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이 Oct 29. 2017

기자와 글쓰는 사람 사이에서 3

기자가 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를 읊기 위해 쓰는 글이 아니다.

기자가 되고 나서야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에 대해 한 번쯤은 말해보고 싶었다. 어떻게 보면 부끄러운 자기고백이다.




5.

워낙 작은 신생매체여서 수습과 인턴, 정직원에 대한 개념도 없었다. 바로 인턴으로 들어간 나는 약 한 달간 보도자료 처리하는 법을 배웠다. 그때 맨 처음으로 작성해 송출했던 기사가 비스트 건이었던 것 같은데...

어찌됐든 그저 포털 사이트의 기사에 내 이름이 박혀있는 게 신기했다. 내가 취재해서 쓴 것도 아니면서 묘한 희열이 느껴졌다.


그렇게 한 달이 흐르고, 나는 바로 현장에 투입됐다. 입사 한 달된 인턴이 선배도 없이 혼자 이문세의 음감회에 갔다. 프레스 데스크? 그게 뭐야. 명함을 내는 건지도 몰랐고, 어디서 내야하는지도 몰랐다. 다들 삼삼오오 모여있는데, 인사는 사치였다. 그들이 선배인지 관계자인지 사진기자인지 영상기자인지도 구분하지 못했다.


당연히 실시간 마감도 불가능했다. 좋아하던 가수인 이문세를 볼 수 있음에 벅차오른 마음도 잠시, 나는 멘트 워딩을 하기에도 바빴다. 행사가 끝나고 근처 카페를 찾아 들어가 앉고 나니, 내 몸은 이미 치열하게 수능을 치르고 장렬히 전사한 그런 컨디션이었다.


6.

하나뿐이던 선배에게 투정을 부렸다. "선배, 저 도저히 실시간 마감이 안돼요."

메모장 창은 몇 개를 띄워놔야하는지, 동시에 어떻게 워딩과 스트레이트를 작성할 수 있는지 등 선배가 하는 매뉴얼을 고스란히 전수받았다.


결국 나는 실시간 마감을 해냈다. 선배의 노하우가 나에게 적용되서는 아니었다. 누가 쫒아오는 것 마냥 손을 부들부들 떨면서 급한 성격을 발휘하니 평생 안될 것 같던 게 됐다. 그 뒤로부터는 점차 여유로워졌던 것 같다. 일정을 나가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도 익숙해졌고, 소속사 홍보팀의 번호도 차근차근 알아갔다. 그냥 다 신기했다. 내가 업계 관계자의 번호를 알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라운드에 입성한 것 같았다.


 이 어리석은 정신은 나쁘게 흘러갔다. 열정은 넘쳤지만, 반대로 내가 뭐라도 된 것 같은 자만심에도 취했던 것 같다.(지금 생각하면 엔터 업계에 첫 발을 들이는 사람들이 가장 경계해야 하는 심리이기도 하다.) 쇼케이스에 가면 나눠주는 선물들이 너무나 당연해졌고, 관계자들이 "기자님~"이라고 부르는 것도 익숙해졌다. 업계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면서, 기사를 제대로 쓸 줄도 모르고 취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파악도 못해놓고 '기자'라는 이름을 달고 우쭐했던 셈이다.



그렇게 즐거운 나날들을 보내고 있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선배가 자꾸만 심란한 말씀을 하셨다.


너, 이 회사 그만 둬라
매거진의 이전글 기자와 글쓰는 사람 사이에서 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