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성기노 Mar 31. 2023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장기화 조짐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개회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지속적인 하강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33%, 부정 평가는 60%였다. 직전 조사인 2주 전보다 긍정 평가는 2%포인트 내렸고, 부정 평가는 3%포인트 올랐다.


특히 긍정 평가는 3월 첫째 주 조사에서 37%를 나타낸 뒤 3월 셋째 주 조사에서 35%, 이번 조사에서 33%로 낮아지는 등 뚜렷한 하락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론조사전문가들은 “윤 대통령의 제3자 변제를 골자로 하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에 대한 난맥상과 성과 없는 한일 정상회담 결과가 직접적인 타격이 됐다”고 분석한다.


국민들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긍정 평가 31%, 부정 평가 60%로 응답했다. 한일문제에 대해 이렇게 부정 평가가 높게 나오는 것은 윤 대통령의 ‘불통’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21일 야당과 국민들의 한일관계 개선책 문제점 지적에 대해 ‘역대 최장’ 국무회의 모두발언으로 일방적인 갈음을 해 버렸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독도 영유권·위안부 합의안·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문제가 한일 정상 간 논의됐다는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의혹 제기에 대해서는 별도 언급도 하지 않았다. 국민들은 한일관계를 그 역사적 ‘악연’ 때문에 단순히 외교 경제적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번에 윤 대통령이 역대 정권 들어 가장 전향적인 자세로 일본에 다가서고 있지만 그런 외교정책의 ‘대전환’을 국민들에게 상세히 설명하며 설득하지 않고 23분 국무회의 발언으로 일방적 통고를 해 버린 것이 지지율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번 윤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의 하락 흐름은 기존 통계와 사뭇 다른 점이 있다. 먼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세대별로 다른 지지율을 기록했었다. 20대와 30대의 지지율이 높았고 40대와 50대는 낮은 경향성을 보여왔다.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3월 16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의장대 사열을 마친 뒤 일본측 인사를 만나기 위해 기시다 일본 총리의 안내를 받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이번에 실시된 리얼미터-미디어트리뷴 여론조사를 보면 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에서 20대는 긍정이 29% 부정이 67%이었다. 그리고 30대가 긍정 30.7% 부정 66.7%. 40대가 긍정 21.2% 부정 77.4%. 50대가 긍정 33.4% 부정 65.2%로 나타났다. 20, 30, 40, 50대 모두 부정 평가가 60% 중반에서 70%까지 분포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나오는 거의 모든 여론조사에서 부정 평가가 20~50 전 세대에 걸쳐 폭넓게 나타나는 것이 윤 대통령에게는 상당히 뼈아픈 대목이다.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은 2030 세대 절반의 지지와 6070 세대에서 우위를 보여 승리를 할 수 있었다. 이것이 이른바 세대포위론이었다. 하지만 최근의 윤 대통령 지지율 흐름은 세대포위론이 깨지고 20, 30, 40, 50대의 폭넓은 연령층에서 부정 평가가 분포돼 있다.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60, 70대 이상 노년층에서만 확실한 지지율 우위를 보이고 있을 뿐 나머지 세대에서는 부정 평가가 폭넓게 지배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런 시그널은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력 확보 면에서 보면 상당히 암울한 지표임에 틀림 없다. 여론을 이끌어 가는 주요 세대에서 부정 평가가 대세를 이룬다면 앞으로 지지율을 끌어올릴 만한 반등 요소가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윤 대통령이 강력하게 추진하는 연금 등의 각종 개혁정책도 여론 ‘허리층’의 외면과 반발로 주춤하거나 포기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강제징용 해법 난맥상과 한일 정상회담 후유증 등으로 촉발된 지지율 하락 국면이 자칫 만성적인 장기 침체 흐름으로 빠지게 된다면 그 늪을 탈출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정권 출범 3개월 만에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촛불정국 직격탄을 맞아 지지율이 급전직하 했고 그것을 만회하기 위해 중도층 포용 등의 쇄신 정책을 펼쳐 거의 3년만에 지지율 상승 반전의 기회를 잡은 바 있다.


사실 현재로서는 윤 대통령이 한번 꺾여진 지지율 흐름을 되살릴 만한 반등 요소가 그리 많지 않다. 총선을 앞두고 각종 개혁 정책도 흐지부지 물 건너 갈 공산이 크다. 지지율 반전을 노릴 만한 기제가 여의치 않다는 점에서 현재의 하락 국면은 미래 희망도 없는 장기적 내리막길의 서막일 수 있다.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 낙마 사태 이후 국정운영의 총체적 난맥상이 더 나타날 가능성도 있어 앞으로 윤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 반전은 더욱 요원해 보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