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티너리 May 15. 2022

라이벌 칠레와 페루의 '피스코' 논쟁


남미에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만큼 라이벌인 두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페루와 칠레입니다. 페루, 칠레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까지만 해도 같은 ‘리마 부왕령’에 속해있었습니다. 하지만 독립 이후엔 서로 못 잡아먹어 안달인 앙숙으로 변했습니다. 특히 1880년대 벌어진 태평양 전쟁을 기점으로, 두 나라의 관계는 되돌릴 수 없을 만큼 나빠졌습니다.


칠레와 페루의 갈등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면, 바로 ‘피스코 논쟁’ 일 겁니다. 여기서 피스코는 포도로 만든 브랜디를 뜻합니다. 피스코가 칠레-페루 국경 부근에서 생산되자, 누가 원조인지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두 나라 모두 자신이 원조라 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고, 각자 전통적인 피스코 생산 비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둘 중 하나의 손을 들어주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오늘 (5월 15일)은 칠레가 지정한 ‘피스코의 날’인 만큼, 칠레-페루의 피스코 갈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칠레의 '피스코 브랜딩 역사'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31년 5월 15일, 카를로스 이바네스 대통령은 법령 제181을 통해 피스코 보호법을 발표합니다. 이 법의 주요 내용은 피스코의 원산지가 칠레라는 걸 법으로 정하고, 칠레 특정 지역에서 재배된 상품만이 피스코라 불릴 수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1931년 5월 15일에 제정된 법 (사진 자료: BCN)


칠레 정부가 지정한 공식 피스코 생산지는 북부 지역의 코피아포 (Copiapo), 와스코 (Huasco), 라 세레나 (La Serena), 엘끼 (Elqui), 오바예 (Ovalle) 주였습니다. 또 칠레는 피스코 독점 생산을 위해 규제법을 추가했습니다. 만약 다른 지역 음료에 피스코란 이름을 붙일 경우, 칠레 정부가 벌금을 물겠다란 내용을 담은 것입니다. 이후 칠레에선 이 법이 발령된 5월 15일이 자연스레 피스코의 날이 되어 버렸습니다.


페루 입장에선 어이없는 일이었습니다. 자신들도 만드는 피스코란 이름을 칠레만 쓸 수 있다는 건 너무나 황당한 주장이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페루에는 이미 잉카 제국 시절부터 피스코라 불리는 항구도시가 있었습니다. 반대로 칠레는 1936년 엘끼 주의 어느 마을 이름을 피스코로 바꾼 것이 전부였습니다. 또 역사학자들은 칠레에서 피스코란 이름이 1800년 이후에나 쓰이게 됐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역사만 보면, 페루가 피스코의 원조인 것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칠레 엘키 지역 (사진 자료: 위키피디아 커먼즈)


하지만 피스코는 칠레에서 더 많이 소비되는 상황입니다. 또 칠레는 페루보다 세 배나 더 많이 생산하고 있습니다. 칠레가 일찍이 피스코 법령을 발표한 것과는 달리, 페루는 2007년이 되어서야 국가 문화유산으로 정했습니다. 피스코를 신경 쓰는 국가적 노력은 오히려 칠레가 페루보다 한 발 앞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페루나 칠레 여행을 가면, 현지 사람들이 종종 피스코를 마셔보라며 권하곤 합니다. 한국의 소주나 막걸리처럼, 아무래도 두 나라 문화를 대표하는 술이기 때문입니다. 페루에선 페루 사람들이, 칠레에선 칠레 사람들이 서로 '자기네 것이 최고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누가 원조인지 보다 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두 나라 모두 훌륭한 피스코를 만든다는 점입니다. 국제적으로 유명한 '중남미 산 주류'가 있다는 건, 두 나라 모두 자랑스러운 일이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하루 5분 중남미 역사상식 매거진에서는 그날 벌어졌던 역사를 다룹니다. 매일 알쓸신잡st 글을 통해 중남미의 시시콜콜한 역사이야기를 알려드립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