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종호 Nov 08. 2022

일상의 논어 <자한子罕8>-봉조부지鳳鳥不至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자왈 봉조부지 하불출도 오이의부


-공자가 말했다. "봉황은 이르지 않고 황하는 그림을 내지 않으니, 나는 끝이로구나."   



봉황은 전설상의 새이지요. 주역 64괘에 괘사를 붙인 문왕文王 때 기산寄山에서 울었다고 합니다. 문왕은 은나라 주왕紂王에 의해 유리옥에 갇혀 있다가 풀려나 고향인 기산에서 백성들과 함께 했습니다. 


하도는 주역 8괘를 만들었다고 하는 복희씨伏羲氏 때 황하에서 용마龍馬가 등에 지고 나왔다는 신화적 그림입니다. (구글에서 '하도 낙서'를 검색하면 상세하게 설명된 웹 페이지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봉황이 이르지 않는다는 것은 성군聖君이 없다는 뜻이지요. 황하가 과거의 하도와 같은 성물聖物을 내지 않는다는 것은 성군의 치세 곧 태평성대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어리석은 리더가 나라를 다스리고 탐욕스러운 소인들이 날뛰는 세상에 대한 비판이자 그런 세상에서 쓰일 수 없는 자신의 신세에 대한 한탄이지요.  


우리나라에서 봉황 문양은 대통령을 상징합니다. 어떤 상징을 사용하든지 간에 대통령 역시 다만 사람일뿐이지요. 국민을 하늘처럼 섬겨야 할 시한부 대표머슴일 뿐입니다. 사람으로 태어나 일국의 대통령 자리에 올랐으니 잠시 자신을 하늘이 내린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것까지는 그럴 수 있다고 인정합니다. 그러나 착각하지 말아야 하지요. 본인을 내린 하늘은 관념적 하늘이 아니라 땅에 실존하고 있는 실체적 국민이라는 사실을 말입니다. 공자와 달리 우리 국민은 언제까지 한탄만 하고 있을 존재가 아닙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상의 논어 <자한子罕7>-고양단叩兩端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