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녕 Jan 24. 2023

조상님은 동그랑땡이 싫다고 하셨어

나흘간의 명절이 끝나가고 있다.

명절상을 준비하기 위해 떠났던 며느리들이 속속 귀환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어때? 이번에는 선방하셨나"

"말도 마, 세광주리 꽉 채워 부쳤어. 종류도 다양하게"

"아니 세 식구밖에 없는데 뭐 그렇게 많이 했대"

"내 말이 그 말이다."


항상 명절 때마다 화두는 전이다.

떡국으로 싸웠다는 집은 못 봤다. 하지만 전 부치다 치고받고 싸우고, 전 부치다 이혼했다는 소리는 굳이 누구한테 듣지 않아도 뉴스에 많이 나왔다.

보다 못한 성균관에서 전부치치 말라고 권고할 정도이니 말 다했지.

명절을 보내고 일상으로 돌아온 내 주변의 며느리들은 서로 얼마나 많은 전을 부쳤는지 배틀이 이루어진다. 다 먹지도 못할 전을 부치느라 몸에 기름냄새가 배었다는 한풀이가 쇼미 더 머니를 방불케 한다.

진정한 힙합은 명절을 지내고 온 대한민국 며느리들 입에서 탄생할 듯하 자, 비트를 주세요.


출처:경북일보 기사 일부 편집

진정한 조상님의 자세

어릴 적 명절 전에 친가에 가면 바닥에 신문지를 넓게 펴고 쭈그리고 앉아 공장처럼 전을 부쳐댔던 것이 기억난다.

동그랑땡부터 고추전 녹두전 두부부침 그리고 목적을 알 수가 없는 다시마 붙은 전까지

렇게 뼈대 있는 가문은 아닌 거 같은데 명절 차례상만큼은 대감집 마냥 상다리가 휘어지게 차려댔다.

그때는 옆에서 집어먹을 줄만 알았지 그게 엄마와 숙모의 피 땀 눈물이라는 것을 몰랐다.

이십 년도 훨씬 에 그러고 있었는데 아직도 전 때문에 이러고 있다니, 그마저도 내가 며느리가 되지 않았으면 그 고충을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어찌 되었건 전은 맛있으니까

조선시대에는 식용유뿐만 아니라 밀가루도 비싼  재료였다고 해요. 조선후기까지만 해도 밀가루 음식은 중요한 날에 먹는 귀한 요리 중 하나였고 밀가루로 쑨 소스( 묽은 밀가루풀)를 요리에 붓는 것은 고급요리의 조리법 중 하나였다고 해요 밀가루 부침개는 부잣집이 아니면 평소에 접하기 어려운 음식이었다고 합니다.
[출처] 설날  정성이 가득한 맛있는 설날  모둠전 전의 유래 명절엔 왜 전을 먹었을까요?|작성자 두현


백번 양보해서 옛날에는 먹을게 귀했으니까, 명절에만 맛있는 음식을 먹었다 하니 그렇다 치자.

삼시세끼 꼬박꼬박 잘 차려먹는 현대인들이 명절에 까지 기름진 전에 갈비, 생선에 고깃국까지 조상님 핑계로 평소에 굶었던 거 마냥 을 차리는 것을 보고 진정한 조상님들이라면 후손들의 고지혈증 우려해야 할 수준 아닌가.


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우리 전의 민족이었던가

설 명절 한참 전부터 동네 마트 동태포 판매에 열을 올리기 시작한다.  매대 한 칸을 동대포들이 차지한 것을 보고 아 곧 설이구나 알아차린다.

간단히 찬을 해 먹으려고 간 돼지고기 한팩이나 살까 고기코너에 간다. 한팩이 거의 한 바구니만 해 진 것을 보고 되돌아온다.

사람들 전에 진심이구나

나모르게 명절에는 전 부쳐먹기 범 국민운동이라도 하는 걸까 싶었다.  


"서운하지 않니?"

네? 뭐가요?

이제 차례를 지내지 않는다. 그래도 명절에 전은 부쳤다.

매해 기름냄새 입어가며 부쳐놔도 입 짧아 두세 개 먹음 젓가락을 놓아버리는 식구들.

딱히 누가 먹고 싶다 하지 않고 냉장고에 둬봤자 다시 꺼내 먹지 않아 버리는 게 태반인 전이라 올해는 하지 말자고 했더니 저러신다.

비만 와도 부쳐먹는 것이 전이고 세상에 맛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 데 고작 전 하나에 서운할 리가 없는데도 말이다.

아무래도 내가 모르는 뭔가 있는 거 같다.


전찌개가 웬 말이니

몇 년 전에 전찌개라는 것을 알게 됐다. 전과 찌개의 만남이라니 이 무슨 뜨거운 아이스아메리카노 같은 조화인지. 하루 세끼 꼬박 전을 먹고 나니 이제 느끼해서 먹기 싫은데 넘쳐나는 전은 처리해야겠으니 나온 괴식었다.

괴식인 것 치고는 전찌개는  내 입맛에 맞다.

하지만 그와 별개로 그 많은 전을 해치워야겠다는 고민에 억지로 만들어낸 음식이라는 생각이 드는 건 사실이다.


명절 손님을 모두 보내고 점심을 먹었다.

뭘 먹을까 생각하다 매콤한 라면이 생각났다.

칼칼하게 청양고추 송송 썰어 넣은 라면을 먹다 보니

친구에게 연락이 왔다.

"세상에 사람들 다 아귀찜 먹으러 왔나 봐 바글바글하다"

역시 사람들 다 느끼했던 거야.


내가 조상님이 되었을 때는 이미 차례문화는 사라졌을 것이다. 이미 정리한 집도 많고 있다 해도 아마 우리 대가 거의 마지막이겠지.

그래도 혹시 남아있다면

후손들아 난 명절에 전은 싫어해 참고하렴



작가의 이전글 애증의 포켓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