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재환 Sep 21. 2022

27년 만에 세종기지를 방문한 귀한 손님

남극에서 알려드립니다 (8)

오랫동안 연락이 뜸하던 귀한 손님이 세종기지를 방문했다. 

유난히 졸렸던 어느 날, 바람 쐴 겸 바닷가인 세종곶으로 걸어갔다. 막상 세종곶을 가려고 하니 바람이 많이 불어 추웠다. ‘계속 갈까? 지금이라도 들어갈까?’ 고민하던 와중에 멀리서 반가운 얼굴, 펭귄이 보였다. 남극의 추운 겨울을 피해 펭귄들은 몇 달 전 이미 따뜻한 곳을 찾아 떠났었다. 그래서 한동안 펭귄을 볼 수 없었기에 펭귄 형체를 보자마자 무척 반가웠다. 멀리서 봤을 땐 펭귄이 어떤 종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당연히 펭귄마을에서 쉽게 볼 수 있던 젠투펭귄이라고 예상했다. 젠투펭귄은 주황색 부리와 눈 주위의 선명한 흰 무늬가 특징이라 멀리서도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 

세종기지 근처 펭귄마을에 서식하는 젠투펭귄. 아담한 크기, 주황색 부리, 눈가의 흰 무늬가 특징이다. (출처 : 노윤탁 의료대원)

그런데 세종곶 근처로 올라온 이 펭귄은 눈 주위에 흰 무늬도 보이지 않고 부리도 내가 알던 주황색이 아니었고 젠투펭귄의 부리보다 길어보였다. 눈 주위가 검은색이라 눈동자가 보이지 않았으며 목 근처가 약간 노르스름했다. 젠투펭귄은 키가 50cm 근처로 무릎 높이 정도인데 이 펭귄은 가까이 다가가니 배꼽 높이까지 올 정도로 매우 컸다. 그렇다, 이 개체는 펭귄 중 가장 큰 황제펭귄 또는 임금펭귄이다.

세종기지에서 황제펭귄을 보다니! 처음에는 생김새가 유사한 임금펭귄과 구분하지 못했다.
육중한 몸매의 황제펭귄. (출처 : 노윤탁 의료대원)

황제펭귄은 뭐고 임금펭귄은 뭔가? 두 펭귄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개체 크기에 차이가 있다. 두 펭귄의 이름이 붙여진 내막이 재밌다. 임금펭귄은 킹펭귄(King penguin)이라고도 불리며 원래 가장 몸이 큰 펭귄이었다. 임금펭귄이 처음 발견한 사람들은, 당시에 발견된 펭귄 중 가장 몸이 커서 ‘펭귄의 왕', 즉 임금펭귄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렇게 임금펭귄은 ‘펭귄의 왕’으로 장기집권해왔다. 하지만 60년 후, 남극대륙에서 임금펭귄보다 몸이 더 큰 펭귄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이 펭귄은 임금펭귄보다 더 큰 펭귄이라 황제펭귄(Emperor penguin)으로 명명됐다. 황제펭귄은 지금까지 몸이 가장 큰 펭귄으로 알려져 있다.

어느 쪽이 황제펭귄일까? 답은 오른쪽이다. 왼쪽은 임금펭귄. (출처 : 극지연구소 블로그)

황제펭귄과 임금펭귄은 이름뿐 아니라 생김새도 유사하다. 그래서 세종곶에서 황제펭귄을 발견했을 때, 황제펭귄인지 임금펭귄인지 구분하기 어려웠다. 곧장 연구동으로 뛰어가 두 펭귄의 차이점을 알아봤다. 두 펭귄 모두 얼굴과 등이 검은색이고 배가 흰색이다. 귀와 목 주위는 뚜렷하게 노란색을 띠고 있다. 크기는 황제펭귄은 최대 120cm에 22~45kg이고, 임금펭귄은 90cm에 몸무게가 16kg까지 나간다. 역시 황제펭귄 이름답게 몸집이 훨씬 크다. 하지만 황제든 임금이든 처음 본 개체라 크기로는 구분하기 어려웠다. 두 펭귄을 결정적으로 구분하는건 목 주위의 무늬이다. 황제펭귄은 무늬가 열려있고 임금펭귄은 무늬가 연미복처럼 닫혀있다. 기지를 방문한 펭귄은 무늬가 열려있는 황제펭귄이었다!

황제펭귄과 임금펭귄은 목 주위 무늬로 구분할 수 있다. (출처 : 색연필로 그리는 귀여운 새, EJONG)

황제펭귄의 서식지는 남극대륙이다. 그래서 남극대륙의 로스만에 위치한 장보고기지 주변에서는 황제펭귄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세종기지가 위치한 킹조지섬에는 황제펭귄 서식지가 없기 때문에 비록 1마리이지만 황제펭귄을 발견한 것은 엄청난 행운이었다. 2019년에 길 잃은 황제펭귄이 6000km 넘게 헤엄쳐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기사를 보고 가능한 일인가 싶었는데.. 가능한 일이었다. 6000km 까지는 아니지만 세종기지에서 남극대륙은 100km는 넘게 떨어져 있다. 아주 먼 곳에서 방문한 손님이라 더욱 반가웠다. 마음같아선 먼 길 오느라 지쳤을 손님에게 맛있는 먹이를 대접하고 싶었지만 연구 윤리상 불가능해서 아쉬웠다.

먼 길을 헤엄쳐 왔음에도 황제펭귄은 근엄함을 잃지 않았다. (출처 : 노윤탁 의료대원)
황제펭귄 키는 사람 앉은키와 비슷하다. 

황제의 근엄함을 자세히 보고 싶어서 그에게 조심스럽게 다가갔다. 사람이 다가가면 곧장 달아나는 젠투펭귄과 달리 황제펭귄은 2~3m 앞까지 다가가도 달아나지 않았다. 역시 황제는 다르다. 약간 귀찮다는 듯이 다른 곳을 쳐다보았을 뿐이었다. 조금 더 다가가니 날개를 펼치고 휘젓길래 더 가까이 가진 않고 적당한 거리를 두고 관찰했다. 긴 부리는 꽤 위협적으로 보였고 육중한 몸매 덕에 발걸음에서 무게가 느껴졌다. 멀리 갈 때는 배를 깔고 썰매를 타며 미끄러지듯 나아갔는데 정말 귀여웠다. 나 혼자 보기 아까워 대원들을 불러 관찰하며 기념사진도 함께 찍었다.

황제는 팬서비스도 좋다. 젠투펭귄과 달리 도망가지 않고 얌전해 함께 사진 찍을 수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세종기지에 황제펭귄이 마지막 방문한 것은 27년 전이라고 한다. 그마저도 사진 하나 남아있지 않았다. 27년 만에 귀한 손님을 맞이한 것만으로도 월동 생활을 훌륭하게 보답받은 느낌이었다. 이왕 먼 길 온 김에 며칠 남아있었으면 좋았겠지만, 다음 날 아침 세종곶을 가보니 귀한 손님은 이미 떠나고 없었다. 동족들 찾아 헤매던 와중에 잠시 숨을 고른다고 하룻밤 보냈나 보다. 

대원들과 사진을 찍어서 지친 탓일까. 대원들이 돌아간 뒤 황제펭귄은 배를 깔고 잠을 청했다. (출처 : 노윤탁 의료대원)

이탈리아 남극연구소(IAA)의 생물학자 마르셀라 리베르텔리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30~40년 후 황제펭귄이 멸종될 수 있다고 한다. 매년 1만 4천~3만 3천 마리의 개체 수를 유지해온 황제펭귄이 2015년 극심한 엘니뇨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절반 가까이 개체 수가 급감하기도 했다. 이 때 죽은 새끼 펭귄만 1만 마리 이상이라고 한다. 기후변화가 더 나아지지 않는다면 우리가 세종기지에서 황제펭귄을 만난 마지막 차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귀한 손님과의 만남을 가슴에 새겼다.

황제펭귄과 악수 청하는 대기대원. 기후변화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세종기지에서 이 모습을 두 번 다시 볼 수 없을지도 모른다. (출처 : 노윤탁 의료대원)


작가의 이전글 얼죽남 - 얼어죽어도 남극세종기지를 찾는 야생조류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