 대퇴 사두근 활성도가 남성에 비해서 상당히 높고 햄스트링의 길항근 기능이 약하기 때문이다 (Hughes & Dally, 2015). 다른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여성들의 무릎 신전 및 외전의 힘은 남성들 보다 더욱 크다 (Chappell et al., 2002). 이 또한 전방 십자인대에 큰 부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Markoff et al., 1995; Hewett et al., 2006; Kim & Lim, 2011). 이 사실은 특정 점프 훈련이 여성의 무릎 부상 발생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과 일치한다. 이 점프 훈련은 무릎 외전의 운동량을 줄이고 햄스트링 강도를 향상 시킨다(Hewett et al., 1996). 대퇴사두근만을 통한 동력 전달로 인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에 부상 예방을 위해서는 햄스트링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프 훈련이 필요하다. 


호르몬적 원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호르몬 변동은 여성 운동선수의 부상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 부상 위험은 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월경주기는 난소의 의미에서 난포기, 배란기 및 황체기로 나눌 수 있다. 릴렉신은 월경 주기와 임신 중에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콜라겐을 분해하는데, 이에 의한 이완이 부상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관절 주위의 결합 조직의 강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인대 구조를 느슨하게 만든다. 특히, 무릎의 이완은 다른 시기보다 배란기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 전방 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Park et al., 2009). 기존 연구에따르면 무릎 부상의 발생 확률은 배란기에 가장 크고 난포기에서 가장 낮다고 말할 수 있다(Wojtys et al., 1998). 그러나 선행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관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마다 매우 다른 것으로 추측된다. 핸드볼 팀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배란 중이나 배란 후에 부상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ykleust et al., 1998).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위험은 배란기 동안 가장 높고 황체기 동안 낮았다(Wojtys et al., 2002). 그러나 월경이 무릎 부상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실합니다. 신경근 조절의 변화는 난소 주기의 단계에 따라 밝혀졌다(Dedrick, 2008). 

 

발달과정적 원인 


마지막으로, 발달과정적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협응 능력은 사춘기 이후 남성보다 더 나쁘다(Malina & Bouchard, 1991; Hewett et al., 2006). 남성은 성장과 함께 속도, 힘 및 조정 기술이 발달하는 반면 여성은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Malina & Bouchard, 1991). 여성은 무릎 굽힘근(Knee flexor)이라고도 하는 햄스트링의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착지할 때 무릎을 깊이 구부릴 수 없다. 허벅지의 내회전과 무릎의 외회전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크다(Lephart et al., 2006). 따라서 외반각이 증가하면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또한 어린이(7~9세), 청소년(14~16세) 및 성인(21~23세)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여성 연령 그룹 간에 낮은 근육 활동 수준의 차이가 있습니다. 연구에서 그룹은 한 다리로 상자에서 바닥으로 점프를 했다. 착지시 성인은 어린이 및 청소년에 비해 무릎을 완전히 낮추지 않았다. 최대 내회전각과 대퇴사두근의 활동 정도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이는 여성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부상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Kim & Lim, 2011). 전반적으로 여성들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무릎 부상을 당하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수와 코치는 부상 없는 경기력 개발을 위해 이러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3.2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부상

스포츠 탈장은 남성에게 자주 나타나는 부상이다. 이는 크리켓, 농구, 테니스, 축구, 하키와 같은 스포츠에서 반복적인 발차기, 회전 및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스포츠 탈장은 남성 운동선수의 5~28%에서 발생하지만 여성 운동선수는 2%만이 이 부상을 겪습니다. 이 차이는 해부학적 이유에 기인한다. 남성에 비해 여성은 골반이 넓기 때문에 하지에 힘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반면에 남성의 경우 힘이 사타구니에 집중된다. 반복되는 편심 수축은 사타구니와 복벽에 과부하를 일으켜 관련 근육을 약화 시켜, 장을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이 스포츠 부상은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3.3 축구에서 나타나는 성별 간 부상차이

여러 스포츠에서 성별 간 부상 차이를 보여주는 많은 연구가 있다. 예를 들어, 골프 스윙 메커니즘의 성별 차이의 경우, 손목 토크와 팔꿈치 신전은 LPGA 그룹이 PGA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았다(Zheng et al., 2008). 이 목차는 축구에서 나타나는 성별 간 부상 차이를 기술하고자 한다. 테스트 참가자들은 전원 동일한 의료진이 관리하는 동일한 클럽에 있습니다. 클럽마다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직원의 동일한 절차가 중요합니다. 근육, 관절 및 인대의 부상 발생률은 축구 선수 간에 유사했다. 그러나 남성은 여성보다 5배 더 많은 타박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축구 선수의 경우 강도가 더 높거나 선수 간의 접촉이 많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보다 경미한 부상을 더 많이 입는다. 또한 잦은 훈련 및 게임 빈도는 경미한 부상의 원인입니다. 하지만 연구 별로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축구선수의 부상 발생률은 남성 축구선수들이 여성 축구선수보다 높았다(Hagglund et al., 2011). 미국 대학 팀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심각한 부상의 발생률은 다양했다(Roos et al., 2011).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경비인대 결합 손상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흔하다. 여성 선수들의 스쿼드는 남성 선수들의 스쿼트보다 5명이 적다. 상대적으로 얇은 스쿼드는 여성 선수들이 중상을 입을 수 있는 이유다. 회복 기간이 부족으로 인해 발목 염좌는 협착증으로 변할 수 있다. 대퇴사두근 근육 긴장은 또한 여자 팀의 일반적인 부상 위험이다. 킥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는데, 킥 동작 시 장요근의 활동은 필수적이다. 장요근이 킥에 50%만 관여하는 경우 대퇴사두근은 이 약점을 보완해야 하고 강한 부하를 받게 된다. 여성 선수들의 장요근 활성화는 남성 선수들에 비해 낮다. 이는 킥 동작을 할 때 여성 선수들이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햄스트링 부상은 남성 축구 선수들에게 자주 나타났다. 남자 축구 경기는 더 높은 강도의 운동이 필요하며 시즌 동안 더 많은 경기를 해야한다. 누적된 부하는 편심 햄스트링 힘을 감소시키고 스프린트 메커니즘을 변경 시킨다. 이는 햄스트링에 부하를 야기한다. 남성의 햄스트링 염좌 부상 발생률은 여성보다 훨씬 높다(Cross et al., 2013). 또한 남성은 스포츠 탈장으로 고통을 받는다. 한 연구에서는, 대퇴사두근의 부상 발생률은 남성 선수들에게 더욱 많이 발견되었고, 햄스트링 부상은 여성 선수들에게 더욱 많이 나타났다. 이 차이는 게임 모델, 기후 및 훈련 때문일 수도 있다. 2018년에 프로 수준의 축구 선수 부상 발생률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단 두 건에 불과했다. 그렇기 때문에 축구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4. 운동 참여에 대한 다양한 동기


이 섹션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스포츠 참여 동기를 비교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성별 간 스포츠 참여 동기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Moradi et al., 2020).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스포츠에 참여하려는 동기가 더 높다. 연구 참가자는 축구, 배구, 농구, 핸드볼, 쿵푸, 태권도를 하거나 운동하는 운동선수 265명이었다. 여성들은 주로 팀워크, 재미, 피트니스를 위해 참여한다. 이에 비해 남자는 상황적 요인, 재미, 팀워크를 꼽았다. 이외에도 성별에 따른 동기의 차이는 수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남성은 경쟁 및 기술 개발을 위해 스포츠에 참여하는 반면 여성은 피트니스에 관심이 있다(Egli et al., 2011; Moradi et al., 2020). 동등한 것은 남성 여성 모두 재미를 중요하게 여겼다. 남학생은 대회 활동을 선호하는 반면 여학생은 건강, 건강 및 우정을 목표로 한다(Soares et al., 2013; Moradi et al., 2020). 학생들은 재미, 도전, 사회적 인정, 소속감, 경쟁, 힘, 지구력을 위해 스포츠를 하고, 대조적으로 여학생들은 스트레스 관리와 체중, 활력, 질병 예방, 건강, 외모 및 민첩성을 위해 스포츠를 한다 (Cerar et al., 2017; Moradi et al., 2020). 코칭 스태프는 훈련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성별에 따른 동기를 고려해야 한다.  


참고문헌


Marino M, Masella R, Bulzomi P, Campesi I, Malorni W, Franconi F. (2011) Nutrition and human health from a sex-gender perspective. Mol Aspects Med, 32(1),1-70.


Ford, K. R., Myer, G. D., & Hewett, T. E. (2003). Valgus knee motion during landing in high school female and male basketball players. Medicine Science and Sports in Exercise, 35(10), 1745-1750.


Arendt, E. A., Agel, J., & Dick, R. (1999).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patterns among collegiate men and wome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4(2), 86-92.  

Wojtys, E. M., Huston, L. J., Lindenfeld, T. N., Hewett, T. E., Greenfield, M. L. (1998). Association between the menstrual cycle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Am J Sports Med, 26(5), 614- 

Gschöpf, B. (2013). Geschlechterspezifische Unterschiede in der nativradiologischen Ausprägung der Gonarthrose zum Zeitpunkt des endoprothetischen Kniegelenksersatzes. Diplomarbeit. Graz Universität. 

Wojtys, E. M., Huston, L. J., Boynton, M. D., Spindler, K. P., Lindenfeld, T. N. (2002). The effect of the menstrual cycle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women as determined by hormone levels. Am J Sports Med, 30(2),182-188.

Fatahi, A., Heydar, S., Ameli, M. (2017). Relationship Between Q Angle and Knee Injuries Prevalence in Elite Volleyball Players. Advances in Surgical Sciences, 5(4), 45-48. 

Yukio, U., Risa, K., Sachiko, S., Kosuke, T., Nami, Y., Gaston, A. N., Eriko, T., Mitsuo, O. (2005).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knee during jump landing in male and female atheletes. The Knee,12,129-34. 

Moon, J. (2016). Effect of speed on factors to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while changing direction.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G. Hughes, N. (2015). Daily Gender difference in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landing and rapid change of direction. Science & Sports, 30(3), 163-168. 

Kim, KW & Lim, BO. (2011). Effects of female ages on the noncontac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factors during the single legged drop landing.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Hewett, T. E., Stroupe, A. L., Nance, T. A., Noyes, F.R. (1996). Plyometric training in female athletes. Decreased impact forces and increased hamstring torques. Am J Sports Med 24, 765–773. 

Park, EJ., Lee, YS., Lim, BO., Kim, YW., Lee, KK. (2011). Effect of Anticipation and Fatigue on Lower Extremity Joint Loads during Side-cutting in Female Soccer Player. Korean J Sports Med, 29(1), 26-36. 

Myklebust, G., Maehlum, S., Holm, I., Bahr, R. (1998).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elite Norwegian team handball.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8, 149-153. 

Dedrick, G. S., Sizer, P.S., Merkle, J.N., Hounshell, T.R., Robert-McComb, J. J., Sawyer, S. F., Brismée J. M., James, C. R. (2008). Effect of sex hormones on neuromuscular control patterns during landing.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8(1), 68-78. 

Hewett, T. E., Myer, G. D., Ford, K. R. (2006).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s in female athletes: part 1, mechanism and risk factor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4, 299-311. 

Malina, R. M., Bouchard, C. (1991). Timing and sequence of changes in growth, maturation, and performance during adolescence, Ill: Human Kinetics, 267-272. 

Lephart, S. M., Ferris, C. M., Riemann, B. L., Myers, J. B., Fu, F. H. (2002). Gender differences in strength and lower extremity kinematics during landing.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01, 162-169. 

Zheng, N., Barrentine S. W., Fleisig G. S., Andrews J. R. (2008). Swing kinematics for male and female pro golfers. Int J Sports Med, 29(12), 965-970. 

Hagglund M., Walden M., Ekstrand J. (2009). Injuries among male and female elite football players. Scand J Med Sci Sports, 19, 819‐827.

Roos, K. G., Wasserman, E. B., Dalton, S. L., Gray, A., Djoko, A., Dompier, T.P., Kerr, Z. Y. (2016). Epidemiology of 3825 injuries sustained in six seasons of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men’s and women’s soccer (2009/2010-2014/2015). Br J Sports Med, 51(13),1029-1034. 

Cross, K. M., Gurka, K. K., Saliba, S., Conaway, M., Hertel, J. (2013) Comparison of hamstring strain injury rates between male and female intercollegiate soccer athletes. Am J Sports Med. 41(4), 742-748.
Moradi, J., Bahramia, A., Dana, A. (2019).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Sports Based on Athletes in Team and Individual Sports. Physical Culture and Sport Studies and Research, 85(1). 

Norz, E. (2017). Menstruationszyklus – gesteurtes Krafttraining. LEISTUNGSSPORT, 5, 18-22.
Slauterbeck, J. R., Fuzie, S. F., Smith M. P., Clark, R. J., Xu, K., Starch, D. W., Hardy, D. M. (2002). The menstrual cycle, sex hormones,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J Athl Train, 37, 275-8. 

Statham, G. (2020).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menstrual cycle on training and performance in elite athletes: A preliminary study. Prog Brain Res, 253, 25-58. 

Lebrun, C. M. (1994). The effect of the phase of the menstrual cycle and the birth control pill on athletic performance.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13, 419-441.
Welz, A., Huffziger, S., Reinhard, I., Alpers, G. W., Ebner- 

Priemer, U., Kuehner, C. (2016) Anxiety and rumination moderate menstrual cycle effects on mood in daily life. Women Health. 56(5), 540-560. 

Anderl, C., Hahn, T., Notebaert, K., Klotz, C., Rutter, B., &Windmann, S. (2015). Cooperation preferences fluctuate across the menstrual cycle.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10(5), 400-406. 

Maki, P. M., Rich, J. B., Rosenbaum, R. S. (2002) Implicit memory varies across the menstrual cycle: estrogen effects in young women. Neuropsychologia. 40(5), 518-529. 

Velders, M., Diel, P. (2013). How sex hormones promote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Sports Med. 43(11), 1089-1100.
Sarwar, R., Niclos, B. B., Rutherford, O. M. (1996). Changes in muscle strength, relaxation rate and fatiguability during the human menstrual cycle. The Journal of Physiology, 493(1), 267-272. 

Fridén, C., Hirschberg, A. L., Saartok, T. (2003).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do not significantly vary across 3 phases of the menstrual cycle in moderately active premenopausal women. Clin J Sport Med. 13(4), 238-241.  

Sallis, R, E., Jones, K., Sunshine, S., Smith, G., Simon, L. (2001). Comparing sports injuries in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2(6), 420-3.

Myer G. D., Ford K. R., Paterno M. V., Nick T. G., Hewett T. E. (2008). The effects of generalized joint laxity on risk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young female athletes. Am. J. Sports Med, 36(6), 1073–1080. 

Shultz, S. J., Sander, T. C., Kirk, S. E., Perrin, D. H. (2005). Sex differences in knee joint laxity change across the female menstrual cycle. The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5(4), 594- 603. 

Ford, K. R, Myer, G. D, Toms, H. E, Hewett, T. E. (2005). Gender differences in the kinematics of unanticipated cutting in young athletes. Med Sci Sports Exerc, 37(1),124-9. 

Nam, A., Brody, F. (2008). Management and therapy for sports hernia. Journal of the America College of surgeons, 206,154-64. 

Larson, C. M., Lohnes, J. H. (2002). Surgical management of athleticpubalgia. Operative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2002, 10, 228-32. 

Diesen, D. L., Pappas, T. N. (2007). Sports hernias. Advances in surgery. 2007, 41, 177-87. 

Meyers, W. C., Yoo, E., Devon, O. N., Jain, N., Horner, M., Lauencin, C (2012). understanding sports hernia (athletic pubalgia): the anatomic and pathophysiologic basis for abdominal and groin pain in athletes. Operative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2012, 20, 33-45. 

Velders, M., Diel, P. (2013). How sex hormones promote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Sports medicine, 43(11), 1089-1100. 

Hewett, T. E., Zazulak, B. T., Myer, G. D. (2007) Effects of the menstrual cycle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a systematic review. Am J Sports Med, 35, 659-668. 

Park, S., Stefanyshyn, D. J., Ramage, B., Hart, D. A., Ronsky J. L. (2009). Alterations in knee joint laxity during the menstrual cycle in healthy women leads to increases in joint loads during selected athletic movements. Am J Sports Med , 37(6), 1169-77.  

Hughes, G., Dally, N. (2015). Gender difference in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landing and rapid change of direction. Science & Sports, 30(3), 163-168. 

Asif, M., Sharma, P., Rai, R., Akhtar, Z. (2018). A systematic review on sports hernia. International Journal of Yogic, Human Movement and Sports Sciences, 3(2), 254-259. 

C. Fridén. (2004). Neuromuscular performance and balance during the menstrual cycle and the influence of premenstrual symptoms. Karolinska University. 

Hoppler, H., Lüthi, P., Claassen, H., Weibel, E. R., Howald, H. (1973). The ultrastructure of the normal human skeletal muscle. A morphometric analasys on untrained men, women and well-trained orientiers. Pflügers Archiv, 344, 217-232.


작가의 이전글 축구에서 발생하는 '다이내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