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 아니라 그냥 마음에 집중해야
환원되지 않는 사회적 양심
“전기를 아껴야 합니다”는 초등학교 학창시절 선생님이 늘 강조하던 실천 덕목이었다. 교과서에도 그렇게 강조했다. 집에 오면 부모님도 귀에 못이 박힐 만큼 잔소리를 했다. 이런 면에서는 학교-집-사회가 혼연일체였다.
그 시절 전기를 아끼는 행동은 개인의 양심에 따랐다기 보다는 사회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다한 실천이었다.
지금도 전기를 아껴쓸 때 양심의 가책을 받아 전기를 아껴 쓰는 사람이 있을까 싶다. 가장 큰 이유는 전기료를 아끼기 위함이다. 두번째 정도에서 기후위기, 국가 에너지 걱정 정도일 듯 하다.
그런데 이상한 논리가 하나 있다. 전 지구적으로 조금 좁혀서는 국가 단위로 에너지 절약을 말할 때는, 물론 단어를 직접 쓰는 것은 아니지만 “양심”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에너지 절약 실천을 강조하는듯 하다. 여름과 겨울철 갑작스럽게 에너지 수요가 늘어 전력난이 걱정될 때 정부와 일부 언론에서는 전기를 평소 처럼 사용하고 있는 시민을 마치 죄인 취급한다. 평소에는 가만히 두고 보더니 말이다. 이게 영 불편하다. 국가 단위로 전기가 모자라 전기를 아껴야 하면 그냥 협조를 구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 말투를 살펴보면 마치 전기를 펑펑 쓰는 비윤리적 시민 취급을 하는듯 하다. 졸지에 시민은 “양심없는 사람”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는 안된다. 개인 양심을 지구와 국가 단위의 실천과 혼돈해서는 곤란하다. 아무리 그게 먹히고 쉬운 길이라 하더라도 개인 양심을 공격해서라도 자기들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옹졸한 수법이다.
사회적 양심에 기대해야 한다. 국가 단위의 에너지 위기가 오면 개인 단위로 갑자기 내려와 실천하지 않으면 마치 죄인 취급하듯 몰아 붙이지 말고 구성원 전체가 실천했을 때의 모습을 그려야 한다. 그런 아이디어가 없다면 그냥 능력이 없는 것이다. 모른다고 자기가 아는 것만 정책으로 이용하면 곤란하다. 국민이 정부에게 정치를 맡기는 것은, 필요할 때마다 국민을 몰아 붙이는 권력을 준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해 고민해 달라는 위임이다.
사회적 양심은 사회 구성원의 행동이 시간과 공간에서 연결되어 이루어 진다. 저 높은 곳 권력이 행동실천 강목을 만들어 하달하는 것이 아니다. 에너지 실천은 오로지 전기 스위치 내리는 것 “딱 하나”로 한정시켜 놓고 스위치 내리라고 명령하는 것으로 개인양심의 실천을 강요하는 사회는 그 부분에 한해서 독재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개인의 전기 스위치에서 선택하는 행위가 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그려지는지 상상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것이 정책이다. 그게 어려우니 정치가 있는거 아닌가? 목표 세우고 실천 강요하는 명령 하달식 정책에서 국민 개인이 선택하면 어떤 사회가 만들어지는지 보여줄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모습이 사회적 양심이다. 이는 결코 개인 양심으로 환원되지 않고 환원 되어서도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