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ynn Mar 13. 2017

밑천을 탈탈 터는 진솔한 대화

#25. 같이 살아서 좋은 점

넌 찐따처럼 굴지 말고, 너 자신에게 솔직해야 해.
지금 한가롭게 서핑을 배우고 싶다고 할 때야? 넌 지금 겁이 나는 거라고. 지금 당장 매일매일 검색을 하면서 준비를 해야지. 넌 실제로 그 프로젝트를 진짜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이 아닌 것일 수도 있다고.


두다다다 총알처럼 쏴대다가 흠칫했다. 아. 말이 너무 심했나. 상처받지 않나? 근데 녀석은 고개를 주억거린다. 너 말이 맞아.


밑천을 탈탈 터는 진솔한 대화가 그리웠다.


2년여간을 둥실둥실 세계를 떠다니다 보면 힘든 것들 그리고 싫은 것들이 당연히 있는데 난 그중에 하나가 "졸라 밑천 탈탈 터는 진솔한 대화"를 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불만이었다. 아무리 베를린이 좋았어도 독일 친구들과 이야기를 할 때 같은 이야기를 매번 반복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할 수 있는 이야기의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한 달 후에 떠나는 사이인데 이야기를 해봤자 얼마나 하겠는가. 물론 가뭄에 콩 나듯이 가끔 그런 이야기를 하는 상대가 있으면 너무 반갑고 고마워서 눈물이 날 지경이었다.


이런 시간


어제 같이 사는 식구들과 수다를 떨다가 거의 새벽 3시까지 이야기를 나눴다. 어쩌다가 그렇게 되었는지는 기억이 안 나는데, 난 몹시 피곤했고, 술도 한 방울 안 마셨음에도 불구하고 3명이서 정말 서로의 밑천을 탈탈 터는 이야기를 했다. 서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일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하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안 하고 있다면 왜 안 하고 있는지. "말로 서로를 조졌다." 근데 난 그게 너무 좋아서 두 다리 쭉 뻗고 꿀잠을 잤다. 그다음 날 엄청 피곤할 줄 알았는데 하나도 피곤하지 않고 개운했다.


너 예쁘고, 나 예쁘고, 블라블라 그렇고 그런 대화는 이제 싫다.


진솔한 대화의 힘이란 그런 것이다. 언제 마지막으로 진솔한 대화를 나눴는가? 그냥 그런 나 잘났고, 너 잘났고, 우리 모두 잘났어요- 이딴 이야기 말고 말이다. 이런 대화는 솔직히 독이다. 동창 모임이 대부분 그러하다. 하하호호 서로 우정이 어쩔 씨 고 하지만 그것이 우정인지 난 사실 전혀 모르겠다. 서로 겉치레 없이, 화장 없이, 가면 없이, 잘 보이려 젠체하는 거 그런 거 전혀 없이. 가드 내려놓고 서로의 약점을 보여주는 그런 대화 말이다. 그리고 좋은 이야기만 해주는 거 말고, 상대방에게 진짜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그런 대화 말이다. 그렇다고 나의 기준을 남에게 가져다가 서로 비난하고 비판하는 중심의 대화 말고, 진짜 그 사람을 중심에 놓고 나누는 대화 말이다. 그런 대화를 하게 되면 난 무슨 상담받은 것보다 훨씬 더 (무조건 너 잘했어요. 우쭈쭈 상담을 난 싫어한다. 전혀 도움이 안 됨.) 개운하고 후련하다.


그런 대화를 어떻게 하면 나눌 수 있을까? 사실 그 친구들과 알게 된 지는 오래지 않았다. 하지만 왜 우리는 그러한 대화를 나눌 수 있었을까? 뭐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겠지만, 난 결정적인 요인은 "우리가 같이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생각해보라. 우리는 삼시세끼 거의 다 같이 먹고- 아침에 부스스한 모습을 서로 보며, 심지어 속옷 빨래를 널기도 한다. (... 또르르) 애초부터 뭐 가면이니 어쩔씨고가 없고 그냥 다 무장해제된다. 그리고 고 그 사람을 진짜 알게 된다. 그냥 커피숍에서 만났을 때는 허름한 여행자라고 생각했었는데 같이 살아보니까 정리정돈이 칼 같은 깔끔쟁이였던 것이다. 이걸 어떻게 알았겠는가. 그런 꼼꼼한 면과 다르게 또 스쿠터를 모는 걸 쳐다보니까 은근 허당인 것도 있었다. 마찬가지로 함께 사니까 스리슬쩍 보이는 것들이다. 그는 혹은 그녀는 전혀 모르겠지만, 상대방이 더 자세히 알 수도 있다. 화장을 하고 가면을 쓰는 것도 순간이지 함께 사는 순간 와르르 무너진다. 이 것이 '코리빙' 혹은 '캠프'의 숨은 힘이었다.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이게 최고 포인트였다. "그냥 같이 사는 것"


무장해제, 민낯, 서로 각자 모습 그대로


그렇게 무장해제된 우리는 서로의 민낯을 보게 된다. 가족이 아닌 연인이 아닌 타인에게 우리의 민낯을 보여주는 것은 사실 꽤나 어색한 일이다. 


이렇게 발가벗겨진 나 자신이 불편하기도 하다. 그런데 그래서 우리는 저녁 먹고 나서, 혹은 아침에 멍 때리다가 내면의 속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한다. 


사실 나 외로워. 

사실 나 요즘 돈이 너무 없어서 불안해. 

부모님이 보고 싶어. 

나 잘하고 있는지 걱정된다. 

요즘 쫌 심심해. 


그리고 나는 그 사람을 너무 잘 알기에 이야기해줄 수 있다. 야. 너 잘하고 있어 괜히 졸지 마. 혹은 야 너 요즘 너무 멍 떄리기만하고 정작 아무것도 안 하는 것 같아. 정신 좀 차려!라고- 그 사람이 만약 가족이라면 오히려 가족이라서 이야기 못할 수도 있다. 엄마에게 언니에게 아내에게 남편에게 할 수 있는 이야기라는 것은 사실.. 슬프게도 제한적일 수도 있으니. 그래서 두 번째 가족이라는 것은 꽤나 쓸모 있다. 


당신은 그런 가족이, 친구가 있는가? 당신의 못난 점, 삐뚤어진 점, 약한 점, 잘난 점, 당신의 민숭민숭한 그런 민낯을 그냥 보여줘도 괜찮은 그런 식구 말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