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eo Sol Mar 10. 2019

Nocturne, Op.9 No.1

고등학생 때 정말 좋아하던 쇼팽 곡이 갑자기 생각났다. 한동안 잊고 살았는데, 진짜 느닷없이 유튜브를 켜니까 생각났다. 수업 쉬는 시간이나, 수학 문제를 채점할 때 들었던 순간들도 연달아 떠올랐다. 그리고 곧 생각했다. 비록 쇼팽 곡이지만, 여성 피아니스트의 손에서 연주되는 실황 영상이 보고싶다고.

검색을 해보니, 몇 명의 피아니스트들이 연주하는 영상이 나왔다. 하지만 한 시간을 넘게 뒤져도 마음에 드는 영상을 찾지 못했다. 이유는 두 가지. 첫 째는 대부분이 남성의 영상이고, 두 번째는 피아니스트들의 심한 코르셋을 감당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그물처럼 얽힌 드레스를 입고, 등이 전부 다 드러나보이는 외국 피아니스트들의 영상은 누르지도 못했다.


대신 전율이 이는 손열음 피아니스트의 쇼팽 발라드 2번 연주 영상을 찾아 들었다. 글이 무미건조해서 별로 그렇게 안읽힐 수도 있지만, 정말 감동받았다. 지금 이 시기에 이 영상을 갑자기 만나게 되어서 너무 기쁘다. 나만 모르고 이미 유명한 것 같은데, 이제라도 알아서 다행이다. 그래서 아카이빙용으로 글을 쓴다.


언젠가 손열음 피아니스트의 공연에 가서, 그가 직접 연주하는 녹턴 op.9 no.1이 듣고 싶어 졌다.(발매된 앨범 속 그 곡은 현악기 때문에 별로임...) 아무리 많은 녹턴을 들어도 이런 울림을 주는 곡이 없다. 내가 무슨 클래식에 정통한 사람도 아니고 마니아도 아니지만, 이 곡을 치는 여성 피아니스트의 공연에 꼭 가고 싶다. 그리고 그가 작곡한 다른 멋진 곡들도 내 귀로 직접 듣고 싶다. (코르셋이 없는 공연이면 금상첨화겠지만...)

피아니스트 공연을 가고 싶다는 생각은 정말 예전부터 했었는데, 그 값을 감당할 능력이 안되어 갔던 적이 없다. 사실 지금 생각하면 차라리 다행이다. 다 남피아니스트였기 때문에. 신나게 다녔다면 그 돈이 얼마나 아까웠을까 싶다.


그리고 작은 불씨를 키운다. 당장 피아노가 눈 앞에 있는 것도 아니지만, 이 곡의 악보를 쳐다보고 싶어졌다. (라고 쓴 뒤 구글에 검색해보고 왔는데 그 생각이 뚝 떨어졌다. 그래도 들었던 생각이니 일단은 쓴다;)


https://youtu.be/ORkKp8Uowj0

이 한 곡을 완벽히 연주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시간을 피아노 앞에서 홀로 사투했으며, 사투하고 있을까. 글을 다 쓰고도 자꾸 들어와보게 된다. 지금은 또 다른 연주곡을 듣고 있는데, 이 곡을 무대에서 연주하기 위해 쌓였을 시간의 무게가 느껴져 가슴이 벅차오른다. 진짜 너무 멋있다. 발산되는 힘이 마음을 움직인다.


+

또 덧붙이기

https://youtu.be/l0IoPQM1HlU


장한나 지휘자 인터뷰

https://youtu.be/Q_ciZGCcQAE

멋진 여성들의 모습을 만나는 것은 언제나 힘이 된다.

작가의 이전글 2018년 11월 어느 날의 기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