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노라 Oct 26. 2022

겨울을 알리는 아르누보의 여인

12월 넷째 주 - 알폰스 무하 <겨울>

  1894년 성 스테파노의 날(12월 26일) 르메르 시에 있는 인쇄소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옵니다. 당시 파리 연극계의 별이었던 사라 베르나르의 연극 포스터 주문이었습니다. 모두가 휴가를 떠나고 활자들이 저마다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저녁, 홀로 남아 교정쇄 아르바이트를 하던 체코의 어린 이민자는 전혀 다른 아름다움을 가진 포스터를 만들어 냅니다. 그는 마르고 기계적인 인쇄소에서 윤기 흐르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꿈을 키워 낸 알폰스 무하입니다. 



   당시엔 연극 내용의 포인트나 배우를 가로로 길게 배열하는 형태가 포스터의 정석이었습니다. 무하는 선명한 윤곽선, 자연을 닮은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과 빈틈없고 섬세한 장식적 배경, 아름답고 신비스러운 여인을 실사 크기의 세로로 담아 내였습니다. 거리에 걸린 포스터는 밤을 지내고 나면 누군가가 뜯어가 무하 그림의 인기를 실감하게 했지요. 이후 사라 베르나르는 포스터 디자인뿐 만 아니라 무대와 의상 디자인까지 무하에게 의뢰하게 되지요. 무하는 예술적으로도 상업적으로도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며 동시대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입니다.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는 1860년 7월 24일 오스트리아의 통치를 받고 있던 모리비아의 작은 마을 ‘이반치체’에서 태어났습니다.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던 부모님의 영향으로 경건한 환경에서 자라나지만 제국주의 시대, 강대국에 의해 분열되고 간섭받는 슬라브족의 현실을 뼈아프게 느끼며 성장합니다.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그는 프랑스로 유학합니다. 프랑스 말로 좋은 시기를 뜻하는 벨 에포크 시대, 즉 1890년대의 프랑스는 평화와 번영을 누리며 상업적으로 커다란 발전을 누리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 풍요화 안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술이라는 뜻의 ‘아르누보’가 탄생하지요. 머리카락만큼 가늘고 꽃잎만큼 부드러운 선을 가진 여인들은 그의 천재적인 재능으로 ‘아르누보 양식’의 정점을 찍는 주인공이 됩니다.



알폰스 무하 <겨울, 1896>



   이 그림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겨울’입니다. 머리끝부터 발 끝까지 길고 선이 고운 옷으로 온몸을 싸매고 있는 여인은 볼이 빨갛습니다. 아무래도 긴 옷자락이 겨울을 다 막지는 못하는 모양입니다. 겨울 여인은 지금 추위를 피해 날아든 새 한 마리를 품고 있습니다. 살며시 감싸 안고 있는 손등에서 포근하고 아름다운 마음이 느껴집니다. 떨고 있는 새에게 불어넣는 입김은 얼마 후 사뿐히 봄의 계절로 넘어가겠지요? 무하가 그려낸 ‘겨울’은 수줍고도 온화한 색감으로 동화 같은 세상을 담아냅니다. 세로로 긴 화폭 위, 눈으로 풍성해진 가지들은 흥미로운 이야기 하나씩을 품고 매서운 겨울을 날 것입니다.



   종일 맨 몸으로 추위를 견디는 나무에 털실 옷이라도 입혀 줘야 할 것 같은 날씨입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낙엽이 뒹굴던 자리에 먼 곳의 소식을 전하는 편지처럼 눈이 내려앉을 것입니다. 하늘의 편지는 아파트 피뢰침에, 오래 닦지 않은 유리창에, 길거리에 쌓아둔 폐지더미에 배달되겠지요. 올해 맞는 겨울은 한 자 한 자, 꼼꼼히 읽어 볼 일입니다. 추위에 떨고 있는 새 한 마리가 편지 속에서 울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작가의 이전글 양해 말씀 구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