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하리하리 Apr 09. 2023

E1 23상 공채 자소서 문항분석

written by 하리하리

안녕하세요? 하리하리입니다.

오늘은 2023년 4월 14일 23시에 마감하는 E1 공채 문항 분석자료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시고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유료문의 필요한 분들은 오픈프로필로 연락주세요.

연락주시기 전, 그 아래 카페 링크도 확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본인의 가치관/생활신조/성격/장점/재능을 작성하여 주십시오. (최소 200자, 최대 550자 입력가능)

-. 가치관과 생활신조, 성격과 장점 그리고 재능 이렇게 두 파트로 묶어서 푸는 걸 추천합니다.

-. 분량도 그렇고, 각각을 하나씩 쓰기엔 모호하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 물론, 제 얘기가 정답이 아니기 때문에 각각을 따로 따로 적어도 무방합니다.


-. 가치관 및 생활신조를 풀어가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제가 매번 공유하는) 글입니다.

-. 가치관을 접근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

 1) 이 가치관이 어떻게 해서 갖춰지게 됐는지?

 2)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

 3) 이 가치관을 내재화시키기 위해서 내가 무슨 노력을 했는지?

 4) 이 가치관을 발휘해 한 선택으로 만든 좋은 성과는 뭔지?

-. 모든 가치관(신조)은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소통도 문서로 하는-/경청하는-/일반적인- 다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성격/장점/재능에 관해서

 1) 성격의 장단점과 직무상 강약점은 다릅니다.

 2) 단점이나 약점을 여기서 묻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됩니다.

 3) 재능이란? 같은 에너지를 들여 더 나은 결과를 만든 것 or 같은 결과를 더 적은 시간 안에 해낸 것.

-. 내 장점을 발휘해서 내가 낸 성과

★ 모든 자소서는 직무적합성에 근거해서 바라봐야 한다는 걸 잊지 마세요.


당사에 지원하게 된 동기와 입사 후 본인의 포부를 구체적으로 작성하십시오. (최소 200자, 최대 550자 입력가능)


<회사에 지원한 동기란?>

-. 회사는 a란 특징 보유, 나도 a란 특징 보유: 우리는 천생연분

-. 회사 선택 기준으로 치환 가능.

-. 인생을 살며 선택의 기로에 놓일 때, 내가 고르는 기준으로 치환 가능.

-. 우린 인생을 살며 매 순간 선택의 기로에 놓이고, 각 기로에서 우린 나름대로의 이유 하에 선택을 함.

-. 그 이유와 결과를 조합하면 공통점이 보임. 이를 일반/추상화시키면 자기 삶의 기준 완성됨.

-. 그 기준에 입각해서 회사를 바라봐야 됨.


<회사를 바라보는 요령>

-. 업계 내에서 회사가 어떤 포지셔닝을 갖춰놓고 있는지?

-. 매크로하게는 업계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하는지?

-. 그리고 지원직무 담당자의 관점에서 회사를 보면 더 좋습니다.

cf. 신규사업 담당자가 봐야 될 E1의 기사/행보들


★★★★★★ 정말 중요한 아래 기사

-. 바로 위 기사는 국내/해외영업 모두를 아우르는 기사

-. 국내: 민수용 수요 감소 / 가스공사 공급물량 확보로 목표 판매량 초과 달성

-. 해외: 저가물량 확보 / 구매조건 다변화 / 개도국 시장 중심의 최적

-. 신규사업: 납사 등 타 제품 트레이딩 역시 적극 추진

-. 이외 내용에서도 뺄 게 없습니다.

-. 바로 위 기사는 입사 후 포부에도 활용될 포인트들이 많아 보입니다.


<입사 후 포부란>

-. 이 회사/업계는 모두 B란 미래 추구, 그 미래가 현실이 되기를 바람.

-. 이런 경험/특징/지식/역량 등을 갖춘 내가 너네 회사에 들어가서 해당 업무를 하면 그 미래 더 빨리 현실이 됨.

or

-. 이 직무에서 계속 업무를 하면 내가 될 전문가의 모습 상정.

-. 전문가란? 이 업계/회사가 이 비전을 실현하거나 이 문제를 해결할 때, 동 직무 담당자 중 본인이 제일 먼저 떠올라야 합니다.

-. 전문가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이 전문가가 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역량 중 내가 갖고 있는 건 어떻게 업그레이드 시킬 지?

-. 부족한 건 어떻게 보완할 지?


해당 분야 업무 수행에 적합한 지원자로서의 본인의 장점 및 준비된 노력에 대해서 작성해 보십시오 (최소 200자, 최대 550자 입력가능)

-. 국내/해외영업이든, 신사업이든, 엔지니어든, 경지든 뭐든 LPG업계의 player인 E1의 구성원인 걸 잊으면 안 됩니다.

-. 영업만 해도 뭘, 어떻게 파느냐에 따라 우리가 갖춰야 될 역량의 구체적 면모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 현대오일뱅크 등 석유제품을 주유소에 납품하는 영업관리와 LPG 충전소에 LPG가스를 납품하는 영업관리는 달라야 하니까요.


-. 여튼, 이 업무를 하면서 빠르게 적응하고, 더 크게 성과를 내는 데 도움이 될 역량이 곧 장점.


<역량이란>

1) ~력/능력을 붙였을 때, 말이 되는지?

2) 공기업 직무기술서를 보면 역량이란 지식/기술/태도로 나눠집니다.

3) 태도란 적극성/책임감/열정/배려 같은 단어로서 모든 직장인에게 필요한 물과 공기 같은 것 (=직업윤리)

4) 태도보다는 지식이나 기술(Skill)에 좀 더 방점을 찍으라고 가이드를 드립니다.


-. 이 역량이 지원하는 분야에서 업무를 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 지?

-. 동 역량을 갖고 있는 사람 대비 본인의 차별점은 (분석력도 매크로/마이크로/데이터/경쟁사 분석 등 앞에 뭘 붙이느냐에 따라 세분화 가능)

-. 이 역량을 갖추기 위해 내가 해 온 노력: 보통은 학습과정 (공부: 전공/자격증/인턴이나 이전 회사에서 부족한 걸 메우기 위해 한 노력/대외교육 등 다양한 노력이 이 안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cf. 원래는 이렇게 기른 나의 역량(장점)을 실무에 접목시켜 확인한 사례도 말하는데, 여기 문항에서는 묻고 있지 않습니다.


어떤 사안에 대해 사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챙기며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최소 200자, 최대 550자 입력가능)

-. 사전에 고려할 사항이 뭔지 체크하고, 이걸 챙겨야 하는 게 포인트.

-. 그리고 이 문항에서 궁극적으로 묻는 건 '문제 해결'

-. 문제라고 인식한 지점

-.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변수)는?

-. 보통(아마) 그 챙겨야 될 걸 챙기지 않았기 때문에 문제가 반복될 확률이 높습니다.

-. 당연하게도 여기 나온 문제해결 사례 역시 직무와 (어떤 식으로든) 연결되면 좋습니다.


어떤 사안에 대해 이해관계자들과 우호적 관계를 형성해 본 경험을 작성해 보십시오. (최소 200자, 최대 550자 입력가능)

-. 어떤 사안을 잡고, 그 사안과 연관된 이해관계자가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 친구는 이해관계자가 아닙니다.

-. 본인과 여기에 언급할 사안 중심으로 이해관계가 형성돼 있어야 합니다.

-. 그리고 그들과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노력한 게 중심이어야 합니다.

-. 이 얘기의 전제: 그들이 이해관계로 엮여 있는 존재다 보니까 정상적이라면 그들이 본인을 경계해야 됩니다.

-. 하지만, 본인의 붙임성 등 여러가지 skill로 그들이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cf. 면접을 가게 되면 평소 대인관계 형성/유지 역량을 물어볼 수 있는 질문이라고도 생각합니다.


이렇게 해서 e1 주요 문항별 해설(분석)을 마칩니다.

여러분들에게 이 가이드라인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대우건설 23상 공채 자소서 문항해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