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o Sol Feb 21. 2019

누군가의 일상이 누군가에겐 여행이라니

서서 마시는 커피

카페 카운터에 서서 커피를 마시고 있는 사람들을 처음 본건 이탈리아였다. 여행 가기 전 봤던 ‘카페에 가면 앉기 눈치 보일 것’이라는 문장들을 증명하듯 로마의 아침엔 많은 사람들이 선 채로 커피를 털어 넣고 카페를 떠났다.
그때는 마냥 그 광경이 신기했다. 그저 ‘나도 저렇게 서서 마셔야 하나?’ 생각하며 웃기 바빴다. 생경한 그들의 행동이 당시엔 참 재밌었다. 그게 다였다.

그리고 오늘 아침 리스본에서 그 장면을 다시 목격했다. 뭇 현지인들은 검지 손가락 정도의 작은 에스프레소 컵에 담긴 커피를 선 채로 마신 뒤 카페를 떠났다. 어떤 이는 두 모금으로 커피 한 잔을 끝냈다. 그 장면을 보고, 이제는 이렇게 생각했다. ‘뭐가 그렇게 바쁘길래.’

“유럽의 여유”, “여유로운 유럽 사람들”과 같은 어절을 이제는 믿지 않는다. 여행자의 시선으로 흐르는 센 강을 바라보면 당연히 여유가 흘러넘치겠지만 그 주변을 둘러싼 관광지에 여유라는 단어는 없다. 포화라는 단어가 더 어울려 보인다. (특히 성수기 때 파리나 이탈리아의 주요 관광지는 카오스라 부르고 싶기도 하다.)

남산을 생각해보고, 명동을 생각해보면 그렇다. 관광객으로 가득 찬 명동 한복판을 무슨 일이 있어 이따금씩 갈 때마다 나는 혀를 내두르기 바빴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어디서 왔지, 뭐 볼 게 있다고 여기를 왔지.

리스본의 거리를 물청소하던 직원이 생각난다. 아침 일찍 빵을 먹으러 거리를 나섰더니, 웬 청소부 한 명이 소방 호스 같은 것을 이용해 굽이진 비탈길을 씻어내고 있었다. 물의 압력이 어찌나 강한지 비가 오는 것 같았다. 물줄기에 전날 쌓인 낙엽과 쓰레기들이 밀려 내려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처음 보는 장면은 내게 있어 여행지의 흔한 구경거리가 되었지만, 청소부 미간에 낀 자욱한 찌푸림은 지루한 일상 그 자체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Nonam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