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경민 Kyungmin Kang Aug 11. 202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살펴본 에너지 패권 현황

천연가스 & 오일

    지난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한 전쟁이 아직도 진행되고 있다. 침공전 러시아는 돈바스 지역에 있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독립국 승인과 함께 군대를 주둔시켰고 이를 벨라루스 국경과 함께 침공 채널로 활용했다. 전쟁 초기 빠른 점령으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접근했지만 우크라이나 군의 저항과 서방국가의 군사 지원, 러시아의 후방 보급 실패로 승세를 잡진 못했다.


    사실 러시아에게 돈바스 지역은 계륵 같은 존재라는 시각이 있다. 함대 기항지가 있는 크림반도 경우 러시아가 지정학적/경제적으로 사활을 걸 가치가 있는 곳이지만, 돈바스 지역은 쇠락한 중공업 지역인 데다 우크라이나계 주민과 러시아계 주민 간 갈등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러시아로서는 이 지역을 합병하기보다는 자치를 보장하는 민스크협정 등을 통해 국제적인 협상 대상지로 만들어 외교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 유리했다. 하지만 2010년 우크라이나 4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취임 이후 경제난 압박에 밀려 유럽연합 가입에 합의했다가 이를 번복하면서 권좌에 추출됐고, 이를 빌미로 친유럽 세력의 동진에 위협을 느낀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2014년 3월에 크림반도를 합병했으며, 동시에 돈바스 지역 내 친 러시아 세력이 독립을 선언하며 내전이 발발하기도 했다. 내전 이후 4개국(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독일)이 합의한 민스크협정은 현재 사문화된 상태이며, "우크라이나의 비무장, 돈바스 지역 내 러시아인 보호,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유럽 연합 가입 저지 및 중립 유지"라는 표면적 이유를 배경으로 이번 침공을 시작했다. 돈바스 지역 내 친러시아 세력은 각 1/3 정도지만 이번 전쟁으로 돈바스 지역 전체가 러시아 손에 들어갈 수도 있다. 


자료: 한겨레


    표면적 이유 뒤에는 우크라이나의 남부 항구도시를 장악하여 부동항을 확보하고 흑해 주도권을 회복하려는 목표가 숨어있다. 지난 5/12, 러시아가 돈바스 지역의 80%를 장악한 시점에서 종전선언 뉘앙스는 일절 없었으며 키이우 장악에 실패한 러시아가 마리우폴에서 승리하고 동쪽 오데사까지 목표로 진격했다는 점, 몰도바 친러지역(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55세 이하 남성 모집령이 발발되었다는 보도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또한 마리우폴은 아조우해를, 헤르손은 흑해를 각각 끼고 있고 헤르손 옆에는 우크라이나 최대 물동항인 오데사가 있는데 오데사까지 장악하면 항로를 통한 서방 전쟁물자 공급을 차단할 수 있어 전세가 러시아에게 유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러 고위 관계자는 공개석상에서 '남부 크림반도와 동부 돈바스를 잇는 육로를 구축하겠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가 추가한 중요한 목표는 크라이나 동남부를 장악한 뒤, 남서부로 진격해 몰도바 친러 분리주의 지역인 트란스니스트리아까지 잇는 육로도 건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헤르손주에 접경 미콜라이우주, 그리고 몰도바 접경지인 오데사주까지 추가 진격이 불가피하다. 현재 오데사 항구는 4자(우크라이나, 러시아, 유엔, 튀르키예) 협상을 통해 흑해를 통한 곡물 수출에 합의(7/24)했지만 하루도 안돼 러시아는 오데사를 공격했다. 다시금 8/1에 시에라리온 국적 선박이 우크라이나 옥수수를 싣고 레바논으로 향하면서 정식으로 곡물 수출이 재개되었지만 위험이 상존하는 상황이다. 향후 러시아가 오데사를 장악하는 대신 동남부 이외 지역을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한 협상카드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자료: ISW

 

   이번 전쟁을 통한 부동항 확보는 러시아가 지난 300년 이상 추진해왔던 남진정책의 주요 목표가 흑해의 부동항을 장악에 있다는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러시아가 영국과 19세기 세계 패권을 놓고 다투던 일명 '그레이트 게임(Great Game)'도 모두 부동항을 얻기 위한 러시아의 남진정책에서 비롯되었으며, 1853년 크림전쟁부터 1904년 러일전쟁까지 러시아는 부동항 확보를 위해 전쟁을 이어갔고 영국은 늘 러시아의 진격을 가로막았다. 2014년 크림반도 침공 당시에도 러시아가 내세운 주요 명분은 우크라이나가 세바스토폴 군항을 빌려 쓰고 있던 러시아 흑해함대의 철군을 요구하면서 자국 해군의 활동이 제약돼 안보가 위험해졌기 때문이다. 크림반도를 제외하고 러시아가 쓸 수 있는 부동항은 폴란드 북부에 위치한 영외 영토인 칼리닌그리드뿐이지만, 이곳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가들로 둘러싸여 쉽사리 군사행동을 할 수 없는 지역이다. 러시아군이 이번 전쟁에서 가장 먼저 점령한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은 크림반도에 전기와 식수를 공급하는 도시로써 만일 러시아가 이번 전쟁으로 돈바스와 크림반도가 모두 러시아 영토로 귀속되면 흑해함대의 안보가 확보되는 승전보를 울릴 수 있다.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 국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졌지만, 러시아가 자국 영토와 크림반도를 연결하는, 이번 전쟁 주요 목표 중 하나를 달성한 건 분명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미국, 유럽연합 등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SWIFT 퇴출, 자산동결 등의 경제재재, 우크라이나 군사지원,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감축 등 빠르게 결집하고 대응했지만 전쟁이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각 국가의 정치/경제적 요인으로 단결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러시아 또한 이에 천연가스 루블화 결제, 칼리닌그라드서 핵미사일 모의 훈련, 노드스트림1 천연가스 공급량 20% 수준으로 감축 등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추후 협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 푸틴은 돈바스 이상의 목표를 갖고 우크라이나 장기전에 대비 중이며 식량 부족, 인플레이션, 에너지 가격 등이 악화될수록 미국과 EU의 결의가 약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관계에서 명확하게 편을 가르거나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퇴출로 인해 현상황에서 국제 관계 질서를 대략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었다. 우선 이번 표결은 러시아가 부차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했다는 의혹을 받았고 그 결과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퇴출되었다. 193개 회원국 중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되었으며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유엔 산하 기구에서 쫓겨난 건 이번 러시아가 처음이다. 러시아는 표결 전 반대나 기권표를 내라고 회원국들을 압박했지만 퇴출을 막진 못했다.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 정지 결의안 결과(2022-04-07)


    위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67개국의 천연가스 생산량, 소비량, 비축량을 조사했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진행 중인 에너지 패권 현황을 파악했다. 천연가스 데이터는 Wolrd Population Review를 통해 확인했다. 


자료: World Population Review


친러시아(Pro-Russia) 11개국: 

러시아, 이란, 중국, 알제리, 우즈베키스탄, 아르헨티나,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베트남, 시리아, 벨라루스


반러시아(Con-Russia) 35개국:

미국,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영국, 네덜란드, 우크라이나, 미얀마, 리비야, 콜롬비아, 페루, 루마니아, 독일, 폴란드, 이탈리아, 덴마크, 튀르키예(터키), 파푸아뉴기니, 필란드, 뉴질랜드, 일본, 한국,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벨기에,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 스위스, 그리스, 스웨덴, 필란드, 칠레, 에콰도르


중립국(Neutral; 기권표) 16개국: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이집트, UAE, 나이지리아, 오만, 태국, 파키스탄, 멕시코, 방글라데시, 브라질, 인도, 이라크, 예멘, 남아프라카 공화국


기타(etc; 표결불참) 5개국: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베네수엘라, 대만, 모로코



    우선 반러시아 국가 수는 친러시아 국가 수보다 3배 이상 많고 중립국과 기타 국가까지 더한 수보다도 많다. 그에 비례해 소비량 역시 47.1%로 글로벌 천연가스 소비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지만 생산량은 42.3%로 초과 소비를 하는 구조로 이 취약점은 이번 전쟁에서 다시 한번 확인됐다. 현재 러시아는 노드스트림1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량을 전년 대비 20%로 감축했으며 추가 감축 및 중단 상황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는 에너지 무력화 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의존도가 높은 유럽 국가들은 에너지 절약, 배급제, LNG를 통한 보급로 확대, 천연가스 및 원자력 에너지를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 등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겨울철 에너지 대란 우려 속에 해결책 마련이 쉽지 않은 모습이다. 


    반면 친러시아 국가는 글로벌 생산량의 37.1%를 담당하지만 소비량은 31.9%로 여유가 있으며, 비축량은 53.4%로 다른 국가들을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구조적으로 천연가스 패권은 친러시아 국가들에게 있으며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단기적 해법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5/26 투자자 조지 소로스에 의하면 러시아의 천연가스 비축량이 7월이면 목표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목표치에 도달하면 러시아는 시베리아로부터 끌어오는 12,000개 유정을 잠가야 하고, 잠그는 것도 시간이 걸리지만 시설이 노후화되었기에 다시 오픈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이를 유럽이 레버지리로 활용할 수 있는데 비축량이 꽉 차면 러시아는 천연가스를 아시아 국가로 돌리는 것이 아니라 유럽으로 돌릴 수밖에 없고 가격도 저렴하게 넘길 수밖에 없다는 시나리오다. 유럽은 러시아 천연가스의 대체재인 LNG를 확보하며 계속해서 레버리지 극대화를 위해 노력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러시아는 저렴한 가격에 천연가스를 유럽 국가로 넘길 생각이 없으며 그 물량을 중국과 인도가 받아주고 있고 이를 통해 전쟁비용을 마련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한테 중요한 건 천연가스 가격/비축량이 아니라 전쟁에 대한 명분과 부동항 확보를 위한 푸틴의 야망(자존심), 이를 방해하는 유럽 국가들을 압박하는 것에 더 우위가 있다. 천연가스는 러시아가 쓸 수 있는 카드들 중 하나에 불과하다. 


    특히 인도는 이번 전쟁에서 서방국가들과 친러시아 국가 사이에서 레버리지를 최대로 활용하며 자국 이익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재무부가 2/4분기에 779억 리얄(한화 약 27조) 흑자를 기록했고 이중 석유 판매 수익이 예산 수입의 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하면서 이번 전쟁의 최대 수혜국 사우디아라비아로 언급하지만 그 뒤에는 인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도는 미국 주도로 구성된 쿼드(미국, 인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4개국의 비공식 안보회의체) 국가로 오커스(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안보 동맹)와 함께 미국의 태평량 안보 전략에 주요 구성원임과 동시에 러시아와 역사적/지정학적 유대 관계를 70년 가까이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과 국력 비대칭성에 대비해 러시아 무기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2021년 12월 뉴델리에서 푸틴과 정상회담을 하고 2030년까지 유효한 10년간의 군사기술 협력 협정을 체결하기도 했다. 


    중립국에는 중동국가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역시 반러시아 국가들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모습이며 이들의 천연가스 데이터를 고려하면 확실히 푸틴이 에너지 패권에서는 우위를 점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7월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를 방문해 인플레이션 저지를 위해 8월에 예정된 OPEC+ 회의에서 생산량 증대를 요청했지만 하루 증산량이 65만 배럴에서 10만 배럴로 7, 8월 증산량의 15%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바이든 대통령에 앞서 영국 존슨 총리도 3월 사우디에 방문해 무함마디 빈살만 왕세자를 만나 원유 증산을 촉구했고,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도 무함마드 왕세자를 엘리제궁으로 초청해 우크라이나 사태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데 협력하기로 했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16개 중립국의 천연가스 비축량은 18%로 35개 반러시아 국가들의 14.5%보다 많으며 이들 국가 역시 생산량이 소비량을 뛰어넘는 자급자족이 가능한 구조이다. 반러시아가 국가들로서는 중립국이 친러시아 국가들과 협력하지 않게 외교적 노력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같은 방식으로 오일 생산량 데이터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유엔 인권이사회 표결에 참여한 193개국을 기준으로 World Population Review의 데이터를 참조했다.  



    데이터 결과를 확인한 후 에너지 패권 경쟁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라고 느낄 만큼 반러시아 국가들의 에너지 자급능력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우선 오일인 만큼 해당 산업이 산유국 위주의 중립국 58개국에 무게중심이 맞춰져 있으며 이들의 오일 생산량은 글로벌 생산량의 41.4% 담당하는 반면 소비량은 24%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소비량 대비 생산량 비율은 0.72로 반러시아 93개국 국가들의 2.27보다 3배 정도 낮다. 그만큼 생산량 대비 소비량이 낮다는 뜻이다. 소비량 대비 비축량 데이터는 이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다. 중립국은 0.3으로 반러시아 국가의 1.7보다 5배 이상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러시아들의 구조만 놓고 보면 글로벌 소비량의 절반 이상(54.2%)을 차지하지만 생산량은 29.6%로 자국 소비량의 약 절반만 커버하고 있으며 그 또한 미국,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오일 생산 상위 20개국


    최근 에너지, 식량 안보 문제가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도 이런 국제 정세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력에서 우위를 점한 반러시아 국가들이 전기차 개발, 반도체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과 추격하는 중국에 견제구를 날리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현재까지 푸틴의 에너지 카드는 서방 국가들을 상당히 효율적으로 압박하고 있으며 내부 단결을 약화시키는 효과도 보고 있다. 지난 4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로부터 대금을 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동유럽 3개국(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으로 향하는 드루즈바 송유관을 중단했는데 공급을 끊은 주체는 우크라이나 원유 전송업체인 우크르트란스나프타로 우크라이나 영토의 송유관을 관리하는 역할로써 매달 받는 1,500만 달러의 통행료 선불을 러시아로부터 받지 못해 운영을 중단한 것이다. 결국 헝가리와 슬로바키아 측 구매 업체인 MOL과 슬로브나이프가 대납하면서 10일 공급이 재개됐다. 국제관계도 인간관계처럼 없는 쪽이 아쉬운 건 비슷한 것 같다. 에너지가 없으니 이를 기술로 극복하려 하고 국방력을 길러 상대방에게 긴장감을 줘야 한다. 서방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비롯하여 기술 격차를 위해 반도체 분야에 집중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카드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봐야겠다. 




참고자료


- Energy Data(Natural Gas & Oil by Country 2022), Wolrd Population Review (링크). 


- 정의길, "돈바스는 어떤 곳?…우크라이나엔 에너지 공급지, 러시아엔 계륵" 한겨레, 2022-02-23 (링크).


- 이용인, "인도는 왜 새 친구 미국 버리고 옛 친구 러시아한테 갔나" 한겨레, 2022-04-07 (링크).


- 김리안, "'동유럽 3국' 석유공급 일시 중단…러시아·EU, 커지는 에너지 갈등" 한국경제신문, 2022-08-11 (링크).


- 강민경, "'러, 가스 넘친다지만 저장고에 한계' 유럽도 버티면 협상력 있다" 뉴스1, 2022-05-27 (링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