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달 Apr 16. 2018

베어타운

국가도, 도시도, 마을의 이름도 정확하게 명시되지 않은 채 '곰'에 대한 간접적 연관성으로 둘러싸인 (아마도 스웨덴) 시골의 어떤 마을에서 벌어지는 <베어타운>은 시작부터 환상적이겠구나 했다. 이런 기대를 품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소설의 도입부에 새겨진 '탕, 탕' 하며 연발하는 하키 퍽의 소리 때문이었다. 고립된 시골 마을에서 울려 퍼질 소리라고는 퍽 소리, 그리고 이 소리를 만드는 하키 선수-아이들의 스케이트 소리뿐일 것 같았으니. 소설의 첫 장을 펴기 전 까진 하키에 대한 아이들의 열정과 눈물이 이 소설의 주된 내용일 것 같았다.


물론 뒤표지에 쓰여있는 소개문을 보면, 이 같은 상상대로 책을 읽을 수는 없다. 어두운 밤 마을 전역에 소리 없이 내린 눈처럼, 마을 전역을 뒤덮을 불안한 사건의 소리가 쓰여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간에 이 모든 궁금증을 가지고 첫 장을 펼쳐본다. 조용하고 한적한, 하얀 눈이 동화처럼 쌓인 공간이 펼쳐진다. 생각해보면 <베어타운>의 도입부에 깔린 이런 전격적인 묘사는 이 마을의 '고립성'을 극적으로 묘사한 셈이 되었다.



<베어타운>의 시공간에 오로지 단 하나로 울려 퍼지는 이 퍽 소리는, 결국 이 소설을 다 읽었을 때가 되면 무언가 공포스러우면서도 하키라는 절대적인 목표만 있을 뿐이라는(그 외의 것들은 희생될 수도 있다는) 씁쓸한 암시를 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을 지명에 흔적처럼 남은 게 아닌 정말로 곰 혹은 자연과 공존하는 마을이 바로 '베어타운'이다. 그런데 다 읽고 나니 이소설은 이렇게 자연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소설이 아니다. '베어'는 도시를 상징하고, 도시의 대표 문화 상품인 '하키'를 상징하기도 하지만, 곰과 같은 무시무시한 힘으로 가진, 절대적으로 추앙받고 우선되어야 하는 이 마을의 목표 가치의 절대적인 '힘'을 뜻하기도 한다.


<베어타운>을 읽어 내려갈수록, 소설이 그리고 있는 '힘'이라는 것은 정말이지 우리 사회를 거울 비추듯 그리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아직 성인이 되지 않은 베어타운 청소년들의 성폭력 사건과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기까지 어른 사회의 '이기주의'가 얽히는 것을 목도면서는 이창동의 몇 영화가 생각났다. 그래서 이 소설은 단순히 흥미진진한 플롯을 가졌다, 긴장감 있는 전개가 재미를 준다, 라고 이야기하기엔 씁쓸한 순간들이 너무 많다. '베어타운'의 주요 사건이 터지고 서서히 폭발해 가는 지점부터 이 소설은 우리가 사는 사회의 알레고리와 은유로 점철된다. 빈부의 격차, 사회적 지위의 격차, 그리고 어른들이 만들어낸 이런 '격차'가 이내 어린 주인공들의 친구 관계나 생활에 전이되는 것까지. 그래서 <베어타운>의 풍경은, 도시도 마을도 정확히 어딘지 제대로 알 수는 없지만 사실 이 세계의 보편적인 묘사에 가깝다.


술어에 대응하는 주어의 번역이 매끄럽지 않아서(주어가 생략된 문장도 있었다), 눈으로 읽고 지나치려 할 때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았다. 문장의 처음으로 다시 돌아와서, 문장의 주어가 무엇인지 다시 짚어본 뒤 재독 하는 경우가 조금 있었다. 배크만의 다음 소설의 번역 때에는 이런 부분이 개선되었으면 좋겠다.


작가의 이전글 공부의 철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