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교지편집부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지편집은 2학기에 집중적으로 활동할 것이기 때문에 1학기에는 아이들의 문해력을 기르는 활동을 하고자 했다. 문해력이란 글을 읽을 줄 알고,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미디어 문해력이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공유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미디어가 일상화된 요즘 시대에 디지털 미디어의 문해력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첫 시간에 기사 한 편을 읽혀보고 알게되었다. 띄어쓰기와 연결단어를 읽는 수준에서 대부분의 아이들이 글을 많이 읽지 않는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래서 수업의 진행은 우선 아이들에게 기사를 한 번 눈으로 읽는 시간을 주고, 돌아가면서 큰 소리로 읽히는 것, 그리고 짧은 글짓기 한 내용을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하고 있다. 국어수업의 연장 같은 느낌이 있긴 하지만, 기사를 한 편 읽고, 모르는 단어를 알아본 후 그 단어로 짧은 글짓기를 하는 시간은 의외로 관심이 없어 보이는 아이들까지 참여도가 높았다. 이 수업을 위해, 나는 미디어 문해력 지도에 관한 연수 강좌를 온라인 강의로 수강했다. 그 내용을 간단히 추려 보았다.
Q. 청소년을 보호하는 미디어 문해력 교육 관점은 익숙한 교육 관점입니다. 청소년에게 미디어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교육은 요즘 시대에는 효과가 없는 것 아닐까요?
A. 미디어의 악영향에 대해 알수록 비판적 미디어 이해 및 활동 규제 능력의 신장 (교육적 의미)
- 미디어의 악영향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관점
- 미디어 접근 역량 교육 미디어 도구의 활용능력, 스스로의 이용 규제 능력
- 학습자의 삶의 실천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의 및 교육
Q. 청소년의 삶에서 출발하는 미디어 교육을 수행할 때, 지식을 미리 제시하는 것 외에 교사가 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은 무엇이 있을까요?
A.
자신의 일상 경험을 구조화한 후 성찰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
- 일상을 구조화할 수 있는 틀을 제시
- 안내문, 작성 사례 등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성찰 일지 작성에 도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에서 안내한 다양한 방식의 일기 쓰기 방법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체에서 뉴스를 검색하는 방법
- 검색 후 생각을 정리하고 공유하는 방법 (발표, 질의응답, 토론)
- 여러 일기 작성법( 찬반 의견으로 정리하는 법, 만평 등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법, 가상인터뷰를 구성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