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uis Sep 23. 2023

Diary.19 -  홍콩 집 구하기3

꼭꼭 숨기기

꼭꼭 숨길 공간,

수납공간은 ‘다다익선’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홍콩집은 작다.

방크기도 작다.

그러나, 우리는 넓게 지내고 싶다.


작은 방에서 넓게 지내기 위한 방법이 있을까? 우선, 가지고 있는 것이 적으면 된다. 그래도 좁다고 느낀다면, 수납공간을 활용해야 한다. 수납공간을 극대화했을 때, 비로소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수납공간으로 들어가는 물건들은 쓰임의 빈도와 부피에 따라 적절히 미리 구상해야만 한다. 자주 쓰는 물건은 손에 닿는 곳에 배치하고 잘 쓰지 않는 물건들은 깊숙한 곳에 놓는다. 여행용 캐리어, 부피가 큰 겨울 옷과 이불 등은 수납공간을 선택할 때 미리 크기를 재 놓아야 한다. 샀는데 안 들어가면, 큰 낭패다.


이번 글에서는 홍콩의 작은 집에서 넓게 지내고 싶은 우리들이 가진 몇 가지 팁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른바 꼭꼭 숨겨라!’




들어가기에 앞서! 같은 크기라도
홍콩은 왜 더 작게 느껴지는 것일까?

그 이유는 아파트를 구성하는 단위세대의 형태와 배이(Bay, 구조체와 구조체 사이)로부터 기인한다. 아래 2023년 최근의 아파트 평면을 살펴보면 좀 쉽게 이해되리라.


같은 2룸의 경우, 한국은 2 배이, 홍콩은 3 배이구조가 일반적이다. 2 배이는 공간이 깊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현관을 들어섰을 때 공간이 커 보이는 효과를 만들어 좀 더 커 보이는 착시를 만들어 낸다.

<50sqm unit at 한국(좌) / 홍콩(우)>


다른 하나는 배이의 길이이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자 단위의 길이를 사용해 왔다. 그리하여 옷장을 만들 때, 몇 자짜리 장롱이 들어가는 지를 확인한다. 1자는 30cm이기에 한국의 베이는 30cm를 기준으로 몇 번 곱하기를 하느냐로 구성된다. 이는 평면의 방을 비교해 보면 확실해진다. 사각형의 한국 안방은 3.0x3.3m / 작은 방은 2.7x2.9m로 되어 있는 반면,  홍콩 안방은 2.6x3.7m / 작은 방은 2.1x2.7m로 되어 있다. 한국은 관습상 30cm 모듈 베이를 유지하려 하는데 이는 아파트 단위를 구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반면 홍콩은 옷장이 아닌 아닌 침대 크기가 방의 크기에 영향을 끼쳐왔다. 안방은 queen 혹은 King사이즈의 침대가 들어가는 것을 기준으로 복도공간 80센티에서 1m를 측면에 준다. 그리하여 2.6m와 2.1m 모듈 이 나왔다. 이러한 차이가 두 나라의 방 크기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관련내용1: 1자 길이 몇 cm일까요? 장롱 크기 단위 궁금하다면? https://infoclipping.tistory.com/entry/1자-길이-몇-cm ​




침대 Bed
Pull-up vs 서랍식


본격적으로 수납공간에 관해 이야기해 보자. 우선, 침대다. 침대의 하부를 활용하는 것은 홍콩에서는 매우 흔하다. 두 가지의 방식이 있는데, 유압식으로 되어 있는 Pull-up과 서랍식으로 되어 있는 방식이다. Pull-up 식의 장점은 부피가 큰 여행용 가방을 넣어둘 수 있다는 점이다. 다만 물건이 필요할 때, 프레임과 매트릭스를 동시에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근육이 필요하다.

<Pull-up 침대>

서랍식의 경우, Pull-up에 비해 비교적 쉽게 물건들을 찾을 수 있다. 단, 부피가 큰 물건은 보관하기 힘들며 서랍을 빼는 과정에서 적절한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서랍식 침대>

두 제품을 비교했을 때, 작 크기는 작으나 부피가 큰 제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Pull-up식 침대를 추천하고 싶다. 서랍식에 비해 더 많은 짐들을 보관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도가 높다.


*관련상품1: MALM https://www.ikea.com/ca/en/p/malm-pull-up-storage-bed-black-brown-90404817/ ​

*관련상품2: BRIMNES https://www.ikea.com/us/en/p/brimnes-bed-frame-with-storage-white-luroey-s09069764/#content ​




옷장 Wardrobe
60cm or 45cm


두 번째로는 옷장이다. 옷장은 길이와 깊이에 주목해야 한다. 길이는 방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만, 깊이는 들어갈 옷의 레이아웃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레이아웃에 따른 옷장 깊이. 60cm와 45cm의 옷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보관품을 보관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60cm wardrobe>

60cm의 옷장은 옷을 측면으로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선택과 꺼내기가 편하다. 어디에 어떤 옷이 있는지 바로 보이기 때문이다.


<45cm wardrobe>

반면에, 45cm 옷장은 가장 바깥에 놓인 옷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옷을 고르기 위해서는 옷들을 들쳐봐야 한다. 가장 안쪽의 옷을 한동안 안 입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좁은 방에서 15cm의 깊이 차이는 다른 공간에 이익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된다.


작가의 경우, 안방에 60cm 작은 방에 45cm 옷장을 각각 설치했다. 안방에 더 많은 옷들이 들어가고, 작은 방에는 자주 입는 소량의 옷들을 보관 중이며, 현재까지는 만족스럽게 사용하고 있다.


*관련상품3: PAX / FORSAND https://www.ikea.com/ca/en/p/pax-forsand-wardrobe-combination-white-white-s29429713/

*관련상품4: PAX / HASVIK https://www.ikea.com/ca/en/p/pax-hasvik-wardrobe-combination-white-white-s39433229/ ​




수납장
High and  Low Cabinet

다음으로는 캐비넷 수납장이다. 캐비넷형 수납장은 거실공간에서 디자인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얼마 전 한국에서 열풍이 일었단 UBS처럼 디자인 포인트이자 수납공간으로 활용된다.

<High and  Low Cabinet>
<Low Cabinet 신발장>

작가의 경우, 신발을 수납하는 신발장으로 캐비넷을 활용한다. 특히 현관에 가까운 곳에 배치 시, 신발을 신기 용이하고 캐비넷 상부는 잠깐 물건을 놓거나 식물을 나둘 수 있어 유용하다.


*관련상품5: MACKAPÄR https://www.ikea.com.hk/en/products/bedside-tables-and-dressing-tables/shoe-cabinets-and-shoe-racks/mackapar-art-90334754# ​




거울 뒷 공간
숨겨진 수납장


마지막으로 화장실의 거울 뒷 공간이다. 화장지, 수건, 세제, 청소도구 등 생각보다 화장실에 부속된 물품들이 다양하고 많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공간에 배치 시, 때론 창피해 할 수 있는 물건들이다. 이를 보완해 주는 거울 뒤편 공간은 꽤나 중요한 수납공간이다. 특히 거울이 좀 더 앞쪽으로 나오면서 세수를 하거나 면도 시 좀 더 잘 얼굴을 관찰할 수 있는 1석2조의 효과를 얻는다.

*관련상품6: ENHET https://www.ikea.com.hk/en/products/bathroom-furniture/bathroom-furniture/enhet-spr-69396560?gclid=EAIaIQobChMIxcDMncq-gQMVrdUWBR2eKwsyEAQYASABEgI1cvD_BwE&gclsrc=aw.ds ​


홍콩의 좁은 집을 돌아보며, 이전에는 고민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세밀하게 살피게 된다. 특히나 1cm를 다투는 수납공간은 여러 번 고민하고 좋은 결정을 내려야 하는 부분이다.


이는 모두,

홍콩에서 넓게 지내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추천하는 수납공간들;
- 침대 하부 수납, bed Pull-up 타입
- 옷장 수납, 60cm 또는 그리고 45cm
- 신발수납, Low cabinet
- 화장실 수납, 수납장이 딸린 거울
이전 06화 Diary.18 - 홍콩 집 구하기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