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너구르르 Apr 26. 2021

테슬라 블랙박스 설치 어떻게 할까?

시거잭? 보조배터리? 12V 직결?

테슬라를 구매하시는 분들의 고민 중 하나가 블랙박스입니다.

블랙박스를 설치할 거냐 말 거냐부터 어떻게 블랙박스를 설치할 거냐에 대한 고민이 많은데요.

각각에 대한 이유와 저의 선택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블랙박스를 설치할 거냐 말 거냐


일단 블랙박스를 왜 설치하는 걸까요?

먼저 주행 중 사고 시에 촬영 영상을 통해 근거를 확보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그리고 정차 또는 주차 중에 일어나는 차에게 일어나는 어떤 일들을 감시하기 위함이기도 하고요.


테슬라는 기본적으로 외부를 바라보는 8개의 카메라를 달고 있습니다.

전면에 3개, 좌우측에 4개, 후방 1개가 있으며 이는 원래는 오토파일럿을 위한 카메라 이긴 하지만 테슬라에서는 이 카메라들을 주행과 주차 중 감시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주행 중에는 대시 캠이라고 불리고 있고, 주차 중에는 감시 모드(센트리 모드)를 통해 이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감시 모드는 움직임이 있으면 촬영해 주기 때문에 이를 통해 차를 몰래 긁고 가는 분들이 종종 잡히곤 합니다. (테슬라의 카메라에 대해서 알았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 텐데 말이죠)

 

그러면 블랙박스는 따로 필요 없는 거 아니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게 또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첫 번째, 대시 캠으로 사용되는 전면 카메라가 일반적인 블랙박스의 카메라에 비해서 화각이 작은 편입니다.

두 번째, 테슬라의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1.2M Pixel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게 생각보다 화질이 아주 좋지는 않아서 블랙박스 카메라에 비해서는 선명하지 않습니다.

세 번째, 영상에 날짜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아. 물론 요즘에는 영상에 있는 정보로 영상에 시간을 입혀주는 앱이 나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시 캠의 기본 영상에는 날짜 시간이 없습니다.

네 번째, 음성이 녹음되지 않습니다. 블랙박스가 사고의 순간 녹음하는 소리는 가끔 정황 증거로서 역할을 하곤 합니다.

다섯 번째, 저에겐 이게 가장 문제였는데 가끔 오류로 영상이 제대로 녹화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테슬라의 기본적인 대시 캠과 감시 모드만으로도 충분히 잘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므로 설치 여부 자체는 개인의 선택입니다만 저는 위의 이유로 블랙박스 설치를 결정했습니다.

제 차에 설치된 블랙박스


근데 블박 설치 방법 이슈는 뭐냐


일반적으로 테슬라에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분의 선택은 다음 4가지 정도가 됩니다.


1. 시거잭 쪽으로 연결하여 설치

2. 시거잭 쪽으로 보조배터리를 연결하고 블랙박스는 보조배터리로 연결

3. 12V 배터리에 블랙박스 직결

4. USB 전원 블랙박스를 구입하여 주행 중에는 USB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주차 중에는 보조배터리로 전원 공급 (대표적으로 샤오미 블박 70mai를 많이 사용)


대체로 1~3번은 틴팅업체 등에서 시공을 해주시기 때문에 처음 차를 받을 때 설치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가지는 장단점이 있어 어떤 것으로 설치할 거냐에 대해서는 항상 논란이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보시고 각자가 생각하셔서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는 설치방법을 고르시기 바랍니다.


시거잭 쪽을 따서 블랙박스 연결


제가 처음에 차를 받고 설치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장 차에 부담을 주지 않고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블랙박스는 차에 탑재되어 있는 12V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가지고 오는데 간혹 이 12V 배터리가 방전되면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시공하게 되면 차량이 주차모드로 바뀌었을 때 시거잭의 전원 연결이 끊기면서 블랙박스가 꺼지게 되므로 12V 배터리에 부담도 없게 됩니다.

만일 이 방법으로 블랙박스를 설치한 후 주차 시 블랙박스로 감시하고 싶으면 감시 모드(센트리 모드)를 켜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차량은 시거잭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감시 모드와 블랙박스가 모두 활성화됩니다.

문제는 이 감시 모드라는 것이 배터리 소모가 많다는 것입니다. 하룻밤 새워 놓으면 3~5% 정도의 배터리 소모가 있습니다. (평상시 완전히 슬립 상태로 테슬라가 있게 되면 하루에 1~2% 내로 소모됩니다.)

하지만 평상 시 안전한 곳에 차를 주차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만으로도 충분하게 여기시는 분도 많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감시모드를 켜면 되니까요.


시거잭 쪽으로 보조배터리를 연결하고 블랙박스는 보조배터리로 연결


한동안 많은 분들이 선호하던 방법입니다.

보조배터리를 탑재하여 주행 중에 블박을 사용하면서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고 주차 중에는 충전된 보조배터리를 사용하여 블랙박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배터리 용량에 따라 꽤 오래 주차 중 블랙박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12V 배터리에도 부담을 주지 않게 됩니다.

배터리는 이런 식으로 생겼습니다. 요건 에코 파워팩

여기서 문제는 배터리의 가격인데요.

블랙박스를 위해 설치하는 배터리 가격은 보통 30~40만 원 정도 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런 보조배터리의 폭발 이슈가 나오면서 제거하신 분들도 제법 나타나고 있습니다만 아직 테슬라용 보조배터리에는 폭발 이슈는 없다고 합니다.


12V 배터리에 블랙박스를 직결


최근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상당히 논란이 많습니다.

차량에 있는 12V 배터리에서 전원을 직접 끌고 오므로 12V 배터리 방전 이슈가 생길 수 있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고, 12V 배터리에서 블랙박스로 내는 선 자체가 너무 얇아서 화재의 위험이 있다고도 말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12V 배터리가 어느 정도 이상 빠지면 자동으로 차가 메인 배터리에서 12V 배터리를 충전해 준다는 이야기도 있고, 정기적으로 차를 깨워서 12V 배터리를 충전해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대비하여 휴즈 모듈까지도 시공업체에서 설치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초저전력 블랙박스도 등장해서 적은 전류로도 블랙박스가 작동하게 해주고 있어 직결 시 12V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물론 초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격이 있을 때만 촬영 가능)


하지만 직결 경험이 적거나 스킬이 부족한 업체에서 잘못 시공하면 차량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12V 배터리 직결에 의하여 차량에 문제가 발생하면 테슬라 서비스 시에도 문제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12V 배터리 직결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우려가 많은 상황으로 많은 분들이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시공방법임은 틀림없습니다.


3가지 방법은 모두 장단이 있습니다. 주차환경, 심리적 부담, 경제적 여건 등등 잘 생각해 보시고 결정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너는 어떻게 했느냐


처음에는 시공해 주신 국스 월드에서 그때는 블박 12V 직결은 하지 않고 계셨고, 안전을 위해 시거잭 연결을 추천하셔서 시거잭 연결만 했습니다.

그때는 여차하면 '감시 모드 켜지 뭐'라고 생각했고요. 그런데 감시 모드 몇 번 써보고 살살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생각보다 배터리가 많이 닳더군요.

하룻밤 5% 정도면 77 kWh인 모델3의 경우 약 3.8 kWh가 빠지는 건데요. 슈퍼차저 V2 기준으로 1 kWh당 280원 정도 하니 하루 밤동안 약 1,000원 정도를 감시 모드에 사용하는 것이 되는 것이죠. 그나마 280원이 돼서 좀 싸졌군요.


그러다가 블박을 시공했던 국스 월드에서 블박 12V 직결을 원하는 분에게 해주기로 정책을 바꾸신 것을 듣고 바로 연락을 드려서 시공했습니다.

시공 완료하고 어떻게 시공했는지와 주의 사항 설명을 듣고 있습니다.


물론 업체에서는 블박 12V 직결을 먼저 추천하지는 않고 있고, 기본적인 추천은 시거잭 연결입니다만 요청자에 한해서 설치해 주고 있는 것이고요. 주의 사항 등을 엄청 꼼꼼히 알려 주시더군요.


현재 예상으로는 48시간 정도는 연속 주차 중 블박이 주차모드 상태로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씀하시고, 안전을 위해 휴즈 작업도 했다고 하시네요. (제 블박은 초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QXD5000입니다.)


저는 "테슬라 메타"(나중에 따로 소개 예정) 사이트를 통해 정기적으로 차량을 켜지게 할 예정이라 12V 배터리 또한 정기적으로 충전해 주게 하여 12V 배터리 방전을 예방할 계획인데 어떻게 될지 한번 해봐야 할 것 같네요.


결과적으로 저는 12V 직결로 결론을 내린 거고요.

현재 제 차는 주차 상태에서도 아래 사진처럼 시퍼렇게 눈을 뜨고 있습니다.

30분 정도 지나 차가 슬립 상태로 들어가면 주차모드로 빠지고요. 제가 전면 글라스를 똑똑 두드리니 바로 블랙박스가 반응하더군요.


※혹시 12V 직결했을 때 나오는 12V 배터리 교체 에러 시 리셋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 하세요. https://brunch.co.kr/@logostein/101


12V배터리 직결을 한 현재 상태에서 저는 일단 만족스럽습니다만 며칠 사용해보고 결과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차량을 구입할 때 추천 링크를 사용하여 구매하면 수퍼차징 거리, 상품 및 액세서리 등의 사은품과 교환할 수 있는 무료 크레딧을 받게 됩니다.

구입하는 차량마다 무료 크레딧은 차등되어 제공됩니다. 

https://ts.la/logostein29091







매거진의 이전글 모델3에 외장 HDD를 붙여서 음악 플레이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