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r Gang Feb 04. 2020

교수도 평가를 받는 답니다.

사실 이 부분은 학교마다의 문화적/절차적 차이가 있어서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따라서 한국의 학교와 미국의 학교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차이를 논하기는 문제가 있으나, 겪은 바에 따라 이야기를 해보겠다. 


한국에 있을 때는 초기 3년인가 (벌써 가물가물하다)는 평가가 면제가 되어 결국 나는 마지막 1년에 대한 평가를 받고 두 번째 평가를 받기 위한 실적 요청을 할 때 즈음 미국으로 오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실질적인 한 번의 평가결과를 받은 적이 있는데, 사실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순위를 매기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별로 좋지 않은 결과를 받은 건 사실이다. 아마도, 평가 대상자가 실적을 내면 그걸 본부 인사에서 평가를 해서 등급을 매겨 결과를 알려주는 방식이고, 특별히 어떤 면이 어떻게 해서 이 결과를 받아 들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걸로 기억을 한다. 아무래도 공대 중심의 학교이다 보니 공대 교수님들과 사회과학을 하는 우리는 비교대상이 좀 아니긴 한데, 느낌상 대략 출판된 논문과 (학회 참석 등은 아예 안 들어가는 듯), 연구과제 수주금액이 평가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강의 평가는 어떠한 식으로 반영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래도 연구중심의 대학이기 때문에 그럴 수도). 박사과정 전에 기계연구원에 다닐 때도 해당 연도 동안 한 일들을 정리해서 인사과로 제출을 하면 해당 고과(ABCD)로 구분하여 결과를 받았던 것 같다. 마찬가지로 이곳에서도 왜 그 평가를 받았는지에 대한 설명은 기억나지 않는다. 한국의 두 기관에서는 이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인센티브의 차등지급 목적이 대부분이지 실제 어떠한 것을 잘 수행했고, 어떠한 것이 부족한 지에 대해 알 수는 없고 평가를 받아 들면 그걸로 끝이었던 것 같다. 


이렇게 한국에서 평가를 설명하는 것은 미국에 와서 상당히 다른 느낌을 받았기 때문인데, SU는 매년 겨울에 학과장(Chair) 평가를 받고, 매년 가을에 학장(Dean) 평가를 받는다. 즉 피평가자 입장에서는 6개월 사이클로 평가를 받는데 생각보다 자주 받는 느낌이 든다. 학과장 평가는 지난 일 년 동안 어땠는지를 전반적으로 평가하고, 학장 평가는 Progress toward tenure evaluation이라고 해서 tenure-track에 있는 교수들이 tenure를 받기 위해 잘하고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평가한다. (Tenure이후에는 학장 평가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학과장 평가만 있는 듯하다). 


Faculty는 공통적으로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의 3가지 큰 틀에서 평가를 받게 되는데, 어제 진행항 평가는 내가 제출한 그동안의 정량적/정성적 성과표를 바탕으로 chair가 평가를 하여 함께 리뷰를 하는 절차인 것이다. 많은 부분에서 정량적인 결과를 제외하고 정성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내가 각 분야별로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고, 어떠한 곳에 시간을 많이 썼는지를 Narrative로 써서 강조를 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한국에서는 결과만 제출한 경향이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그 과정에 대한 아주 상세한 기술을 통한 어필이 가능하다). 한국에서 나름 평가는 큰 일인데, 처음 Chair평가를 받을 때 어느 날 불쑥 들어와 "너 오늘 나랑 평가하자"라길래 순간적으로 잔뜩 쫄았으나, 한국에서 많이 일어난 것처럼 뭔가를 '까'려고 하는 것보다는 지금까지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특히 'junior' faculty로써 문제점은 없는지 어떤 면에서 함께 발전시킬만한 부분이 있는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Chair는 내가 제출한 정량적/정성적 성과표를 바탕으로 미리 평가표를 작성한다. 각 분야별로 매우 잘함부터 매우 못함 까지 5 단계 스케일로 된 평가를 하고 그 뒤에 정성적인 코멘트를 달아 평가표를 만들고 그 평가표를 나에게 직접 보여주고, 그것을 바탕으로 약 30여분 난상토론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teaching의 경우, 학생들의 강의평가는 물론, 강의 준비를 위해서 내가 어떤 준비를 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기술하는데, 주목할만한 부분은 '수업을 얼마나 개선하였는지?'도 하나의 주요한 평가 항목이었다. 학교의 특성 때문일 수도 있으나 이 점을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Research의 경우에는 당연히 출판된 논문이 주가 되고, 이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부분은 한국의 경우 publish 된 것만 인정해 주는 경향이 있다면, 이곳에서는 논문뿐만 아니라 학회 발표/활동, work-in-progress에 대한 것도 실적으로 인정해 준다. 한국에 비해서 더 다양한 면을 살펴보는 것 같다. 마지막 Service의 경우는 학교에서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를 작성하고, 심지어 졸업식/입학식 등의 참석도 작성하고 고려한다.


 Chair는 이 평가결과를 보여주고 나에게 이의가 없는지 물어본 다음 자신의 코멘트를 읽어보라고 하고, 더 추가할 것이 없는지 물어보았다. 나에게는 마치 '네가 혹시 빼먹고 안 쓴 게 있다면 지금이라도 이야기해주렴' 하는 느낌이었다. 그것보다 더 인상적인 것은 그리고 난 다음에 혹시 미흡한 분야가 있다면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Department에서 어떠한 도움을 줄지를 물어는 점이었다. 만일 Teaching의 평가가 부족하다면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학교에 어떠한 교육 관련 프로그램이 있는지, 학과에서는 어떠한 도움을 줄지 물어보고, Research도 마찬가지이다. 아무래도 Teaching과  Research가 큰 두 가지 요소라 혹시 두 가지가 다 부족하다면 Service의 부담을 덜어주고 Teaching과 Research에 중점을 둘 수 있게 Chair 가 할 수 있는 선에서 도움을 주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Dean과 하는 Progress toward tenure 평가도 마찬가지였다. 이 평가를 위해서는 먼저 내가 지난 일 년 동안 한 일을 마찬가지로 정리해서 각 Department마다 있는 Promotion and Tenure Committee에서 먼저 심사를 한다. 이 평가 위원회는 정년보장을 받은 (Tenured) 교수님들이 참여하여 Tenure-track (아직 테뉴어 심사를 받지 못한 교수들)에 있는 교수를 평가한다. 이들의 평가 결과를 서면으로 Chair에게 제출을 한다. 이 평가 결과도 마찬가지로 공유가 되는데 위에서 언급한 3가지 분야에 대해서 보다 심도 깊은 평가와 발전시켜야 할 것들에 대한 피드백을 준다. Chair는 이를 보고 다시 자신의 의견을 달아 Dean에게 제출하는데 이 평가에서도 마찬가지고 이 결과를 가지고 Dean, Chair, 그리고 나 이렇게 세 명이서 앉아서 토론을 또 한다. 그럼 Dean은 성공적인 Tenure를 받기 위해서 Dean이 도와줄 수 있는 일을 물어본다. 그러면 또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대략 내가 어디 즈음 있는지 알게 된다. Chair 평가결과는 5단계 스케일에 표시가 된 반면, Dean과 하는 평가는 주로 정성적인 결과를 가지고 진행한다. 


이러한 평가 사이클을 두 번째 돌다 보니, 한국에 비해서 상당히 체계적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사실 이렇게 자주 평가를 하고 리뷰 시간을 갖는 것은 tenure-track faculty로써 (개인적으로는 싫어하지만 어쨌든) tenure를 잘 받을 수 있도록 중간점검을 하는 절차인 것이고, 예를 들어서 research가 tenure를 받기에 부족할 것 같으면 매년 그 정도를 평가하고 일의 경중을 조절해 주어 tenure를 받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라고 했다. 즉 나중에 6년 차 때 tenure를 평가를 하게 되는데 "Surprise!! (i.e., 너 잘렸어!)"를 없게 하기 위함이고 미리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절차인 것이다. 실제로 tenure system을 도입 중인 많은 학교에서 연차 평가를 통해서 direction을 잡아주는 걸로 알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인사권을 각 school별로 가지고 있고 본부에서는 각 school별로 진행하는 평가절차를 믿고 이를 승인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실 이게 맞는 것 같은 게 각 학문별로 특성이 너무 다른데 비 전공자가 전공자의 평가를 한다는 것이 사실 말이 안 된다. 


한국의 경우 물론 역사가 길고 체계가 적립된 학교의 경우는 아마도 저런 시스템을 따를 것 같지만, 사실 연차평가가 위에서 일괄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고 그 결정에 대해서 함께 앉아서 논의를 한다거나 그를 바탕으로 주어진 일에 대해서 함께 조정을 한다는지 등의 절차를 기대하기 어렵다. 수업/연구 말고도 해야 할 service일들이 많기 때문에 사실 본연의 임무(수업/연구)가 소홀히 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것이 안타까운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tenure 등의 주요한 인사권도 각 school보다는 본부에서 좌지우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실 그러한 조정 (있다 하더라도)이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다. 물론 centralization vs decentralization의 장단점은 있지만 대학교가 다양한 학문을 다루고 각 학문별로 주어진 상황이 다른데 본부에서 일괄적인 잣대를 가지고 평가하거나 인사를 하는 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좀 더 나아가 보자면 미국의 경우 같은 교수라 하더라도 admin과 일반 교수의 선이 명확한 편이다. 그래서 행정을 담당하는 본부와 faculty senate 사이에서 서로의 견제가 작동하는 편인데, 한국에서는 그렇지 않은 편이기도 하다. 


지금의 돌아가는 상황을 보자면, 한국의 대학들은 그 경쟁력을 많이 잃고 있는 것 같다. 사실 이는 외부에서의 평가보다는 학생들과 교수들 (내부자)에게 물어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를 강조하는 많은 학교들 앞으로 중국/미국의 학교들과의 경쟁력이 있을지 돌이켜 봐야 할 것 같고 (연구비의 투자나 효율성 차원에서), 연구에 약점이 있는 학교들의 경우 과연 교육의 질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지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어느 교수의 칼럼에서 교수의 삶을 살면서 사실 '교육학'에 대해서 고민하거나 배워본 적도 없이 학생들을 교육했다는 메시지는 고민할 만한 부분이 많다. 위에서 '수업의 개선을 위해서 얼마큼 노력을 했는가?'가 눈에 띄는 평가항목으로 보였던 부분도 이 같은 생각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 하는 한국에서 교육의 혁신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하지만, 대학에서 이러한 평가 제도(정량+정성), tenure 시스템에 대한 고민, decentralized 된 조직의 자율성/책임성 강화 등을 고민해봐야 하지 않을까 결국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많이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연구야 알아서들 잘하시니까. 아울러 학교에서 교수에 대한 평가이든, 기업에서 근로자들에 대한 평가이든, 연구과제에 대한 평가이든 (이 3가지를 모두 경험해본 사람으로) 평가 자체도 중요하지만 이 결과에 대해서 리뷰하고 토론하는 절차를 사실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한국에서의 평가는 성과급을 나누어 주기 위한 등급표시제의 의미인 것이지 (마치 소고기의 질을 평가하는 것처럼), 그 평가를 함께 고민하고 발전시키는 절차가 없다는 게 본질적인 차이인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암암리에 밀어주기나 평가자체가 객관성을 가질 수가 없고, 평가를 이용하여 권력으로 사용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너는 B이니까 조용 이해! 이만큼만 성과급 받아!). 우리는 평가를 왜 하는지 고민을 해봐야 하는 시간이 아닐까.



출처: https://07701.tistory.com/152 [강박의 2 cent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