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편성준 Mar 07. 2021

다정한 이름들이 난무하는 책

오은의 산문집 『다독임』

책날개에 조금 크게 쓰인 '오은'이라는 이름 아래로 이런 글이 쓰여 있었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아니 오히려 그랬기에 계속해서 무언가를 쓰고 있었다. 쓸 때마다 찾아오는 기진맥진함이 좋다. 무언가를 해냈다는 느낌 때문이 아니라, 어떤 시간에 내가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느낌 때문이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다 이런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책을 읽기 전부터 감탄했다.


소설을 읽을 땐 맨 처음부터 읽지만 에세이나 산문집은 아무 데나 펼쳐 한 꼭지를 먼저 읽은 뒤 처음으로 돌아가는 버릇이 있다. 오은의 산문집 『다독임』을 아무 데다 펼쳤더니 대뜸 <다음이 있다는 믿음>이라는 글이 나왔다. "직장을 그만둔 지 일주일이 지났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 글은 내가 회사를 그만두었을 때와 거의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회사를 그만두었다고 하는 오은 시인을 만난 사람들은 부러워하면서도 마지막엔 이렇게 묻곤 한다. "그래서 다음엔 뭘 할 건데?" 급기야 "결혼할 사람이 부자인가 봐?"라는 질문을 받았을 땐 웃음을 터뜨릴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당장 결혼할 계획도 없는데). 그라고 왜 불안한 마음이 없었겠는가. 다음에 뭘 할 거냐는 질문에 뾰족한 답을 하고 싶은 건 누구보다도 그 질문을 받은 사람 아니겠는가. 다만 오은 시인은 회사를 그만둔 지 고작 일주일이 지난 시점이고 아직 상대적으로 몸이 가벼운 상황에서는 좀 딴 생각도 해보고 싶은 마음일 뿐이라고 항변한다.  그리고 생각해보니 살면서 다음이라는 걸 생각할 시간이 별로 없었음을 깨닫는다. 10대에는 공부를 하느라, 20대에선 스펙을 쌓느라, 30대에는 취업을 하느라, 40대에는 가족을 부양하느라 머릿속으로 다음을 그려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생각해 보니 나도 '다음에 하면 되지.'라는 말을 자주 한다. 지금 꼭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이란 거의 없다. 이번에 못 했으면 다음에 하면 되는 것이다. 오은 시인은 비스와바 쉼보르스카의 「두 번은 없다」라는 시를 소개하면서 '두 번은 없다. 그러나 다음이 있다.'라고 말한다. 다음에만 할 수 있는 것들, 다음이라 비로소 가능한 일들이 있을 거라고 믿으면서.


오은은 이 책의 제목 안에 다정한 의태어 다독임은 물론 '다독(多讀)'의 뜻도 함께 담겨 있음을 굳이 숨기지 않는다. 책 맨 앞에 있는 '작가의 말'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한밤의 다독임에는 늘 책이 있었다. 다독(多讀)하는 일은 많은 사람을 만나는 일이기도 했다." 오은 시인은 팟캐스트나 인스타그램 라이브, 유튜브 등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얼마 전엔JTBC 「방구석 1열」에도 나왔는데 아내와 나는 볼 때마다 어떻게 저리 말을 잘할까 하고 감탄했다. 어렸을 때부터 이야기하는 걸 좋아했다고 책 앞머리에서 밝히기는 했지만 내 생각엔 그보다 평소에 언어유희든 인문학적 해석이든 말에 대한 훈련과 놀이를 게을리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다. 그 예 중 하나가 여행사 광고  카피로 유명한 '너랑 나랑 노랑'이다. 이 카피는 오 시인의 산문집 제목이기도 한데 제목에 저작권이 없으므로 광고에 쓰인 것 같다(여행사에서 오은 시인에게 인사라도 한 번 했을까 궁금하다).   


짐작했듯이 이 책의 제목은 편집자인 김민정 시인이 뽑았다고 한다. 정말 제목을 잘 짓는 편집자가 아닐 수 없다. 그 짧은 제목 안에서도 자신의 인장을 찍을 줄 아는 사람이다.  그 밖에도 이 책엔 다정하고 정겨운 이름들이 등장한다. 어릴 적 친구는 물론 아는 소설가 누나, 라디오에 사연을 보낸 할아버지, 휴대폰으로 캔디 크러시 게임을 하던 소년, 그리고 해마다 사월이면 생각나는 세월호 아이들과 독일에서 사망한 허수경 시인의 이름까지. 그 이름 하나하나에 사연이 있고 그리움이 있다. 한 마디로 다독다독과 다정함이 난무하는 책이다. 참, 대학로를 자주 나가는 사람이라면 중간에 <'위트 앤 시니컬'이 다시 문을 연다>라는 글을 읽는 즐거움을 누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오은 시인이 김현 시인을 만나 들었던 그의 '계획'은 너무나 웃기고도 재밌으니 혹시 궁금한 분은 책을 사서 읽으시기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등기 메시지 보고 철렁했던 사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