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정한 무관심 Oct 20. 2023

100일간의 생존기

인류는 어떻게 멸종하지 않은 것인가

 아이가 태어나 100일이 될 때까지 내 머릿속엔 늘 같은 의문이 맴돌았다.      

어떻게 인류는 지금까지 멸종하지 않았던 거지?     


 두세 시간마다 한 번씩 분유를 먹이고, 안아서 트림을 시키고, 이제 잠깐 눕히려고 하면 어김없이 으앵 울어버리고, 무슨 생각을 하는 건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 의사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이 생명체를 인류는 무슨 수로 키워내고 어떻게 또 한 명을 더 낳고 또 한 명을 더 낳고 했던 걸까?    

 

 마침 우리 집은 고양이 세 마리를 키우고 있었다. 고양이는 백일이면 혼자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자신이 싼 똥오줌을 모래로 덮는다. 이백일부터는 번식까지 할 수 있는 온전한 성체가 된다. 그런데 어째서 휴먼은...?   

  

 이족보행이 가능하고 기본적인 사리분별이 가능해 혼자 둘 수 있을 때까지 어림잡아 10년, 최소한의 의무교육이 끝나기까지 20년, 부모로부터 완전한 경제적 독립을 할 수 있기까지는 30년이 걸린다. 현대사회의 부모들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자녀를 양육하고 있다지만, 몇만 년 전의 수렵채집인들에게도 10여 년의 양육기간은 필요했을 것이다. 사자와 호랑이와 매머드와 경쟁했던 이들은 어떻게 10년 동안 아이를 돌볼 수 있었던 걸까. 고양이는 100일 만에 자립하는데 말이다. 그렇게 무엇이 문제인지 고민하다 핵가족과 일부일처제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에까지 이르게 된다.     


 하루종일 쉬지도 못하고 말도 못 하는 아이를 혼자 돌보았던 아내, 종일 격무에 시달리고 상사 눈치를 보다 지옥 같은 퇴근길을 거쳐 집으로 돌아온 남편. 어느덧 밤 9시. 지금부터의 육아는 누구 몫인가. 새벽에 깨어난 아이에게 분유를 먹일 불침번은 누구인가. 낭만적 연애와 결혼, 일부일처제라는 시스템이 가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긴 한 건가. 최소한 3명의 어른이 가정을 이루어야 하지 않을까. 한 명은 전일제 근무, 한 명은 파트타임 근무, 한 명은 전업주부로. 지금도 많은 부부가 어머니의 도움을 받으며 사실상 세 명의 어른이 가정을 유지하고 있다. 음. 그런데 우리 엄마는 자식 셋을 어떻게 키웠던 거지?     


 의문은 연쇄적으로 이어지고, 그렇다면 수만 년 전의 인류는 어땠을까 떠올려본다. 유발 히라리는 <사피엔스>에서 집단생활을 하던 어떤 수렵 채집인들에겐 일부일처제 개념이 없었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그런 상황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누구의 아이라는 개념이 아니라 집단의 아이로 받아들여졌으며 공동육아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들은 고대의 수렵 채집인 무리는 일부일처제 부부를 중심으로 한 가족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공동체는 사유재산이나 일부일처 관계, 심지어 아버지라는 개념도 없이 살았다는 것이다. 무리의 여성은 동시에 여러 명의 남자(그리고 여자)와 성관계를 하고 밀집한 유대를 맺을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무리의 성인들은 모두 힘을 합쳐 아이들을 키웠을 것이다. 누가 자신의 친자식인지 확실히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남자들은 모든 아이에게 공평하게 관심을 나타냈다.’(<사피엔스>, 72p)    

 

 다시 수렵 채집시대로 돌아가야 하나. 그때의 인류가 지금보다 더 행복했을 텐데. 풀리지 않던 의문과 망상들이 도돌이표를 반복하는 사이 백일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아이는 곧잘 통잠을 자기 시작해 새벽에 깨는 일이 많이 줄어들었다. 마침내 찾아온 백일의 기적에 우리는 겨우 한 시름을 놓을 수 있었다. 가끔 아내와 그 시절에 대해 얘기할 때가 있다. 온 가족이 코로나에 걸리기도 했고 엄청 힘들었던 건 기억나는데 마치 꿈을 꾼 것 마냥 구체적으로 무슨 일이 있었는진 생각나지 않았다. 어쨌든 우리 정말 고생 많았어, 의진이 하나만 잘 키워보자며 서로를 토닥이며 이야기가 끝난다. 그리고 어젯밤.     


‘근데 우리 금순이(둘째의 태명) 낳을까?’     


 지금까지는 내가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던졌던 말이었는데, 이제는 아내가 내게 먼저 둘째 얘기를 꺼낸다. 그 후엔 어김없이 같은 대화가 이어진다.      


 의진이 키우면서 또 금순이 키울 수 있어? 난 못해. 응 나도 못 해. 근데 금순이 너무 귀여울 것 같지 않아? 금순이라는 보장 있어? 금돌이면 뭐 어때. 귀여울 것 같은데. 셋째 낳으면 되지.     


 마치 상황극처럼 어떤 때는 내가 질문하는 역할을, 어떤 때는 아내가 질문하는 역할을 한다. 인류가 멸종하지 않았던 이유는 분명, 망각 때문이었을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