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평김한량 Apr 26. 2016

전원주택을 짓는데 평당 얼마나 들까?

처음 집을 짓는 사람들이 하는 고민들.

 일본에 다녀와서 이제 설계에 대한 고민과 함께 찾아오는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시공에 대한 고민입니다. 집을 짓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시공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처음으로 집을 짓기 때문에 잘 모릅니다. 그리고 가장 큰 실수를 하게 됩니다.


평당 얼마에 싸게 지어드릴게요.


저도 처음 집을 지을 때 예산에 대한 감이 오지 않아서 '평당 얼마' 정도 드는지 여기저기 가서 물어보던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평당 얼마가 든다는 것은 설계도에 따른 세부견적을 내지 않으면 모릅니다. 이 견적을 내는 것도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가 걸리는 작업이 됩니다.



만약 30평의 집을 짓는다고 한다면 1억에 집을 지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2억에도 지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집을 짓는 방법과 들어가는 자재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다행히도 우리의 예산이 얼마이던 집을 지을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예산에 따라서 평수를 늘리고 줄이기보다는 먼저 내가 살고자 하는 집에 대한 설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설계를 하면서 예산에 대한 압박으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집을 지을 때 내가 꿈꾸던 집과 거리가 멀 수 있습니다.



외관 vs 고성능


우리나라는 혹한과 폭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축법이 엄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전까지 지어진 주택들은 단열 성능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더운 경우도 있었습니다. 만약 단열재 시공이 잘못되었을 경우 결로와 곰팡이는 피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는 아파트라고 해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아파트엔 외관과 관련된 외장재 선택이 없습니다. 그러나 전원주택의 경우 외장재 선택에 따라 집 가격이 수 천만 원이 차이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스타코 플렉스'가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시멘트 사이딩이나 스타코가 사용되었지만. 좀 더 업그레이드된 제품을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집을 짓는다면 외관을 신경 쓸 것인가 아니면 고성능의 단열에 신경 쓸 것인가 고민이 됩니다. 고성능 단열재를 사용하게 되면 창호부터 시작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수천만 원의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나 외관을 예쁘게 하면 바로 눈에 들어옵니다. 그래서 단열에 신경 쓰는 경우보다 외관과 인테리어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평당 얼마보다 좀 더 꼼꼼하게 살펴보기.


집이 완성되면 부수고 다시 짓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그래서 집을 지을 때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희 부부는 집을 설계하는데 10개월이 걸렸습니다. 처음에 콘셉트 잡는데 2개월. 그리고 그 이후로는 살아가면서 불편함이 예상되는 것들을 잡아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집을 지어본 분들을 만나게 되면 다시 지어보고 싶다고 말씀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러나 집을 2번 3번 지어보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번 집을 지을 때 꼼꼼하게 설계하고. 그 안에 들어가는 부품 내역일 모두 확인해서 모르는 것은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우리는 슈퍼에서 2천 원짜리 두부를 살 때 정말 꼼꼼하게 봅니다. 하지만 2억짜리 집을 지을 때 머리가 아파서 쉽게 포기하고 누군가에게 모두 맡기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그 집은 나중에 다시 짓고 싶은 집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주인이 신경 쓸 때 그 가치가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법입니다.


그래도 예산 계획이 필요하다면.


 맨 처음 집을 짓기 위해 예산을 잡게 된다면 예산을 잡아야 합니다. 하지만 설계도면이 나오지 않은 경우엔 견적이 어렵습니다. 그래도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해서 하우징 업체에서는 평당 얼마라는 단가를 제공합니다. 40평에 평당 400만 원 해서 1억 6000만 원. 이런 식입니다.


그러나 그 집과 똑같은 디자인의 집이 아니라면 창문 개수도 다르고 외장재와 지붕재 등. 여러 가지 부분에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은 견적이 나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예산을 정확히 전에 감을 잡는 정도로만 평당 얼마를 생각하라고 권해드립니다.


만약 평당 얼마라고 이야기하는 시공업자와 계약을 한다면 꼭 세부 견적서를 요청해보세요. 수십 장에 이르는 세부 견적서는 한 권의 책과 같습니다. 그 안에 내용을 보고 난 후에 또 다른 곳에서 견적을 받아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같은 항목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고 어느 부분이 어느 정도 되는지 알 수 있는 비교표가 됩니다.


유행하는 1억원대에 짓는 전원주택


 먼저 1억대의 건축비로 예산을 잡는다면. 여유자금을 충분히 두고 계산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1억 3천만 원의 자금이 있다고 가정할 때. 약 2천만 원 전후의 추가금을 예상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순수 건축비의 의미엔 여러 가지 세금과 함께 조경공사 등. 해야 할 부분이 빠져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평당 얼마라는 식의 계산을 해서 저렴한 가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에 여유자금을 갖고 있지 않는다면 예상치 않은 대출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요즘에 1억 원대에 짓는 전원주택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1억이라고 해서 다 같은 주택이 아닙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견적서를 보면서 조금 더 저렴하게 집을 지을 수 있는 노하우를 함께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양평 김한량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귀촌과 전원주택에 대한 이야기. '아파트를 버리고 전원주택을 짓다'는 현재 브런치에서 독점 연재 중입니다. 매거진을 구독하시면 무료로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구독버튼을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매거진의 이전글 15일 동안 돌아본 일본 주택투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