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아울 Jul 05. 2023

자매라서 거리두기

돈독한 자매 비법

얼마 전에 동생과 이야기를 하나가 깨달은 사실. 내가 일방적으로 말하고 있다는 거였다. 동생은 수긍을 잘했다. 이건 대화가 잘되는 게 아니었다. 우리는 일종의 패턴처럼 말하고 있었다. 힘든 일을 말하면 나는 도와준다고 생각하고 방법을 제시했지만 매번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 대화가 지겹기도 했다. '이제 힘든 이야기 너무 자주 하지 마'라고도 말했다. 


동생은 '모두가 변화를 바라는 게 아니야'라고 말했다. 듣고 대화하는 걸로 충분하다는 이야기였다. 그럼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힘든 이야기만 반복하면서, 일시적으로 풀어버리면 그만인 거라고? 나는 그런 상황을 말로 되풀이할 필요가 없는 것 같았다. 한두 번 감정을 풀어내면 그만이지 계속 이런 방식이 너무 힘들었다. 


내가 바뀌지 않는 걸 보고 답답해하는 게 우월감일지도 생각해 봤다. 이렇게 꼰대가 돼 가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했던 말 또 하고, 설명하고, 비유하고, 반복하고. 나만 그런 게 아니라 서로가 반복하고 있다. 동생은 나의 꼰대 같은 말이라도 견디며 그저 대화 상대가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대화보다 혼자 생각하고 글로 해소하는 편이다 보니 각자의 방식대로 풀어내고 있는 걸까. 연년생 동생을 둔 친한 친구는 우리가 너어어무 돈독하다고 말했다.


생각해 보면 조언 같은 말들은 대부분이 무용지물이다. 하고 싶은 말을 했으면 그걸로 끝이지 동생의 변화를 기대한 것도 선을 넘는 일이긴 하다. 뇌과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더 화를 잘 내는 이유가 뇌에서 나라고 인식되는 그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하던데. 그래서인지 말을 곧이곧대로 들어주기가 너무 힘들다. 유독 동생과 대화할 때면 감정이 복잡해진다. 마치 동생이 나의 일처럼 느껴진다. 


동생의 사정이 나의 일이 아님을 직시하고 싶다. 이제는 다 큰 성인인 동생을 하나의 어른으로 믿어줄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동생 때문이 아니라 나 때문에 그래야겠다. 연년생 자매로 30년 넘게 붙어 지낸 우리가 앞으로도 건강하고 사이좋게 지내려면 말이다. 쓸데없는 걱정보다 믿어주는 연습이 필요한 것 같다. 


기쁘거나 슬프거나 믿어줘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불편함에 신경끄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