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인 Oct 24. 2021

경제 성장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까


 한스 로슬링은 왜 세상이 우리의 생각보다 괜찮은 곳인지, 극빈층의 비율과 평균수명, 교육 수준, 백신 접종율, 재해 사망자 수 등 온갖 통계를 제시하며 공들여 설명했다. 이 모든 통계들이 세상은 좋아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의 생각은 사실과는 많이 다른 것 같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세계는 점점 나빠진다"고 응답했다(«팩트풀니스», 76). 이런 괴리의 이유로 한스 로슬링은 우리의 인지적 본능인 '부정 본능'을 지목한다. 즉, 사람들이 세상을 오해하는 건, 세상을 나쁘게 보도록 오도하는 인지적 체계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로슬링의 설명이다. 하지만, 극빈층의 비율이 줄어들었다거나, 인류의 평균수명이 증가했다는 객관적 사실과는 달리, 세상이 좋아진다거나 나빠진다는 건 다분히 주관적인 가치 판단의 영역이다. 분명히 인류의 '객관적인' 생활수준은 눈부시게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과연 그 주관적 측면의 변화도 눈부실까? '신낙관주의자'들이 세상이 좋아지고 있다는 증거로 내미는 온갖 사회 지표들도, 결국에야 사람들의 주관적 평가의 차원에서 그 의미를 부여받는다. 제아무리 수명이 늘어나고 부유해졌어도 그 '사실'에 우리가 의미부여하지 않고 오히려 삶이 더 불행해졌다면, 그 삶은 더 불행한 삶일 뿐이다. 그럼, 빈곤이니 수명이니 건강이니 하는 지표들을 측정하느라 씨름하지 않고, 삶이 더 괜찮아졌는지 사람들에게 그냥 '직접' 물어보면 안 될까? 즉, 사람들은 더 행복해지고 있을까?


(중략)


그림3. 긍정적 감정(좌)과 부정적 감정(우)의 추세


(하략)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7479366&memberNo=29538049&navigationType=push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