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에스더 Nov 12. 2021

분명 피곤한데도 잠들기 어려웠다면 이 성분에 주목하세요

락티움 효능

01. 수면 시간·효율성·질의 개선
02. 수면 촉진
03. 스트레스 관련 증상의 개선




안녕하세요. 논문 읽어주는 약사입니다.

본격적인 여름이 찾아오면서 상승한 밤 기온에 따라, 잠이 편안치 않으신 분들이 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잠이 보약’이라는 우리 속담처럼, 깊고 편안한 숙면을 취하는 것은 깨어났을 때의 상쾌한 기분뿐만 아니라 건강상의 여러 이점을 가져오지요.


잠들기 어려운 요즘, 여러분이 반가워하실 성분이 있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식약처에서 수면건강 기능성을 인정한 성분, 락티움입니다.




01. 수면 시간·효율성·질의 개선

“잘 잤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수면 시간이 충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기분 좋게 스르르 깊게 잠들어 중간에 깨지 않고 상쾌하게 깨어나는 것이겠지요. 이처럼 ‘좋은 수면’이라는 것은 다양한 기준들이 모두 충족됨을 말합니다.


2019년, Nutrients에는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구체화된 주관적·객관적 척도를 기준으로 락티움의 수면기능성을 다각도로 평가한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중·경도의 수면장애 증상자를 대상으로 락티움의 섭취가 수면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여 락티움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락티움 섭취 단계에서 피험자의 주관적 수면기록에 있어 전체 수면 시간과 수면 효율성(SE)의 증가, 입면 지연 및 수면 중 깨는 현상(WASO)의 개선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참고 논문 : Kim, H. J., Kim, J., Lee, S., Kim, B., Kwon, E., Lee, J. E., ... & Lee, H. W. (2019).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Clinical Study of the Effects of Alpha-s1 Casein Hydrolysate on Sleep Disturbance. Nutrients, 11(7), 1466. 


02. 수면 촉진

락티움의 수면기능성이 다각도로 평가되기 전부터, 이 성분이 진정과 수면 촉진 작용을 수행한다는 다수의 보고가 학계에 누적되어왔습니다.


이에 따라 2016년 Behavioural brain research에는 락티움의 진정 및 수면 촉진 기능성을 평가하고 그 기전을 밝힌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락티움이 GABA-A 수용체를 매개하여 수면을 촉진하는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참고 논문 : dela Pena, I. J. I., Kim, H. J., de la Pena, J. B., Kim, M., Botanas, C. J., You, K. Y., ... & Cheong, J. H. (2016). A tryptic hydrolysate from bovine milk αs1-casein enhances pentobarbital-induced sleep in mice via the GABAA receptor. Behavioural brain research, 313, 184-190.


03. 스트레스 관련 증상의 개선

학계에 보고된 락티움의 기능성은 수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수면 기능성만큼이나 주목받은 것이 바로 진정과 스트레스 관련 증상의 개선에 대한 기능성입니다.


2007년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서는 불안장애·수면장애 및 피로와 같이 스트레스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겪고 있는 여성 63명을 대상으로 락티움의 섭취가 스트레스 관련 증상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실험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락티움(as1-casein 가수분해물)의 30일간 섭취가 여성의 스트레스 관련 증상의 감소와 완화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 논문 : Kim, J. H., Desor, D., Kim, Y. T., Yoon, W. J., Kim, K. S., Jun, J. S., ... & Shim, I. (2007). Efficacy of α s1-casein hydrolysate on stress-related symptoms in wome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1(4), 536-541.




이상으로 학계에서 검증을 거친 락티움의 주요 기능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언제나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뵙겠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

매거진의 이전글 올 여름 다이어트 제대로 도와줄 식초를 소개합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