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병섭 Jul 16. 2024

가장 아름다운 단어, 어머니

다시금 일어날 작은 불빛을 기다리고


이 시의 ‘시인’이자 ‘말 하는 이’인 윤동주는 일제 강점기 때의 사람이다. 이 사람은 일제에 대한 저항 시인으로 유명했고, 일본이 정복하고 있는 우리 땅의 대한 열망과 이런 통치 체제 등 암울한 현실에서 빠져나가고자 하는 의식이 강했을 것 같다. 




이 시를 쓸 때 윤동주는 4연에 나오는 별 하나에 추억, 사랑, 쓸쓸함, 동경, 시 등등 평소에 아름답다 생각했던 단어들을 하나하나 대입했고, 그 끝은 어머니에서 끝나게 되었다. 모든 이름들은 어머니가 주어주신 것들이다. 윤동주는 어머니가 지어주신 친구들의 이름, 사람들의 이름들을 가장 아름다운 단어로 생각한 게 아닐까 생각된다. 




이렇게 이름들을 아름다운 단어로 생각하게 된 것은 이 때의 시대적 배경이 일제가 창씨 개명을 요구하던 시절로, 실제 이 시를 쓴 것이 윤동주가 히라시마 토오주로 개명하기 한 달 전이라고 한다. 그래서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일본에 의해 사라지는 것을 목도하고 있으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을 한심하게 여기는 것 같고, 자신의 이름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종이에 이름을 쓰고는 부끄러운 마음에 흙으로 덮어버리는 모습도 보여진다. 이 내용을 읽고 이 윤동주라는 시인은 물론 자신은 아무것도 안 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나는 많은 것을 했다고 생각이 든다. 자신의 상황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했고, 이런 시를 통해 시인의 감정을 전달 받을 수 있다는 게 신기하다. 




<아직 나의 청춘이 다 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이 시의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시구는 ‘가슴 속에 하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 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이다. 




여기서 ‘별’은 화자가 꿈꾸는 이상적 세계 등을 상징하는데, 그 많은 별들을 다 못 센다는 것에서 화자에게 현실적 제약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다시 밤이 온다는 점에서 마음의 여유를 얻었고, 아직 청춘이 다 하지 않은 데에서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니까 마음 속에는 자신의 소원, 소망들이 하나 둘 자리하는데 그걸 쉽게 세지 못 하는 건 암울한 현실, 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는 것이고, 그럼에도 청춘이 다 하지 않았기에 다시금 일어날 작은 불빛을 기다리고 있던 게 아닐까 싶다. 




이 구절이 나에게 명대사인 이유는 살면서 누구나 회의감을 느끼고 현실적으로 극복하지 못할 것처럼 보이는 힘듦이 올 때가 있다. 그럴 때마다 나는 아직 그 슬픔에 빠지는 법만 알지 제대로 딛고 나오는 법을 모르는 것 같다. 마냥 ‘시간이 해결해 주겠지.’ 라는 생각만 하며 이겨낼 생각은 안 했던 것 같아서 지금은 비록 힘들더라도 20년 뒤라면 나도 많이 변화 했을 거고 힘든 상황이 오더라도 그 때마다 절망하지 말고 마음을 편히 하고, 정말 이 시의 구절처럼 아직 나의 청춘을 다 하지 않았으니까 오히려 그런 때일수록 잠도 잘 자고 잘 먹고, 때로는 푹 쉬기도 하고, 뭐든 잘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과 희망을 가지라는 것 같아서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인 것 같다.



<20년 후 나에게>


내가 이 시를 20년 후 나에게 보내는 이유는 이 시가 암울한 현실 속에서 희망과 의지를 다지는 듯한 모습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왜인지 그 때쯤이면 내게도 위로가 필요한 시기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 때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는 알 수 없지만 분명 힘든 일도 있을 것이다. 그 때 이 시를 읽고, 다시 일어날 수 있는 조그마한 힘이라도 되었으면 좋겠다. 




20년 후면 아직 38살 이니까 창창한 청춘이고, 내 이름 자 써보고 그냥 흙으로 덮어버리는, 의미없는 삶을 살 사람은 내가 아니기 때문에 난 분명 내가 이 시 없이도 잘 살고 있을거라 장담하지만 그래도 아직 별을 셀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는 걸 생각하고 꼭 자신이 원하는 행복을 누렸으면 좋겠다. 그 땐 별 거 많이 생각하는 거 없이 마음이 편안했으면 좋겠고 잠도 잘 잤으면 좋겠고 멀끔한 남자친구도 있었으면 좋겠다. 요즘 난 아무리 부모님께 사랑을 받고 자랐어도 그 사랑은 연인이 주는 사랑과는 조금 다르다고 생각이 든다. 그래서 많은 연애를 해 보고 나와 맞는 사람들을 잘 찾았으면 좋겠다. 




이 시가 20년 뒤 나에게 희망이 되었으면 한다. 그 때 읽을지, 사라질지 모르는 글이지만 단어 하나하나의 쓰임새가 너무 예뻐서 많은 시들 가운데 딱 눈에 들어온 시이다. 그래서 이 시를 읽고 조금의 위로를 보탠 희망이 되어서 너에게 갔으면 좋겠다.




<부정적인 현실에서 나오는 첫걸음>


고등학교 1학년 시절, 인생에서 가장 힘든 시기를 겪었었다. 




세상에서 떠도는 말들은 잘 믿지않았었다. 친구 없이 혼자 다니는 게 외롭다고들 하는데 내 곁에는 항상 친구가 있었으니까 난 혼자가 되도 괜찮을 것 같았다. 근데 믿었던 친구에게 배신당해 혼자 남게 되는 건 너무 힘든 일이었다. 모두에게 내가 적이 되어있었고 입에 놀아나기 쉬운 가십거리 중 하나일 뿐이었다. 세상에서 내가 가장 우울한 사람이었고, 어떻게 해도 이 우울한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만 같고, 벗어날 시도조차 못했었다. 




그런데 이 시에 나온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 내 이름 자 묻힌 언덕 위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라는 문장처럼 시련이 있어도 결국 내가 바뀌려고 노력하고, 언젠가는 행복해질 반드시 꽃이 피더라. 아직 내 인생에 정말 꽃이 피었다고는 할 수 없는 것 같다. 아직까지 힘든 일들이 많이 있고, 아직도 인생에 회의감이 들 때는 있다. 하지만 나는 그런 힘든 일들이 있었음에도 오히려 그들에게 감사하다. 




바꾸고 싶었던 성격도 바뀌게 되고, 생각하는 것이나 남들을 대하는 태도도 바뀌었다. 그 때 그 사람들이 나는 뭘 하든 안 될 거라 하고 내가 잘 사는 걸 못마땅히 여겼는데 난 지금 그 누구보다 보란 듯이 잘 살고 있고, 오히려 배운 점이 더 많았다. 섣부르게 행동하지 않고, 항상 나 자신을 사랑해주고 나 자신을 믿어주면서 내 행동들을 성찰하는 게 부정적인 현실에서 나오는 첫 걸음 이라고 생각한다.




<넘어지면 어때 살다보면 살아가다보면 웃고 떠들며 이날을 넌 추억할테니>


이 시를 읽고 생각나는 노래는 <노라조- 형> 이라는 노래이다. 이 노래는 형이 동생에게 말 하는 듯한 가사와 그 가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을 살린 것으로 유명하다. 이 노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가사가 있는데 그 부분이 “사람을 믿었고 사람을 잃어버린 자 어찌 너 뿐이랴 맘껏 울어라 억지로 버텨라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뜰테니 더 울어라 젊은 인생아 져도 괜찮아 넘어지면 어때 살다보면 살아가다보면 웃고 떠들며 이날을 넌 추억할테니” 부분이다.




누구나 사람을 믿고 잃어버리며 살아간다. 난 항상 나한테만 이런 일이 생겼다고 생각하고 매번 우울해하고 더 이상 사람들에게 정을 주지 않겠다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리곤 했었다. 하지만 그것 또한 나와는 인연이 아니었던거다. 그냥 흘러넘기는 게 나한테도 좋더라.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그 일은 지나가기 마련이고 다시 내일은 온다. 그게 내 인생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은 일이라면 금방 훌훌 털어내고 나는 내 인생을 다시 살면 되는 것이다. 울고 싶을 땐 울고 더 울고 눈물이 더 이상 나지 않을 때까지 울어서 슬픔을 빨리 털어내는 게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이렇게 힘든 일이 있어도 그 일은 누구에게나 있는 일이고, 살다보면 잊혀지고 나중에 생각하면 다 추억으로 남는 것 같다. 




전 주제에서도 언급했던 내용이지만 고등학교 1학년 시절 있던 일들이 그 때는 죽고싶을만큼 힘들었던 일이었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추억으로 남겨둘 수 있을 정도로 잊혀졌고 무뎌졌다.삶이란 그냥 시련의 연속인 듯 하다. 죽고싶었지만 견뎌보니 괜찮았고 그냥 잊혀지는 일이었다. 내 인생에 도움되지 않는 일들로 내 감정을 소비하지 말아야겠다. 




<그 때의 네가 그리워하는 것>


이 시를 읽고 이 시인은 어떠한 대상을 그리워하거나 우울한 상황에서 빠져나가려고 하는 상활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나도 20년 후의 내가 그리워할 만한 것을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는 20년 후 내 자신에게 ‘집밥’을 먹이고 싶다. 왜냐하면 사회에 나가서 살다보면 가족을 잊고 살기도 하고 그리워한다는 글들을 많이 보았다. 그래서 나도 38살에 부모님이 살아계실지는 모르겠지만 집밥을 먹게 하라고 말 해주고 싶다. 사회에 치여 살아가다가도 집이라는 편안한 곳에서 가장 편안한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힘듦도 잠시 내려두고 그리웠던 곳에 돌아와 쉬게 해주고 싶다. 




그 때의 네가 그리워하는 건 뭘지 궁금하지만 절대 가족의 소중함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고 언제나 항상 한 걸음 뒤에서는 가족들이 네 곁을 묵묵히 지켜주고 있다는 걸 생각해줬으면 좋겠다. 



이전 12화 너는 이제 돌아오지 않고, 다시 돌아오지 않을 순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