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NA Oct 17. 2020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정준호, 《기생충, 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

현재 우리나라의 의과대학에서 교수 충원에 애를 먹을 만큼 기생충학(parasitology) 전공자가 매우 드물다(그래서인지 많은 의과대학은 기생충학교실이라는 이름 대신 환경의학교실 등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기생충학 전공자가 줄어든 것은 물론 기생충에 감염된 사람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그 중요성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감염자가 적으니 연구꺼리도 적고수요도 줄어든 것이다거기에 구충제가 잘 듣는다치료에도 별 문제가 없어 더욱 기생충학을 연구해야 할 동기가 사라졌다고 여긴다.

 

하지만 좀 더 시야를 넓혀 보면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인구의 20%가량이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거란 통계도 나오고 있고이른바 NTD(Neglected tropical disease, 소외열대질환)이라고 하는 여러 질병들이 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우리나라도 단기간에 구충 사업에 성공했다고 평가받는 나라이지만 여전히 기생충은 우리 곁에 있다실제로 (기후변화가 주원인 중 하나이지만) 1990년대 이후 한반도에서 말라리아 발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프리카에서(책상머리나 교탁 앞에서가 아니라 현장에서기생충을 연구하고 있는 정준호의 기생충에 관한 이야기 기생충우리들의 오래된 동반자를 읽다 보면 기생충이 얼마나 우리 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는지를 알 수 있다그 밀접한 관계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거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라는 것도 알 수 있다특히 여러 기생충이 숙주를 조종하는 예들을 보면 그것들이 얼마나 영악한지도 알 수 있다물론 그것들이 어떤 의식을 지닌 것은 아니겠지만그래서 더더욱 생명의 진화에 관한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다숙주 내에서 살아남기 위해자손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숙주의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이야말로 진화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예가 아닌가 싶다.

 

그러한 기생충의 놀라운 진화는 말할 것도 없이 숙주와의 경쟁즉 붉은 여왕과의 뜀박질의 과정이자 결과이다새의 부리 형태가 기생충에 영향을 받는다든가수컷 날개의 화려함이 기생충으로부터의 건강함을 나타낸다든가 하는 것은 고전적인 예에 해당하지만그 밖에도 다양한 현상을 통하여 기생충이 숙주에 적응하고숙주가 기생충에 대항하고다시 기생충에 그에 대한 전략을 수정하는 과정들은 엿볼 수 있다.

 

기생충학은 비록 현재 과학의 주류 분야라고는 할 수 없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의학의 역사에서 뛰어난 연구자들이 있었기에 현재와 같은 상황이 되었다가도 할 수 있다학문의 흐름은 부침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다시 기생충학에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 올 지도 모르는 일이며실제로 현재 절실하게 필요한 지역도 있다그리고 기생충학은 기생충을 이용한 치료 방법 개발 등 미래의 학문으로 탈바꿈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기생충을 정의한 범위 등이 왔다 갔다 하면서 조금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도 없지 않아 아쉬움이 없지 않지만(기생충의 범위를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기생충 외에도 세균바이러스곰팡이까지논의의 필요에 따라 넓히고 있다), 기생충에 대한 얘기를 많이 들을 수 없기에 소중한 책이다.




작가의 이전글 생명에 관한 질문의 의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