뽑았으면 진짜 동등한 기회를
직장 내에서도 '대마불사'가 있습니다. 이른바 밀어주는 사람. 대리 때 전후부터 그런 집단 중에서도 저 사람이라는 것을 주변 사람들부터 알 수 있는 사람. 좋은 출신의 학벌과 남다른 채용과정, 실세 임원과의 교감 등 이 사람의 성과는 예정된 것처럼 푸시를 받는 사람. 승진도 남보다 빠르고 과장쯤 되면 선배들도 와서 먼저 인사하는 사람. 소위 글로벌 기업에서 제도화시킨 '핵심인재 파이프라인'은 될성부른 떡잎을 미리 가립니다. 그리고 나름의 기준으로 선별한 사람을 성과나는 자리에 앉힙니다.
정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부터 기대하지 않았고, 성과가 나기 힘든 컨텐츠, 애매한 보직에 세운 사람. 5년 정도 일하면 돈 버는 것 외에 현 직장에서 진로를 기약하기 어렵고 주어지는 역할을 해내야 생존하는 사람.
둘은 채용부터 그렇게 했습니다. 이 회사는 겉으로는 학력도 안보고 열정만 보는 것처럼 광고했지만, '용도'가 처음부터 달랐고, 잘 모르는 신입들은 모두에게 열린 문이 있는 줄 알고 밤낮없이 조직을 위해 자신의 시간과 장래의 비전을 바꿨습니다. 시간이 얼마 흐르지 않아 알게 된 실체에 대한 배신감과 안도. 이게 정말 기업에 도움이 되긴 된 것일까요.
첫번째 이직을 하고나서, 개인적으로 아는 형이 물었다. "거긴 네가 주도권을 갖고 일할 수 있는 데냐" "아직 작은 부분이지만 주도성이 있는 곳입니다" "그럼 됐다. 그것만 해도 어디냐" 짧은 대화는 내게 큰 의미를 주진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몇 년이 흘러 형이 했던 말의 진짜 의미를 조금씩 깨닫고 있다.
주도권. 그것은 흙수저로 허용된 사람들에겐 용납되지 않는 단어입니다. 모난 돌이 정 맞습니다. 모난 흙으로 된 돌은. 다만, '라인'에 있는 돌은 정도 부러뜨립니다. 연신 사업에 실패해도, 그 사업이 몰고올 엄청난 실패의 파장을 전 직원이 느끼기 전까지 새로운 사업기회를 줍니다. 그냥 출신이 믿음직하고 말을 잘하고 보고를 어눌하게 하지 않고 윗선이 한 이야기를 그대로 힘있게 말하고 몇 가지는 속도있게 해 온다고 실패했던 사람을 다시 씁니다. 또 실패해도 또 씁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모두가 그런 건 아니지만(이 글의 핵심이 '그런 건 처음부터 없다'니까) 가자미처럼 흙 속을 뒹굴던 흙수저에서 인물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정답은 현장에 있고, 실제 모순된 회사 안밖의 진실을 흙수저는 최전선에서 몸으로 알게 됩니다. 태만하고 주저앉지만 않는다면 누구보다 리얼하게 알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중용하는 것은 그 다음, 핵심적인 문제지만 어쨌든 현장을 떠나지 않으면 범위가 넓지는 않아도 맡은 일은 깊이 있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을 잘 아는 흙수저가
맘 편히 회사를 다니면서
자신이 깨달은 것으로 기여할 수 있을까?
아니, 기여할 맘이 생길까?
거의 악화가 양화를 구축합니다. 기업은 시간이 갈수록 '대마'와 '포기형 흙수저'만 남게 됩니다. 그리고 경영자는 모두에게 혁신을 강요하겠죠. 우리는 믿고 싶습니다. '답정너'식 울타리에 갇힌 미래가 되지 않기를. 내가 선택받은 사람이 되어서 안도하고 우쭐하기보다 그런 구조의 기업이 지속되지 않기를.
가능성은 모두에게 있습니다. 장사에 자질은 필요 있어도 천재는 필요없습니다. 고객, 고객을 외치면서 우리 속에서는 실세 임원과 그의 파이프라인인 금수저들이 같은 월급쟁이로서 그들만의 리그를 만들어 땀흘려 일하는 현장 인력들의 수고한 보람을 앗아가는지... 민낯으로 '밥벌이' 이상의 수단을 그들은 고민하는지 묻고싶습니다.
신중히 뽑아서 '사람 많다'는 구시대적 이유로 각자의 생업을 허무하게 날리지 말고, 신중히 뽑아서 모두에게 같은 기회를 주어야합니다. 세상을 잘 아는 사람도 여긴 진짜 출발점이 같다고 생각할만큼 민낯이 깨끗한 채용. 그 속에서 잘하는 친구를 명분이 아닌 실적으로 세워주는 것. 그리고 당장 성과가 나오지 않아도 기다려주는 것. 기업이 명예를 걸고 뽑았으니까요. 위로 갈수록 자리가 좁아지는 게 아닌, 팀 단위로 롤링을 계속하면서 기회를 얻는 것. 그럴려면 그 사이 꼰대들이 모두 반대할 거니까 안될려나요. 그럴 수 있겠습니다.
작가의 다른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