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정혁 Feb 14.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제효과는 쪽박 평화효과는 대박?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둘러싼 경제효과 논란은 물을 절반쯤 채운 컵과 같다. 물이 ‘절반밖에 없다’는 부정과 물이 ‘절반이나 있다’는 긍정이 부딪친다. 중요한 것은 올림픽 유치와 운영, 그리고 시설물 사후관리에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간과하면 ‘지구촌 축제’라는 가면을 쓴 올림픽의 이면을 놓친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은 총 13개다. 7곳을 새로 지었고 6개를 개·보수했다. 총건설비만 1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총 조성비용 1183억원이 들어간 올림픽플라자(개·폐회식장)는 대회 이후 철거 비용만 따로 1000억원이 들어간다. 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2011년 7월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총 64조9000억원의 경제효과가 기대되었다. 우선 공항, 도로, 철도, 숙박시설, 선수촌, 경기장 등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설비 투자의 경제적 효과가 약 16조4000억원이었다. 여기에 내·외국인 관광객의 소비 지출 등을 더해 총 21조1000억원의 직접 경제효과가 발생한다고 보고서는 보았다.


당시 보고서가 추산한 ‘간접효과’는 무려 43조8000억원이었다. 대회 이후 세계적인 관광지로 떠올라 앞으로 10년간 관광 효과가 32조2000억원에 이른다는 게 골자다. 국가와 기업 이미지 상승에 따른 수출 증가와 상품 가격 상승으로 11조6000억원의 경제효과도 전망했다. 현재 언론과 이희범 조직위원장이 내놓는 경제효과 논리는 7년 전 발행된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다. 판단은 숫자를 보는 이들의 몫이다.


과거 사례를 비춰보면 선뜻 고개를 끄덕이긴 힘들다. 특히 간접효과는 ‘아마도 그럴 것’이란 장밋빛 전망을 숫자로 나타낸 ‘미끼’에 가깝다. 개발도상국도 아니고 3% 경제성장률도 가까스로 내다보는 국내 상황을 고려하면 1988년 서울올림픽의 개발 붐보다는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이후 유령 시설물이 먼저 떠오른다.


실제로 지난해 3월 확정된 4차 예산 조정에서 정부는 세입 2조5000억원과 세출 2조8000억원으로 3000억원 적자를 예상했다. 시설물 사후 관리까지 포함하면 적자는 더 불어난다. 이 돈은 어디서 충당할 것인가. 강원도는 중앙정부의 지원을 원한다. 대회를 위해 지출한 사회간접자본(SOC) 비용은 또 누가 충당해야 하는가.


역대 동계올림픽에서 적자를 면한 대회는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미국) 대회 말고는 없다고 알려졌다. 1976년 올림픽을 개최한 몬트리올 시(캐나다)는 15억 달러(약 1조7000억원)에 이르는 빚을 2006년에야 겨우 갚았다. 스톡홀름(스웨덴), 크라쿠프(폴란드), 오슬로(노르웨이)는 재정 부담을 이유로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를 포기했다. 최근 함부르크(독일)와 로마(이탈리아)가 같은 이유로 2024년 하계올림픽 유치전을 중단했다. IOC가 지난해 내놓은 ‘올림픽 어젠다 2020’에서 1국가 1도시의 단독 개최 원칙을 포기하고 개최국에 더 많은 종목 추천권을 주기로 한 것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포석이다.


올림픽의 이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를 들여다봐야 한다. IOC는 세계적인 ‘자유 귀족 집단’이다. IOC 위원들은 철저히 그들의 이익을 위해 움직인다. 심지어 북한의 장웅 IOC 위원마저도 “나는 북한을 대표하는 게 아니라 IOC를 대표한다”라고 말했다.


(이하 생략)

*나머지 글은 아래 링크인 <시사인>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1305


매거진의 이전글 김일성 가면을 보고 싶은 사람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