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smine Oct 23. 2023

74. 가을날의 운동장

―엄마에게 그 가을이 따뜻했기를

어김없이 그날이 왔다. 운동장은 더없이 넓고 출발선에 선 내 머릿속은 이미 하얘졌다. 수많은 사람이 모여 시끌벅적한 가운데 난 온몸이 귀가 된 듯 숨을 쉬기도 힘들었다. 그러다 “탕”하는 총소리에 화들짝 놀라 뒤로 물러섰다가 뒤늦게 다른 주자들을 따라 달렸다. 몇 미터 달리지도 않았는데 벌써 발바닥이 아파왔다.

     

운동장을 한 바퀴 돌아야 하는 오래 달리기. 숨이 턱까지 차오르는데 이미 다른 주자들은 운동장의 첫 번째 코너를 돌고 있었다. 달릴수록 앞 주자와의 거리는 점점 더 멀어졌다. 출발지점과 대각선 방향에 있는 두 번째 코너를 향할 즈음엔 앞선 주자들은 이미 세 번째 코너를 향하고 있었다. 두 번째 코너에선 다른 반 주자들이 출발선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우리 반 주자들을 쫓아 세 번째 코너를 향해 달리는데 등 뒤에서 또 한 번 총성이 울렸다. 두 번째 코너에서 출발한 다른 반 주자들이 우르르 내 뒤를 쫓아 달려왔다.

      

뭐든 시작한 이상 열심히 해야 한다는 걸 일곱 살 때 이미 알았던 걸까. 내 앞에 펼쳐진 운동장은 가을 햇살 때문인지 해운대 백사장보다 더 눈부시고 더 광활했다. 게다가 다른 반 주자들이 내 뒤를 바짝 따라붙는지 어느새 거센 숨소리가 점점 크게 들렸다. ‘아, 큰일 났다.’ 공부만 힘든  아니었다. 출발 총소리를 기다리는 순간부터 쿵쾅대던 심장은 달리기가 시작되면서 터질 것만 같았다. 그때 나는 겨우 만 여섯 살이었다.

    

아버지가 출생신고를 음력(2월)으로 하는 바람에 난 숫자도 제대로 세지 못한 채 만 여섯 살에 입학했다. 모든 게 서툰 내가 걱정된 엄마는 아침 설거지가 끝나기 무섭게 막내를 둘러업고 내 뒤를 밟아 학교로 왔다. 수업 시작 전 아침 자습 시간 과제를 제대로 하는지 복도 창밖에서 살피기 위해서였다.

      

‘5쪽~7쪽까지 세 번 쓰시오.’ 다른 아이들은 휘리릭 과제를 해놓고, 간혹 하지 않고도 책상 사이를 뛰어다니고 몇몇 남자아이는 책걸상 위를 징검다리 건너듯 날아다녔다. 한 반 학생수가 60명이 넘던 시절이었다. 그런 난장판에도 자리에 붙박이처럼 앉아 있는 딸을 지켜보던 엄마는 결국 교실 뒷문으로 들어왔다. “J야, 뭐 하노? 저거(자습 과제)는 다했나?” 반가운 엄마의 등장에 눈물을 글썽이던 그때, 난 과제 3번 쓰기도 힘에 부치던 아이였다. 겨우 두 번을 써놓고는 과제를 마치지 못했으니 자리를 뜰 엄두도 못 낸 채 책받침에 별만 그리고 있었다고 한다. 엄마는 두고두고 그걸 신통하게 여겼다. 한글도 미처 떼지 못한 아이가 그 어려운 별은 잘 그렸다니 지금 생각해도 신기하다.

    

그러고 여름방학 지나 맞은 가을 운동회날, 운동신경도 공부 머리만큼이나 둔했던 아이가 운동장을 달리고 있었다. 두 번째 주자들이 내 뒤를 쫓으면서 꼴찌였던 나는 1등으로 달리는 모양새가 됐다. 애태우며 눈으로 나를 좇는 엄마가 있다는 걸 그때도 알았다. 다른 반 주자들에게까지 밀리면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었는지 세 번째 코너를 돌 땐 심장이 터질 지경이었다. 그런데 어디서 그런 힘이 났을까. 죽을힘을 다해 달린 덕에 간발의 차로 1등 같은 꼴등으로 골인했다. 내 손등에도 ‘참 잘했어요’란 보라색 도장이 찍혔다. 그 손을 의기양양하게 들고 김밥과 과일을 싸 온 엄마에게 달려갔다. 그날의 김밥은 내 생애 최고의 김밥이었다.  

   

훗날 엄마에게 들으니 건성으로 달리기를 보던 동네 친구 엄마는 사람 속도 모르고 “딸내미가 1등이네요” 했다고 한다. 모든 게 느리고, 몸도 약했던 큰딸 때문에 엄마는 항상 긴장 속에 살았다. 가을날의 첫 운동회는 시작에 불과했다. 소풍, 운동회, 수학여행 때마다 엄마는 수없이 가슴을 졸여야 했다. 초등학교 수학여행을 간 경주에서 쓰러지고, 첫 체력장을 준비하다 쓰러지고, 800m 달리기를 하다 쓰러지고…. 엄마가 나를 키우는 과정은 겨우 걷는 아이를 물가에 내놓은 것 같았을 것이다.

     

고등학교 들어가서도 시름시름 아파 학교보다 병원 순례하느라 더 바빴다. 원인을 찾지 못하고 대학에 들어간 뒤에야 ‘고3병’이라는 병명이 신문에 처음 등장했다. 적성에 맞지 않는 이과 공부 스트레스 때문이었다는 것을 그때서야 알게 됐다. 모든 게 느렸지만 아픈 것으로는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았다.

     

엄마의 봄날은 언제였을까. 아마도 서울에 정착한 자녀들 성화에 부산을 떠나 서울에 자리 잡은 15년 정도였을 것이다. 젊은 날의 엄마를 내내 가슴 졸이게 한 못난 딸에게 그 시절의 불효를 만회할 시간은 겨우 15년이 전부였다.   

   

엄마가 뇌출혈로 쓰러지고 세 번의 가을을 맞았다. 엄마와 다시 한번 여행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옛날의 그 운동장을 찾고 싶다. 거기서 젊은 날의 엄마를 다시 만나고 내 옆에 선 여든둘의 엄마를 꼭 안아주고 싶다. 당신의 삶이 고됐던 시간만큼 나는 조금씩 단단해졌다고 말해주고 싶다. 그 옛날의 허약했던 아이가 이젠 보통내기가 아닌 중년이 됐다고. 이렇게 나이 먹었어도 엄마의 김밥은 여전히 세상 제일 맛난 김밥이었다는 것도.      

작가의 이전글 73. 104세 할머니의 스카이다이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