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31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일단 1억을 모아보자

평범한 직장인이 퇴사하여 경제적 자유를 향해 가는 여정

by 사당살이 Mar 07. 2025

저는 현재 고시원 두 곳을 운영중이며, 작년 4월 대기업을 퇴사하고 시간 부자의 삶을 즐기고 있어요.

올해는 강남 건물을 공동 사업자들과 함께 투자하여 매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요, 순자산 기준으로 15억 조금 안되게 달성중인거 같네요.


앞으로 브런치 북 "고시원장의 재테크"를 통해서 평범한 대기업 직장인이었던 제가 경제적 자유를 이루어 가는 과정을 공유 드리려 합니다.


그간 저의 성공적인 투자 의사결정으로는 1. 결혼할 때 서울 아파트 매수 2. 미국 주식 비중있게 투자 3. 고시원 두 군데를 창업하여 우량한 현금흐름 확보 4. 이후 유튜브로 트래픽을 모으고 지식창업으로 확대한 것 정도가 되겠는데요.


이 가장 근저에는 제가 취업하고서 몇년간 악착같이 1억 모으기를 성공했던 덕분이 아닌가 싶어요. 고시원장의 재테크 인스타툰 "사당살이"에서 다룬 적 있는 툰도 같이 보여드리고요. 쓰레드에서 유독 반응이 좋았던 콘텐츠들도 해당 브런치북 통해서 선보일까 해요.


많은 분들이 1억을 모으라는 말씀을 많이 하시죠. 김경필님도 강환국 작가님도요. 1억을 모으면 10억 갈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면서요. 저도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돈을 모아가면서 느끼는 절제력, 그리고 금융, 부동산 투자 공부, 달성한 뒤의 성취감 이런것들이 좋은 자본주의의 경험이 되는거 같아요.


개인적으로는 1억까지는 다른 다양한 재테크에 많은 비중을 싣기보다는 절약에 포커싱하는게 오히려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해요. 100만원 투자로 10만원 버는게 생각보다 쉽지 않아요. 오히려 절약하고 아껴서 10만원 케파를 더 저축에 확보하는게 효율적이란 생각입니다.


제가 1억을 만든 방식은 다음과 같아요. 간단히 1. 대기업 취업 2. 월급의 50% 가까이 모으기 (가끔은 70%까지도 모아보기) 3. 부모님 집에서 캥거루 족을 하며 가장 큰 사회초년생 지출인 월세 아끼기

저라서 가능했던 부분도 있겠지만, 주요 포인트들을 챙겨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주거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고정비가 사실이거든요. 그리고 1억 모으는 구간동안 재테크 공부를 열심히 해두면 또 좋은 기회들이 보이게 됩니다. 


다음편은 1억을 모은뒤 10억 가는 방법을 말씀드려볼게요.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출처: 인스타그램 "사당살이툰"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