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식이 Dec 29. 2017

영화, '사람' 과 '사건'을 연결하다.

영화 1987

6월 항쟁, 이한열, 박종철, 남영동, 전두환, 군부독재


파편처럼 흩어져 연결고리 없이 연상되던 각각의 단어들이 이어지고 모아지는 경험을 했다. 역사의식의 부재는 아닐지라도 역사 자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부재. 그 시대를 살고 있는 나 또한 그 지식의 부재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기에...촛불 집회에 참여한 것 만으로는 비상식적인 것에 분개하는 것 만으로는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란 역부족이란 생각을 자주 했다.


그러다 어제 장준환 감독의 '1987'을 보고 가슴이 뜨거워지고, 이한열 열사의 얼굴을 적시던 붉은 피가 내 몸에서도 쏟아지는 것 같은 경험을 했다.


영화의 모티브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남영동에서 모진 고문 끝에 서울대생 박종철이 죽게 되고, 그 죽음을 덮으려는 군부와 치안국, 그 사실을 알리려는 검사, 교정국 공무원, 기자, 신부, 대학생들의 이야기다.  6.10항쟁이 일어나기까지 수많은 사람이 겪었던 엄혹함과 처참함이 영화에 다양한 시선으로 펼쳐진다.  


진실을 알리고자 하는 사람들, 그 선한 의지와 함께하려는 많은 사람들. 영화는 뚜렷한 한명의 주인공을 내세우지 않는다. 반대편 군부독재 치하에서 막강 권력을 휘두르는 대표적인 인물로 김윤석이 맡은 치안감이 두드러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감독은 그 시절 군부 독재에 저항했던 누구와 누구를 드러내는 방법을 애초에 염두해 두지 않은 것 같다. 마지막 장면 김태리가 버스에 올라가 수많은 군중을 바라보는 각도에서 촬영된 화면이 이 영화가 말하고 싶었던 바는 아니었을까.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필연적으로 1987년 6.10 항쟁과 맞닿아 있다. 역사는 반복되고 사람은 사람으로 계속 된다. 지금 이 한복판에서 6.10 항쟁에 대해 마음껏 공감하고 아파하고 싶은 것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이 시대의 현상이고 앞으로도 반복될 그 무언가다.


어제 영화를 통해 발견한 것은 내면을 지탱하고 있는 새로운 힘일지도 모른다. 그 힘으로부터 비롯된 내일이라면 해 볼만한 것 아닐까.

작가의 이전글 온기가 식어가는 계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