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줄타기인생 Oct 05. 2022

데이터 기반 제품기획, 어디까지 유효할까?

결국은 의지와 직관의 영역

1. 일을 그만두고 쉬는 기간 동안 제게 부족한 SA/스마트스토어 관련 부분을 보강하기 위해 이런저런 자료를 찾으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마브사끼>라는 마케팅&브랜딩 유튜버 분의 스마트스토어 관련 콘텐츠 하나를 재밌게 봤는데요. 극단적으로 요약하자면 소싱이나 기획에 많이 참고하는 '경쟁강도' 수치는 허상이라는 겁니다. 



2. 지금은 <아이템 스카우트>와 같이 아이템의 검색/경쟁 추이를 볼 수 있는 툴이 너무 잘 돼 있죠. 그래서 커머스 사업을 꿈꾸는 많은 분들이 이 툴을 통해 경쟁강도를 파악하고 제품을 소싱검토하는 게 표준처럼 돼 있는데, 이 분의 말은 그렇게 하지 말라는 겁니다. 

3. 이유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경쟁강도 = 상품 등록수 / 검색량 인데 분모와 분자의 허수 비율이 너무 높다는 겁니다. 네이버 쇼핑검색 상위권을 차지하려는 트래픽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검색량 자체가 인위적으로 뻥튀기 돼 있고, 도매 등의 대량상품등록을 통해 상품등록수도 뻥튀기 돼 있다 보니 경쟁강도 자체도 허수일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요. 

4.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DA 광고를 통한 자사몰 운영의 경험치가 더 높은 탓에, 검색과 등록 베이스의 경쟁강도에 대해서는 깊게 뜯어볼 생각을 못했는데요. 이 콘텐츠를 보고 아차 싶었습니다. 왜냐면 전 직장에서도 제품기획 프로세스 구축이나 인수 후 스케일업 가능성을 검토할 때 주요 수치로 볼지 말지를 고민했던 게 이 경쟁강도 수치였으니까요. 

5. 그렇게 생각을 하다 보면 제품기획의 본질이라는 게 뭔지에 대해까지 고민을 해보게 됩니다. 콘텐츠에서도 결국 경쟁강도는 최대 50% 정도일뿐, 결국 니즈와 결핍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는 것인데 데이터만으로는 여기까지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또 실제 상품은 다양한 업체가 함께 만들어나가는 것이기에 샘플링, 발주 등 되돌릴 수 없는 결정을 해야 할 때가 많죠. 

6. 직접 기획은 아니지만 기획자들을 매니지먼트 하면서 느낀 점은, 데이터로 갈 수 있는 것은 아웃라인을 그리는 정도까지만이고 실제 상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결국 어느 순간부터는 확률게임을 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강아지 방석이 여름에 잘 된다는 사실은 너무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높은 경쟁강도와 상관없이 잘 되는 제품은 기획자의 미감이나 직관이 발휘된 결과물이고 이것은 데이터가 해결해 줄 수 없는 부분이죠. 

7. 또 한편으로는 상품을 낸다는 것은 긴 호흡의 업무이다보니 강한 의지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위에서 말한 것 처럼 되돌릴 수 없는 결정의 순간이 많다 보니 만들고자 하는 코어를 정한 후에는 그것을 죽이 되건 밥이 되건 밀고 나가야 뭐라도 나오게 되죠. 전 직장에서 제품기획에 관해서 많이 나눴던 얘기가, '지금 잘 되는 이 제품을 우리가 지금 제로베이스 상태에서 만들겠다고 하면, 결정권자들을 어디까지 설득할 수 있을까?' 였거든요. 

8. 그런 의미에서 데이터 기반의 쉽고 안정적인 상품기획이란 아직까지 제 기준에서는 불가능한 이야기처럼 느껴집니다. 소비자에 대한 관찰력, 구매설득을 위한 비주얼적인 문법 (혹은 해킹)등이 여전히 중요한 영역 같아요. 그렇지 않다면 레드오션에서도 좋은 상품을 만들어내는 브랜드의 존재가 설명되지 않기도 하고요.

매거진의 이전글 물건을 팔때 '그로스해킹'은 어디까지 의미가 있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