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이 Jul 04. 2022

선택의 원동력을 내면에서 찾기

파랑새는 내 안에 있었다고 한다.

30대. 짧다면 짧은 길다면 긴 세월. 우리네 삶에서 아무래도 가장 큰 선택은 대학, 취업, 그리고 결혼이 아닐까.


그중에서도 내가 가장 관심 가는 이야기 결혼 고민. 시기적절하게 언제 결혼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도 있고, 이미 한 결혼을 후회하는 사람도 있고, 나처럼 딩크냐 임신이냐 갈림길에서 고민하는 사람도 있고, 육아와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계획을 세우는 사람도 있고. 흥미진진하다.




어떤 친구는 결혼을 할지 안 할지 정말 오랫동안 고민해왔다. 결혼할 거면 이 사람이랑 할 건데, 굳이 결혼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고민.


가족의 형성 과정에서 아이를 제외하면 메리트가 별로 없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관한 회의일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집안과 집안의 결합이라는 개념에 대한 반발일까, 아니면 내가 상상하지도 못할 어떤 고민이 있을 수도 있겠지.




어떤 친구는 결혼을 할 거긴 한데 여전히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해라 라는 부모님의 말씀에 우유부단하게 결정을 못하는 걸까.


어쩌면 자신의 인생에 대한 선택인데도 그 동기를 외부에서 찾는 것 같이 보인다.


부모님이 쌍수 들고 환영한다 결혼해라 결혼해라 압박했으면, 잔소리 듣기 싫어 아예 비혼을 선언하기로 결정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아니면 반대로 결혼한다고 했을 때 절대 안 된다고 결사반대를 했다면, 오히려 아니야 난 이 사람이랑 결혼할 거야 라는 반항심으로 확 결혼해버릴 수도 있을 것 같다.


또는 완전히 반대로 부모님 말씀 착실히 잘 들어서 선도 보고 조건 맞는 사람 잘 만나서 일찌감치 결혼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데 그런 환영도 반대도 없이 오롯이 나만의 선택으로 하는 결혼이라 더 결정하기 힘들 수도 있겠다. 결혼해서 잘 살면 다행이지만 못 살면 이 사람을 선택한 내 탓이니까. 누구를 원망할 수도 없고 말이다.







어느 쪽이든 결국은 내 선택이다. 우리가 물어봐야 할 대상은 남이 아니라 상대도 아니라 나 자신이다.


내가 이 결혼을 하고 싶은가?

나는 이 사람을 진심으로 사랑하는가?

내가 이 사람과 행복하게 같이 살 마음이 있는가?

내가 결혼하면서 상대에게 더 좋은 배우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마음이 있는가?


나의 진심을 알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나이 서른인데 결혼 안 하고 뭐 하냐

결혼하자는 사람 있을 때 얼른 결혼해라

지금 결혼해도 노산이다

여자 나이 크리스마스 케이크다


아직도 이런 말 하는 사람 없겠지 싶은데 여전히 들린다. 그렇게 허겁지겁 결혼하면 후회한다는 걸 알면서도 여전히 이런 말에 휘둘리게 되는 경우도 많다. 물론 그 당시에는 그걸 몰랐으니까 그런 선택을 했겠지.


나의 의견보다 남의 의견을 더 존중해주면, 결국 내 인생에서 내가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모른 채 살아간다. 그만큼 삶의 만족도도 떨어지겠지.


내가 스스로 한 선택이 아니기 때문에 만약 결과가 내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 타인을 원망하게 된다. 남이 해준 내 결정에 아무도 책임져 줄 사람이 없으니까.


그것이 결혼이든 취업이든 대학이든, 인생의 다양한 갈림길에서 떠밀리듯이 선택한 사람들의 딜레마이다. 내가 선택한 게 아닌데, 내가 책임져야 하는 그런 상황.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던, 우리 스스로가 원해서 한 결정이길 바란다.


남들 다 해서 하는 결혼 말고, 주변에서 시켜서 가는 대학 말고, 남이 원해서 낳아준다는 임신과 출산 말고.


내가 정말 사랑하는 사람과 하는 결혼

내가 학문에 뜻이 있어 진학하는 대학

내가 일하면서 역량을 발휘하고 싶은 직장

내가 마음이 맞아 길게 사귀고 싶은 친구

나 자신보다 더 사랑을 주며 키울 아이


그 원동력을 내 안에서 찾기.







여러 사람이 살아가는 사회에서는 아주 사소한 부분에서도 갈등과 오해가 생긴다. 헉, 그걸 그렇게까지 생각할 거 있나? 싶을 정도로...


특히 외국에서 만나는 한국 사람들은 우리와 마음이 같을 것이라 생각돼서 그럴까, 더 기대가 크고 그래서 더 실망이 큰 것 같다.




같은 한국 사람인데 인사도 안 한다고 험담할 필요 없지 않을까.


우리가 한국인이라는 외부적인 요소가 아니라, 너와 친해지고 싶다는 마음이 먼저여야 말도 걸고 하니까. 꼭 한국인이라고 서로 무조건 친해져야 한다는 의무는 없으니까.


내가 그 사람과 인사하고 싶다면, 먼저 밝은 표정으로 반갑게 인사하면 그걸로 된 것 아닐까?




같은 한국 사람이라고 다 똑같은 한국에서 온 건 아니다.


누구는 서울에서 누구는 다른 지역에서, 누구는 대기업 다니다가 누구는 공부만 하다가, 누구는 해외생활을 오래 하고 누구는 한국에서 바로 왔고, 누구는 집안이 어떻고 누구는 저떻고...


아니 한국 사람끼리 어떻게 그래? 하는 원망도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 사람에게 부질없는 기대를 한 내 탓이오 해야지 뭐.


오히려 한국 사람이라고 이중잣대로 재단한다면 그게 인종차별이 아닐까?




남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우리를 뭘로 봤을까 후회해도 아무 소용없는 일이다.


남이 우리를 어떻게 보든 그게 뭐 얼마나 중요할까. 내가 그 당시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을 했고, 그때의 판단을 믿는다면, 남의 시선에 좌지우지될 필요는 없으니까.


오히려 남의 눈치를 너무 보느라 불이익을 감수한다면 나 스스로를 차별의 대상으로 만들고 있는 거 아닐까?




어쩌면 우리는 하지 말라는 게 너무 많은 사회에서 자라서, 스스로 결정하기가 어려운 것일 수도 있다. 얼마나 심하면 결정장애, 선택 장애라는 말까지 나왔을까.


우리는 왜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게 많았을까?

우리는 왜 그렇게 정해진 답만 쫓아 살았을까?

우리는 왜 스스로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묻지도 못하게 됐을까?

우리는 왜 스스로를 위한 선택을 포기하는 데 익숙해졌을까?

그렇게 희생하며 사는 게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일까?







내가 이제까지 살면서 해왔을 무수히 많은 선택들 중 무엇이 잘 한 선택이고 무엇이 못 한 선택일까?

사실 이미 지난 일을 되새김질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만, 무엇이 가장 보람되고 무엇이 가장 후회될까?

아니다, 앞으로 내가 할 선택 중에 내가 어떤 선택을 해야 앞으로의 나의 인생이 더더욱 행복할 수 있을까?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내 인생에서 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을까?




우리의 인생을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리는 이미 최선을 다하고 있다.


나는 나를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고, 타인은 자신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하며, 서로를 존중하며 우리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You're gonna piss off a lot of people when you start doing what's best for you.







https://link.inpock.co.kr/loveyourlife


매거진의 이전글 관계에 진심인 한국인,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