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마누 Feb 06. 2024

소설가 레마누

비나이다. 비나이다.

마음이 내키지 않는다. 사소한 것이 걸린다.

간절히 바라던 것이 구체적으로 다가오면 두려움과 걱정이 앞선다.


욕심. 글 쓰는 사람은 알만한 곳에서 등단하고 싶다.

의혹. 그런 곳에 뽑힐 만큼 내 소설이 뛰어난가?

기우.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면? 나는 또다시 경기방 밖에서 아무도 듣지 않는 응원만 할 것인가?



작년 8월부터 지금까지 6편의 단편소설을 썼다. 초기에 쓴 소설 3편을 신춘문예에 응모했고, 떨어졌다. 다행인 건 쓰면 쓸수록 소설이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다. 1월에 문예지 신인상에 응모했는데, 예심통과했다는 전화를 받았다. 내심 기대했다. 토요일까지 연락이 오지 않으면 떨어진 거라고 했다. 토요일 저녁에 소주 한 병을 마셨다. 내가 제일 잘 썼다고 생각했던 소설이었다. 2월 초 두 번째 쓴 소설을 다른 문예지 신인상에 응모했다. 어제 당선 메일을 받았다.


어리둥절했다. 한참 동안 천천히 메일을 읽었다. 내 소설이 우수하여 신인상을 수여한다고 하는데 후원계좌가 있었다. 들은 이야기가 있어 그런가 보다 했다. 아이들은 엄마가 상 받으러 서울 간다고, 우리도 같이 서울 간다고 좋아했다. 누워서 가만히 생각하니 히죽히죽 웃음이 나왔다.


어찌 됐든 내 소설이 뽑혔고, 등단한다는 말은 매혹적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그렇게 되고 싶었던 소설가가 된다. 누군가 내 소설을 읽었다.


문득 내가 응모한 문예지가 유튜브나 뉴스에 나오는 등단팔이하는 곳이면 어쩌지? 걱정이 들었다. 오늘 담당자와 통화를 했다. 아니나 다를까 50권이 기본이라고 한다. 12,000*50=600,000.이다.


내 새끼를 세상에 내 보이는데 돈이 들 줄은 몰랐다. 오히려 돈을 주며 귀하게 데려갈 줄 알았다. 내 새끼를 두꺼운 문예지 어느 한구석에 끼워 넣고 싶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등단이라는 말은 매혹적이었다. 심사평도 궁금했다. 내키지 않은 마음 반과 한번 도전해 보고 싶은 마음이 반이었다.


이럴 때는 혼자만 생각하면 안 된다. 서울에 사는 블로그언니한테 전화했다. 언니는 한참 동안 내 얘기를 듣더니 말했다.

"글을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등단을 하는 거예요. 등단을 위해 글을 쓰지는 마세요."


순간 머리가 띵했다. 나는 소설을 왜 쓰는가? 쓰고 싶어서, 재미있어서 쓴다. 응모를 왜 하는가? 내 소설이 그럴듯하다는 말을 듣고 싶었다. 누구한테? 심사위원들한테. 왜? 그들은 공신력이 있으니까. 적어도 그들에게 인정을 받으면 기본은 한다는 말이니까. 그렇다면 내 소설을 읽는 사람은 심사위원들일까? 독자일까?


언니와 이야기를 하는 동안 생각이 정리됐다. 언니는 내게 등단만을 보지 말고, 시선을 다른 곳으로도 돌리라는 조언을 주셨다. 뭘 하면 그것밖에 모르는 외골수인 내게 꼭 필요한 말이었다. 언니에게 전화하길 잘했다.



지금 내가 할 일은 부지런히 소설을 쓰는 것이다. 내 글이 부족한 건 사실이고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계속 소설을 쓸 예정이다. 소설을 쓸 때 제일 기분이 좋기 때문이다. 누가 상패를 주든 말든 나는 소설가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와 아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